메인화면으로
옛사람이 본 밤하늘, 우리와 같고도 달랐다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밴드 공유하기
  • 인쇄하기
  • 본문 글씨 크게
  • 본문 글씨 작게
정기후원

옛사람이 본 밤하늘, 우리와 같고도 달랐다

[문화, 우주를 만나다] 중국인이 본 해, 달, 별

2009년은 유엔(UN)이 결의하고 국제천문연맹(IAU), 유네스코(UNESCO)가 지정한 '세계 천문의 해'이다.

실제로 2009년은 아주 뜻깊은 해이다. 갈릴레이가 망원경을 만들어서 천체를 관측하기 시작한 지 400주년, 허블의 우주 팽창 발견 80주년, 인류의 달 착륙 40주년, 외계 지성체 탐사 프로젝트 제안 50주년 및 메시지 송신 35주년을 맞은 해이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에서도 '2009 세계 천문의 해'를 맞아 한국조직위원회를 만들어서 국제 캠페인에 참여하고 있다. 이미 4월 2일부터 5일까지 전 세계 천문대에서는 100시간 동안 연속으로 별을 관측하고 길거리에서 천문학자·아마추어천문가가 일반인과 함께 별을 관측하는 전 지구적인 행사가 열렸다.

또 우리나라에서는 특별히 이동 천문대 '스타-카'가 소외 지역 아이들을 찾아가고, '과학과 예술의 만남'과 같은 전시회도 준비 중이다. 이런 내용은 2009 세계 천문의 해 한국조직위원회가 운영하는 홈페이지와 웹진 <이야진(IYAZINE)>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바로 가기)

<프레시안>은 이런 '2009 세계 천문의 해'를 맞아 '문화, 우주를 만나다' 연재를 <이야진>과 공동으로 연재한다. 하늘의 별을 바라보면서 꿈을 키웠던 여러 분야의 사람들이 별, 우주, 문화, 예술 등을 화두로 매주 한 편씩 에세이를 선보인다.

▲ 세페우스자리에 있는 VDB 142(Van den Bergh 142). VDB 142는 IC 1396 안의 중심 아래 부분에서 볼 수 있는 반사성운으로, 1966년에 목록화 되었으며, 코끼리의 코처럼 길쭉하게 보여 '코끼리 코(Elephant's trunk)'라고도 불린다. ⓒ한국천문연구원(사진=최승용)

해와 달과 별이 없다면 인류는 지구상에 존재할 수 있을까? 어리석은 질문 같지만 이 질문에 대한 대답은 'No'일 것이다. 설령 한 걸음 양보하여 해와 달과 별이라는 존재가 없이도 인간이 지구상에 살 수 있다면 인간의 삶은 어떻게 변할까? 이 질문에 대해서도 선뜻 대답하기가 쉽지 않을 것 같다. 이러한 질문은 과학 만화나 영화 속에서나 가정해볼 수 있는 것들은 아닐까? 그렇다면 중국인들은 역사 속에서 어떻게 해와 달과 별을 인식하고 기록했을까? 중국 문자에 남겨진 기록을 통해서 이 질문에 대한 대답을 찾아보도록 하자.




해는 우리가 육안으로 볼 수 있는 가장 큰 별이다. 만약 해의 빛과 열이 없다면 식물이 성장할 수 없고, 식물을 양식으로 하는 인간과 동물도 존재할 수 없을 것이다. 위에 나열한 그림은 모두 중국 문자에 나타난 해의 모습이다. 어떤 것은 해의 윤곽만 그렸고, 어떤 것은 윤곽 안에 점 혹은 여러 가지 획을 그려서 흑점을 표시하였으며, 어떤 것은 사방으로 해가 비치는 모습을 그리기도 하였다. 이를 통해 고대 중국인들의 해에 대한 관찰력이 다양하고 정교했음을 추정해볼 수 있다. 둥글었던 태양의 윤곽은 한자가 부호화 되면서 네모꼴의 필획으로 모양이 바뀌었고, 가운데 있던 점이나 필획은 하나의 획으로 변화되었다. 고대 중국인들은 많은 별 가운데 특별히 해를 숭배하였기 때문에 아침에 뜨는 해를 영접하고 저녁에 지는 해를 전송하는 의식을 거행하기도 하였다.

은나라 사람들은 해에 두 가지 특이한 현상이 있음을 발견하였다. 그중 하나는 표면에서 발견되는 흑점 혹은 음영이다. 현대의 천문기구로 관찰해보면 해의 표면에 흑점이 있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흑점의 온도는 주위보다 낮은데 그 이유는 아직 알려지지 않고 있다. 흑점의 크기는 규칙적으로 변화하는 데 대략 11년을 주기로 한다. 흑점이 클수록 자장이 강하고, 지구에서 사용하는 통신의 전파와 기후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중국인은 한나라 때부터 태양의 흑점 현상을 기록하였다. <한서·오행지>에는 기원전 28년 음력 3월 을미일에 태양이 황색을 나타내고 중앙에 동전과 같은 검은 기운이 있다고 기록하고 있다. 다른 기록에는 그것이 탄환, 참새, 대추 혹은 계란 같다고 말하고 있다. 한나라 때 태양에 금까마귀가 있다는 전설도 있었다. 한나라 사람과 같은 지역에 살았던 은나라 사람들도 그런 현상을 발견한 기록이 있다. 그 당시 점친 글과 결과를 기록한 글에 모두 '태양에 흑점이 있다'고 언급하였다. 예를 들면 "술과 북으로 소을(小乙)에게 협의 제사를 올려야 할까요? 이에 사용하였다. 해에 흑점이 있었다. 저녁에 아홉 마리의 소로 상갑(上甲)에게 알렸다." "해에 흑점이 있다. 재난이 일어나지 않을까요?" 등등의 기록이 있다. 은나라 사람들은 이것을 이상한 현상으로 생각하여 조상에게 알리려고 하였다. 이런 현상은 월식처럼 길할 수도 있고 흉할 수도 있었기 때문에 그것의 출현이 복인지 화인지를 물었던 것이다. 점을 친 기록에는 다음과 같은 예가 있다. "해에 흑점이 있을까요? 반점이 있었다." 이런 기록으로 볼 때 은나라 사람들은 흑점의 출현을 예측할 수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근대에 이르러서 대략 11년 주기로 흑점이 출현한다는 사실이 알려졌는데, 은나라 사람들이 이런 주기를 발견하고 그것의 출현을 예측했다고 보기는 어렵다. 어떤 사람들은 화북 지방에 큰 바람이 불어 황토 먼지가 자욱해지면 육안으로 태양을 관찰하는 것이 가능했다고 보기도 한다.

은나라 사람들은 해에 대해서 발견했던 두 번째 현상은 일식이다. 점을 친 기록에 "태양이 저녁에 먹히고 있다. 순조로울까?" "태양이 저녁에 먹히고 있다. 순조롭지 않을까?" 원문은 몇 가지로 해석이 가능하지만 그 당시 습관으로 보면 이 문장은 낮에 일식이 일어났기 때문에 은나라 왕이 심상치 않다고 생각하여 화가 있을지를 물은 것이다. <한서·오행지>에 일식의 영험이 사람에게 미치는 각종 재난에 대하여 말할 때 "낮에 일어난 일식은 신하의 죄악이고, 밤에 일어난 일식은 그 죄를 가리는 것이다"라는 기록이 있다. 월식은 자주 발생하고 달의 모양이 변하는 것 외에 별다른 변고가 일어나지 않는다. 그렇지만 일식, 특히 개기일식은 천지에 말세가 다가온 것처럼 천지가 어두워지고, 닭과 개가 놀라서 짖어대게 된다. <좌전> 소공 17년에 <하서>를 인용하여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해와 달의 만남이 편안하지 않으면 북을 치고 납폐를 맡은 관리는 수레를 타고 달리며 백성들도 도망한다." 이것은 일식 때문에 사람들이 두려워하는 모습을 기술한 것이다. 대낮에 해가 가리워지는 일식현상은 고대 사람들에게 경이롭고 두려운 일임에 틀림없을 것이다. 이 외에도 은나라 사람들이 점을 친 기록에는 일식 후에 해가 다시 밝아질지를 물어보는 기록도 보인다. 이상의 기록을 통해서 고대 중국인들은 이미 일식 현상과 해의 흑점을 발견하였고 그러한 현상의 출현이 자신들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주의했음을 알 수 있다.




달은 우리가 가장 자주 볼 수 있는 별 중의 하나이다. 하늘의 달은 어떤 때는 둥글고 어떤 때는 이지러진 모습을 나타내는데, 관찰해보면 둥글 때보다 이지러진 때가 훨씬 많다. 이러한 현상은 아주 형상적으로 한자의 모습에 반영되어 있다. 고대 한자를 보면 이질어진 모습, 즉 새롭게 시작된 초승달의 모습을 상형하고 있다. 그 외에도 후대의 문자를 보면 둥근 모습을 그대로 두고 한 편에 이지러진 모습을 나타낸 것도 있고, 초승달의 모습을 검고 작게 그린 것도 있으며, 달의 가운데 반점을 점 혹은 다양한 필획으로 표현하고 있다. 달은 평균 30일마다 한번 씩 둥글어지기 때문에 후에 달을 가지고 날짜를 계산하였으니 평균 30일이 한 달이고 일 년은 12개월이 된 것이다. 은나라 사람들은 하루를 양분하여 태양이 출현할 때를 낮이라고 하고, 달이 출현할 때를 밤이라고 하였다. 그래서 월(月)의 글자 모양은 달과 저녁 두 가지 의미를 표현한다. 후에 그 용법을 구별하기 위해 월 자 가운데 한 점을 그었다. 초기의 월자는 윤곽 안에 점이 없었으나 후에는 반대로 저녁을 뜻하는 석(夕)자에 점이 없고 月자에는 점이 있게 되었다. 달빛은 은은하고 부드럽기 때문에 자세하게 관찰해야 달 표면의 반점과 음영을 발견할 수 있다. 달 표면에 있는 반점 때문에 달은 옥토끼, 두꺼비, 심지어 불사약을 훔쳐서 달로 도망한 항아(嫦娥)의 이야기 등 여러 가지 이야기와 전설을 갖게 되었다. 달빛은 차갑게 느껴지기 때문에 사람들은 추운 곳이라 생각하여 뜨거운 태양과 분명한 대비를 시켰다. 따라서 해와 달은 음과 양의 대표가 되었으며, 무덤의 장식 도안에 자주 사용되어 신선의 세계를 상징하게 되었다. 동시에 전국시대부터 각종 성상도(星象圖) 혹은 별을 사용한 부적이 무덤에서 악귀를 몰아내는 용도로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월식은 자주 나타나는 현상이어서 사람들은 놀라거나 두려워할 만한 반응을 느끼지 않았다. 그래서 서주시대 초기의 <시경·시월지교>에 다음과 같은 구절이 있다. "저 달의 월식은 정상적인 일이거니와 이 해의 일식은 어디에 잘못이 있는가?" 미신이 성행했던 한나라 때가 되어서도 사람들은 월식이 일종의 재앙의 예시라고 생각하지 않았다. 은나라 때에 食자를 가지고 일식과 월식을 표현한 것은 아마도 어떤 사물에 먹히는 현상으로 상상하였기 때문일 것이다. 후대에 천구(天狗)가 해와 달을 먹는다는 전설과 큰 소리로 천구를 몰아내는 미신은 은나라 때부터 존재하게 되었을 것이다. 갑골문에 월식과 관계된 기록이 점을 친 결과를 기록한 글에만 보이고, 길흉을 묻는 글에 보이지 않는 것은 아마도 당시 사람들이 월식에 대하여 상당히 이해하고 월식이 특이한 현상이 아니라고 생각했다는 것을 나타낸다. 진나라와 한나라 사람들은 일식과 월식의 날짜를 기록했을 뿐만 아니라 일식과 월식의 정도, 방향 및 시작과 끝의 시각 등에 대해서도 관심을 갖고 있었다. 심지어 어떤 학자의 연구에 의하면 월식은 지구의 그림자가 달을 가려서 생긴 현상이라고 정확한 과학적 해석을 하기도 하였다.




별은 밤중에 하늘에서 빛나는 천체의 통칭이다. 고대 한자는 밤하늘에서 빛나는 별들의 모습을 상형하였는데, 2개 혹은 5개의 덩어리로 별을 표시하였다. 갑골문의 星과 晶은 같은 형태로서 많은 별들이 모여 있는 형상을 타나낸다. 많은 별들이 맑은 수정과 같이 빛나기 때문에 맑다는 의미도 갖고 있다. 후에는 구별하기 위하여 소리를 나타내는 부분을 첨가하였다. 고대 중국인들은 지구가 우주의 중심이고 기타 별자리는 모두 지구를 둘러싸고 돈다고 생각했다. 해와 달은 특별히 크게 보이고 사람들의 생활과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에 특별한 이름을 지어주었고, 기타 천체에 대해서는 별이라고 통칭하였다. 사람들은 모두 고개를 들어 많은 별들을 바라볼 수 있지만 중요한 것은 그것을 인류의 생활에 이용할 수 있느냐 하는 점이다. 하늘 위에는 많은 별들이 있지만 계절의 변화와 생활에 특별한 영향을 미치는 것 외에는 많은 기록이 보이지 않는다. 인간의 생활에 관계된 별자리에 관한 기록은 <회남자>의 예를 들 수 있다. "무릇 배를 타고 방향을 잃어서 동서의 방향을 모르면 북극성을 보면 깨닫게 된다." 그래서 북극성은 방향의 지표가 되었고 자신만의 고유한 이름을 갖게 된 것이다.

은나라 때 별에 관한 기록을 보면 조성(鳥星)과 화성(火星) 등 몇 가지 예에 불과하다. 기록된 별들은 모두 실용적 기능을 가지고 있다. 조성과 화성은 중국 고대문헌에서 자주 보이는데 계절을 결정하는 두 개의 중요한 별자리이기 때문이다. 조성은 7개의 별을 포함하는데 어두워질 대 7개의 별이 나타나며 이 별이 중춘(仲春)의 계절을 확정할 수 있었다. 화성은 심숙(心宿)의 두 번째 별로 춘분 때 해질 무렵에 보이며, 밝고 크며, 색깔이 매우 붉기 때문에 이름을 화성이라 하였다. 붉은 색을 나타내기 때문에 <사기·천관서>에는 한나라 사람들이 그것을 가뭄의 상징으로 여겼다. 가뭄은 농업사회의 대재앙이었고 중국은 농업으로 국가를 세웠기 때문에 관심이 많아서 화정(火正)이라는 관리를 두어 화성의 위치를 관측하고 그 위치로 중하(仲夏)의 계절을 교정하였다. 은나라 때의 점치는 글에 "화성이 출현했다. 올 1월에 비가 내릴까요?" "화성이 출현했다. 올 1월에 비가 내리지 않을까요?"라는 기록이 있는데, 이는 화성이 강우와 관계가 있다고 생각했던 것 같다. 아마도 은나라 때에는 화성이 있는 지역에 가뭄이 든다는 미신이 있었던 것 같다.

고대 중국인들은 해와 달과 별에 대하여 과학적 인식과 신비한 미신을 동시에 가지고 있었던 것 같다. 해의 흑점과 일식, 달의 월식, 북극성을 이용한 방향의 탐색 등에 있어서는 과학적으로 현상을 이해하고 생활에 활용한 점이 보인다. 그러나 한편으로 천체는 사람들이 이해하기 어려운 현상들로 가득 차 있어서 어떤 사람들은 그것을 하늘이 특별히 드러내어 백성들에게 경계하라는 예방법을 알려준 것이라 생각하였다. 어떤 때에는 억지로 맞춘 예시가 공교롭게도 우연히 들어맞아 사람들은 하늘의 징조를 확실하게 믿게 되기도 하였다. 중국인들은 이미 3000여 년 전에 문자를 가지고 있었고, 당시 기록에 의하면 천문의 변화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한나라 때에는 '천인합일(天人合一)'이라는 믿음이 크게 유행하였다. 제왕들은 일식이나 지진 등 자연현상에 대하여 자신의 잘못을 자책하거나 신하들을 문책하기도 하였다. <사기·천관서>, <후한서·천문지>, <후한서·오행지> 등에는 이러한 경험이 많이 기록되어 있다. 본래 천인합일설은 자연현상의 힘을 빌려 제왕들로 하여금 경계심을 갖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었으나 후에는 본말이 전도되어 제왕들이 신하들을 징벌하기 위한 증거로 사용되기도 하였다. 자연 현상이 인간사를 지배한다는 미신은 일반 백성들에게까지 확산되어 훗날 점성술과 운명술 등의 미신이 성행하는 현상을 초래하기도 하였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매번 결제가 번거롭다면 CMS 정기후원하기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kb국민은행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프레시안에 제보하기제보하기
프레시안에 CMS 정기후원하기정기후원하기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