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화면으로
"대구시는 지금 대형 쓰레기장"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밴드 공유하기
  • 인쇄하기
  • 본문 글씨 크게
  • 본문 글씨 작게
정기후원

"대구시는 지금 대형 쓰레기장"

주민들, 매립장 진입로 봉쇄. 밀어붙이기 행정이 원인

대구시가 쓰레기로 극심한 몸살을 앓고 있다. 대구시 달성군 서재리 주민들이 방천리 위생매립장 진입로를 막고 5일째 시위를 벌이는 통에 대구시내 곳곳에는 수거하지 못한 쓰레기 봉투가 잔뜩 쌓여있기 때문이다.

***대구시, 5일째 쓰레기 방출 안돼, 곳곳 쓰레기 더미**

대구 중구의 경우 청소 차량 차고지가 도심에 위치하고 있는 데다 장소가 협소해 임시 적환장으로 사용할 수가 없어 쓰레기 수거가 사실상 완전 중단된 상태다. 대구 중구청에 따르면, 중구지역은 하루 70t의 쓰레기가 배출되는데, 닷새째 쓰레기 반입이 중단된 현재 약 3백50여t의 쓰레기가 도심 곳곳에 쌓여있는 상태다.

중구청 한 관계자는 "중구청 차원에서 별도의 대책을 마련하기 힘든 상황"이라며 "그러나 11월3일부터 소각장이 정상화되면 숨통이 트일 것"이라고 말했다.

북구도 중구와 별반 다르지 않다. 북구는 관내를 담당하는 34개의 청소차량 대부분이 쓰레기를 가득 실은 채 차고지에 대기하고 있고, 아직 임시 처리장이 확보되지 않아 곤란을 겪고 있다.

이에 따라 대구시 각 지자체는 가두방송, 반상회 등을 통해 쓰레기 배출을 최대한 줄여줄 것을 당부하는 등 주민 대상 홍보를 강화하고 있는 상황이다.

***대구시 밀어붙이기 행정이 지역 주민 반발 불러와**

온 도시를 쓰레기장으로 만든 이번 방천리 위생매립장 사태는 대구시의 밀어붙이기 행정이 근원이다.

방천리 위생매립장은 1983년에 설립, 대구시 유일 쓰레기 매립장이다. 대구시는 매립장이 수용량이 한계에 이른 지난 1999년, 매립장 확장을 시도했다 주민들의 강한 반발로 인해 실패했다.

당시 대구시는 확장공사 결정 여부는 유보키로 하고, 대신 방천리 위생매립장을 2005년까지 연장 사용하기로 했다. 당초 매립장은 2000년이 마지막 한도였다. 이후 대구시는 2~3년동안 '입지선정위원회'를 구성 새로운 매립장부지를 모색하기도 했다. 그 결과가 다시 방천리 위생매립장 확장이다.

대구시청 한 관계자는 이와 관련 "재정이 풍부하다면 다른 입지를 찾을 수 있었지만, 빠듯한 시 재정상 주민들 반발을 예상하면서도 기존 방천리 위생매립장을 확장하기로 결정했다"고 말했다.

이 사실이 알려지자 매립장 주변 서재리 주민들이 '비상대책위원회'를 구성하며 강하게 반발하고 나섰다. 서재리는 지난 1997년부터 개발돼 아파트 단지가 들어서 있다. 이들은 지난 25일 매립장 진입로에서 '확장 반대 결의대회'를 열고 무기한 노숙농성에 돌입했다.

이들 농성이 3일째 접어들자 대구시는 지난 27일 새벽 공권력을 투입해 강제 해산을 시도했다. 이 과정에서 비대위 대표를 포함 38명이 연행되고, 노인과 어린아이 등 다수가 부상 당했다.

이와 관련 대구환경운동연합은 긴급 성명을 내고 대구시의 공권력 투입에 대해 규탄하고 나섰다. 대구환경운동연합 구태우 부장은 "대구시가 방천리 위생매립장 확장을 결정하는 과정에서 인근 지역 주민들의 의사를 듣는 과정이 매우 부족했다"며 "대구시의 밀어붙이기식 행정이 주민들의 반발을 불러오고 있는 형국"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공권력 투입은 대구시가 악수를 둔 것"이라며 "서재리 주민들은 대구시의 처사에 더욱 분노하고 있으며, 더구나 대표단 전원을 연행한 것은 주민들과 대화 창구를 대구시 스스로 포기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대구시, 공권력 재투입 검토중**

한편 대구시는 현재로서는 어쩔 수 없다는 입장을 보이며 강경대응을 하겠다는 방침이다.

대구시는 이날 오후 대구시장 주재로 경찰청장, 지검장, 교육감, 각 구청장을 소집해 긴급회의를 한 후 향후 대책을 모색한 것으로 알려졌다.

대구시청 한 관계자는 이와관련 "시위로 인해 대구시가 쓰레기로 몸살을 앓고 있다"며 "더 이상 방치했다가는 일부 지역주민들로 인해 대구시민 전체가 불편을 겪을 판"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대를 위해 소가 희생할 수밖에 없지 않냐"며 "현재로서는 공권력 투입을 검토할 수밖에 없다"며 조만간 공권력 재투입을 시사했다.

이 관계자는 또 "공권력 투입은 주민들을 자극하는 처사라는 것은 잘 알지만, 다른 방안이 없다"며 "공익을 위해 농성을 푼 뒤 대화를 하는 것이 대구시의 입장이다"고 덧붙였다.

이처럼 공권력 투입으로 한층 격화된 대구시와 서재리 주민간의 갈등은 당분간 지속될 전망이다. 일단 대구시가 공권력을 동원해 농성단을 해체하고, 핵심 관계자를 구속한다고 하더라도 매립장 확대에 대한 주민 불만은 쉽게 가라앉기 힘들다는 것이 주위의 시각이다. 충분한 사전대화 없는 밀어붙이기식 행정이 불필요한 갈등을 낳고 있는 셈이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매번 결제가 번거롭다면 CMS 정기후원하기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kb국민은행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프레시안에 제보하기제보하기
프레시안에 CMS 정기후원하기정기후원하기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