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50여 개 언론, 사회단체로 구성된 대선미디어연대가 지난 1일부터 5일까지 포털사이트 네이버(NAVER)와 다음(Daum)의 대선 뉴스를 분석한 결과를 9일 발표하며 이 같이 지적했다.
이들은 이날 함께 발표한 성명에서 "포털권력의 유력 후보 옹호에 치우친 보도에 개탄과 우려를 금치 못한다"며 "이 같은 행태는 즉각 개선돼야 한다"고 밝혔다. (☞ 관련 기사: "조·중·동·네"…네이버 뉴스 편집이 편파적? )
"노출 기사 40%가 옹호기사, 비판은 12.7%에 불과"
대선미디어연대에 따르면 <네이버>에서 노출된 기사 중 분석 기간동안 각 정당(후보자)에 대한 중립적인 기사는 전체 211건의 노출 기사 가운데 62.5%를 차지했다. 또 대상 정당(후보자)에 대해 옹호적인 기사는 28%를 차지했으며 비판적인 기사는 10.9%에 불과했다.
이들은 "특히 한나라당이나 한나라당 이명박 후보에 대한 기사 노출이 두드러진다"며 "(네이버가 노출한) 이명박 후보에 대한 기사 63건 가운데 40%가 옹호하는 기사였던 반면 12.7% 만이 이 후보에 대한 비판적인 기사가 노출돼 이명박 후보에 대한 옹호적인 편집 경향을 보였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이것은 이명박-부시 면담의 실패로 이 후보자에 대한 부정적 의제가 불거지자 이 후보와 한나라당 측을 옹호하는 기사를 내보내거나, 중립적 보도기사를 주로 다뤘기 때문에 나타난 결과라고 할 수 있다"고 밝혔다.
대선미디어연대는 분석 기간 내 불거졌던 이명박 후보의 부시 대통령 면담 논란에 대한 보도 노출 형태를 네이버의 배치 성향의 한 예로 꼽았다. 이들은 "10월 1일과 2일 이틀간 네이버는 면담의 성사 논란을 중계하는 기사를 전체 22건 중 17건이나 배치했다"며 "특히 이 같은 배치는 2일 미 대사관에서 공식적으로 '면담계획이 없다'고 밝혔는데도 지속됐다"고 분석했다.
"정당명 노출, 각 페이지를 후보자 홍보 사이트로 전락시켜"
또 이들은 메인페이지에서 각 정당명만 노출하는 <네이버>의 대선 기사 게재 방식에 대해 "몇 가지 근본적인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최근 네이버는 "해당 섹션·대선 특집 페이지의 리스트를 포괄적 제목으로 노출한다"는 원칙에 따라 메인페이지에는 정당명만 노출했다. 이 정당명을 클릭하면 관련 기사들이 모인 뉴스 카테고리로 들어가게 된다.
이에 대해 대선미디어연대는 "<네이버>의 소극적인 대선관련 기사 게재 원칙은 대선관련 보도를 메인페이지에 노출하지 않음으로써 의제의 자의적 확산에 대한 직접적인 비판을 피하고자 하는 의도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며 "그러나 이 방식의 문제 중 가장 핵심은 각 정당(후보자)별 페이지가 후보자 홍보 사이트로 전락한다는 것"이라고 밝혔다.
이들은 "현재 각 정당(후보자)별 페이지에는 후보자에게 비판적인 기사는 거의 노출되지 않고 스트레이트 기사, 관계자의 발언을 그대로 빌려온 무책임한 '따옴표 저널리즘'의 형태를 지닌 기사가 주를 이룬다"며 "이 기사들에서 각 정당(후보자)에 대한 시각을 살펴보면 스트레이성 기사를 빙자해 후보자에 대한 홍보성 기사가 주류를 이룬다는 것을 볼 수 있다"고 밝혔다.
2일~5일, <네이버> 민주노동당 뉴스 업데이트 되지 않아
한편 포털사이트에서 사회적 이슈로 부각되지 못한 후보자나 논란이 되지 않는 대선 후보에 대한 보도의 노출빈도가 낮다는 점도 지적 대상에 올랐다.
대선미디어연대는 "민주노동당 권영길 후보와 관련한 보도가 분석 기간 동안 <다음>에 게재된 건수는 8건에 불과하다"며 "통합신당의 보도 건수 81건에 비하면 십분의 일도 못 미치는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이들은 "더 심각한 건 <네이버>"라며 "각 정당(후보자)별 페이지를 따로 두고 있는 <네이버> 민주노동당 페이지에는 지난 2일부터 5일까지 3일간 뉴스 업데이트가 되지 않았었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이런 현상은 뉴스페이지 담당자의 게으름에 비롯된다고밖에 볼 수 없다"며 개선을 촉구했다.
이에 대해 <네이버> 측은 "포털 뉴스에 대한 모니터링 분석은 포털 뉴스의 특성을 기초로 해서 이뤄져야 한다"며 "언론사들이 주요 후보들을 중심으로 기사들을 생산하는 상황이 발생하면 포털 뉴스 운영도 한계를 가질 수 밖에 없다"고 반박했다.
<네이버>는 "또 실시간으로 운영되는 네이버 뉴스의 특성상 정당별 경선 개최 여부, 경선 일정의 차이, 후보자에 대한 네거티브 기사 등 이슈의 발생 시점에 따라 페이지 내부의 기사 내용은 다를 수 밖에 없다"며 "이런 특성들이 간과된 채 하루 2차례 기계적·정량적으로 모니터링 한 결과를 주관적인 기준으로 평가해 단정짓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밝혔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