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화면으로
'동아의 김두관 장관 검증' 비판인가 비방인가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밴드 공유하기
  • 인쇄하기
  • 본문 글씨 크게
  • 본문 글씨 작게
정기후원

'동아의 김두관 장관 검증' 비판인가 비방인가

<미디어비평> '두번 만나본 김두관 장관'을 읽고

노무현 정권 공격 최선봉에 선 동아일보의 기사가 위험선을 넘나들고 있다. 동아일보 3월 14일자(7면) '(기자의 눈) 두 번 만나본 김두관 장관' 칼럼형식의 취재기자의 글은 과연 정당한 비판기사인지 흠집내기식 비방 글인지 의문을 갖게 한다.

우선 김 장관을 두 번 만나보고 난 뒤 작성된 이 기사를 읽고나면 '김 장관은 도저히 장관감이 아니다'는 느낌을 갖게 된다. 기사 곳곳에 강조하는 김 장관의 '화를 벌컥 내는 모습' '앞뒤 설명이 다르다는 의혹' '말이 바뀐다는 지적' '남해신문이 홍보기사 대가로 1천만원을 받았다는 주장' 등의 대목이 그렇다.

동아의 지적대로 김 장관은 그런 수준의 인물밖에 되지 않는데 노무현 대통령이 '시골군수'를 파격인사로 첫 내각의 행정자치부 장관에 앉혔는가? 이 물음에 답하기 전에 먼저 저널리즘 차원에서 동아기사의 문제점부터 지적해야겠다.

이 기사는 김 장관을 일방적으로 몰아 부친 뒤 말미에 가서 "언론이 김 장관의 행적과 언행을 따지는 것은 결코 개인이 미워서도 아니고 의도적인 흠집내기도 아니다"고 해명했다. 이어서 "그가 행자부 장관에 임명되었기 때문에 그의 능력과 자질, 도덕성이 그 직책에 걸맞은지를 따져보자는 것이다"고 주장했다.

언론이 '장관의 능력과 자질, 도덕성'을 따져보는 것은 당연한 직무이기 때문에 그 누구도 반대하지 않는다. 문제는 그 방법이다. 동아처럼 전체적인 대화내용은 알 수 없이 자기 편의적인 방법으로 부분인용을 하여 '그 말'을 문제시해서는 장관의 능력과 자질을 제대로 검증할 수 없다.

이미 김 장관은 남해군수를 두 번이나 지냈다. 그것도 한나라당이 판을 치는 경상도에서 무소속으로 출마하여 주민의 선택을 받았다. 군수시절 그가 어떤 공을 세웠고 어떤 과를 범했는지를 검증하면 그의 자질과 능력검증은 더 분명할 것이다. 두 번 만난 인상기로 한 장관을 '난도질'하는 것은 너무 가볍다. 성의 있는 취재부터 하라.

저널리즘 교과에 따르면 한 공인을 공격하거나 비판하는 기사를 작성할 때는 다른 기사 작성보다 적어도 3배의 공을 들이고 신중을 기하도록 교육하고 있다. 여기에는 반드시 합당한 근거나 자료가 있어야 한다는 전제조건도 붙는다.

동아의 기사에서 문제 삼고 있는 '남해신문 추가인쇄 부분'과 '남해신문 94년 10개월간 군정홍보비 1천만원 수수여부'는 여전히 기자와 장관의 주장이 맞서고 있는 부분이다. 그러나 이 기사는 10여년 전 문제에 대해 '잘 기억이 나지 않는다'고 말한 김 장관의 대답조차 비판의 근거로 삼았다.

또한 김 장관의 홈페이지에서 '신문사 직원들이 촌지를 받는다면 이미 그 신문은 끝난 신문이다'라는 구절을 인용하여 문제의 1천만원을 촌지범주로 간주하여 논리를 전개하고 있다. 이 내용을 언급하려면 그가 군수에 취임하고 난 뒤 언론사 촌지와 계도지 예산 처리를 어떻게 했는지를 조사해야 한다.

김 장관은 군수 재직 당시 민선자치단체장 가운데 최초로 중앙과 지방 신문사에 '계도지'란 명목으로 부당하게 지원되던 예산을 주민복지비로 돌렸다. 또한 언론인 촌지근절을 지시했고 이미 나간 촌지실태에 대한 감사조치까지 취했다. 그래서 전국자치단체 가운데 남해시에서 최초로 기자실이 폐쇄되고 계도지 예산이 철폐됐지만 그 결과로 인해 당시 김 군수는 특히 지방신문사들로부터 집중적인 비난성토에 시달려야 했다.

당시 언론보도를 보면 김 군수는 도저히 군수감이 아니었고 재선은커녕 당장 군수직을 물러나야 할 정도였다. 그러나 진실은 세월이 입증했다. 남해주민들은 무소속을 고집하는 그를 다시 선택했다. 언론의 보도가 잘못인지 주민의 선택이 잘못인지는 역사가 평가할 것이다. 하지만 적어도 지역주민의 여론을 제대로 반영하지 않은 언론의 의도적 여론조작과 무시는 반드시 지적돼야 한다.

동아일보가 장관을 제대로 검증하려면 주고받은 말이나 지엽적인 문제를 물고 늘어지고 있다는 인상을 줘서는 곤란하다. 물론 취재기자의 입장에서는 몇몇 가지 사안이 본질적이고 윤리성을 가늠할 수 있는 잣대가 된다고 판단했을 수도 있다. 문제는 이 정도의 글을 바로 활자화하는 데스크의 신중하지 못함도 동시에 거론돼야 한다. 현장취재기자는 '나무'밖에 볼 수 없는 입장이지만 데스크는 적어도 '숲'을 보고 균형감각을 유지할 수 있는 위치에 있으며 그 정도의 경력은 갖추고 있기 때문이다.

노 대통령이 2월25일 취임하고 난 뒤 2주일간(3월11일까지) 경향신문, 동아일보, 조선일보, 중앙일보, 한겨레신문 다섯 신문사 사설을 조사해본 결과, 적어도 동아, 조선, 중앙은 취임 초부터 대단히 공격적이었다. 특히 동아일보는 사설에 관한한 적어도 노 정권 공격의 최선봉에 있음이 수치로 확인됐다. 노 정권에 대해 공격적이거나 비판적인 사설을 조사한 결과 단2주 동안에 동아(21/총35건), 조선(17/37), 중앙(13/35), 경향(6/39), 한겨레(4/33) 순이었다. 동아일보의 김 장관 비난기사도 이런 연장선상에서 이해한다면 무리일까.

노대통령이 취임 후 가판신문 구독을 중단하고 청와대 기자실을 개방하는 등 일련의 언론개혁조치를 취한 것이 일부 언론사에는 불편하게 느껴질 수도 있다. 기득권을 박탈당하고 있다는 상실감마저 느낄 수도 있다. 그러나 권력과 언론의 유착을 근절하고 언론의 권력화를 막는다는 근본 취지까지 부정할 수는 없는 일이다.

그런 불편한 심기가 '리틀 노무현'이라는 '김 장관 때리기'로 나타나고 있다는 오해를 줄 수도 있다. 김 장관에 대해 본질적으로 '능력과 자질, 도덕성'의 문제를 제기하려면 그에 합당한 근거를 제시하며 주장을 전개하라. 그런 성의 있고 신중한 취재가 불가능하다면 일단 지켜보는 인내심이 필요하지 않을까.

다음은 동아일보 3월 14일자 기사 전문.

***<기자의 눈> 두 번 만나본 김두관 장관**

"그러지 맙시다. 어디서 말 같지 않은 소리를 듣고 온 모양인데…."

5일 만난 김두관(金斗官) 행정자치부 장관은 기자에게 벌컥 화를 냈다. 1995년 6월 군수 선거를 앞두고 당시 자신이 대표로 있던 남해신문사가 신문을 더 찍어 배포했다는 의혹이 있다는 이야기를 꺼낸 순간이었다.

김 장관은 6일 본보에 이 같은 의혹이 보도되자 해명자료를 내고 "1부도 더 찍지 않았다"고 단언하기도 했다.

하지만 12일 기자와 두 번째 만난 김 장관은 당시 신문을 적어도 1000부 이상 추가 인쇄했음을 보여주는 각종 자료를 제시하자 "내가 지시하지 않았으니 한 부도 더 찍었을 리가 없다는 의미였다"며 물러섰다.

남해신문이 94년 10개월간 군정 홍보기사를 내주고 남해군에서 1000만원을 받았다는 지적에 대해서도 김 장관은 처음엔 "아예 그런 거래가 없었다"고 잘라 말했다가 증거자료를 보고는 "정확하게 잘 기억이 나지 않는다"고 말을 흐렸다.

김 장관은 자신의 인터넷 홈페이지(www.leader2002.co.kr)에 "신문사 직원들이 촌지를 받는다면 이미 그 신문은 끝난 신문이다… 선의로 들어오는 후원금도 모두 불우이웃돕기 성금으로 처리했다"고 회고했다. 그러나 김 장관은 문제의 1000만원을 기억하지 못한다고 했다.

김 장관은 첫 번째 인터뷰에서 기자의 또 다른 의혹 제기에 대해 "그런 일이 있다면 당장 장관을 그만둘 용의가 있다. 시골 군수가 옛날로 치면 이조판서가 됐는데 무슨 욕심이 있겠는가"라고 했다. 그런데 두 번째 인터뷰에서는 "나는 다른 더 큰 욕심이 있는 사람"이라고 다르게 말했다.

언론이 김 장관의 행적과 언행을 따지는 것은 결코 개인이 미워서도 아니고 의도적인 흠집내기도 아니다. 단지 그가 국정을 일정 부분 책임지는 행자부 장관에 임명되었기 때문에 그의 능력과 자질, 도덕성이 그 직책에 걸맞은지를 따져보자는 것이다. 물론 최종 판단은 국민과 대통령이 내려야 하겠지만 스스로도 언론의 검증에 대해 반발하기보다는 겸허하게 점검을 해보아야 하지 않을까.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매번 결제가 번거롭다면 CMS 정기후원하기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kb국민은행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프레시안에 제보하기제보하기
프레시안에 CMS 정기후원하기정기후원하기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