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이 윤태식 게이트와 동방 주택 자금의 대선자금 유입설을 제기하며 한나라당을 공격하기 시작했다.
불과 며칠전만해도 진승현 게이트 등 ‘3대 게이트’와 민주당 및 아태재단 관계자 비리, 김홍일 의원 돈상자 전달사건 등으로 수세에 몰리던 모습과는 사뭇 다른 양상이다.
이를 두고 정가에서는 3대 게이트로 방어에 급급하던 여권이 윤태식 게이트와 동방주택 사건으로 역공을 시작한 것 아니냐는 분석이 제기되고 있다.
민주당은 24일 “부산 다대.만덕 지구 택지 형질변경 과정에서 동방주택의 자금이 한나라당 대선자금으로 유입된 것이 확인됐다”며 이회창 총재의 대선자금 수사를 강력히 촉구했다.
민주당 이낙연 대변인은 논평을 통해 “21일 구속된 이영복 전 사장이 지난 대선 당시 이회창 후보를 위해 대선 자금을 줬다고 밝힌 만큼 이제 자연 녹지를 택지로 변경해 수천억원에 달하는 특혜를 준 비호세력이 밝혀지게 됐다”고 주장했다.
장전형 부대변인도 논평을 내고 “부산판 수서사건으로 알려진 이 사건은 ▲동방주택이 특혜를 받을 수 있도록 비호한 세력이 누군지 ▲수백억원의 비자금 가운데 사용처가 불분명한 69억원이 당시 여당이었던 한나라당에 유입됐는지 ▲정치권 인사 중 전 동방주택 사장 이영복씨의 '커넥션'에 누가 연루됐는지를 밝히는 것이 수사의 핵심"이라며 "특히 야당의 실세 P, K, J 의원 등이 개입됐다는 의혹이 철저히 규명돼야 한다"고 밝혔다.
동방주택 사건을 야당의 대선자금 문제로까지 확대, 정면공격을 감행한 셈이다. 이에 대해 한나라당은 여권실세 의혹을 제기하며 맞불작전을 놓았지만, 그간의 일방적 공세에서 부분적으로나마 수세에 몰리게 된 데 대해 당황하는 분위기였다.
***한나라당, “물타기성 음해행위”라 비난**
권철현 대변인은 24일 "(동방주택사건이) 지난 2년간 수사가 진행되지 않은데 대해 여권실세 개입설과 당시 검찰측 개입소문이 있었다"면서 "최근 3대비리와 대통령 주변 얘기가 나오는 상황에서 이영복 전 동방주택사장이 자수했고, 이는 결국 야당에 뒤집어 씌우기를 하려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 장광근 수석부대변인은 “여권이 각종 권력형 비리 의혹으로 궁지에 몰리자 동방주택 의혹을 제기하는 등 정치권을 동반자살시키려는 음모적 행태를 보이고 있다”고 비난했다.
사건이 터지게 된 원인부터 여권의 정치적 음모로 규정하고, ‘역공이 시작됐다’는 진단을 분명히 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조짐은 이미 윤태식 게이트부터 시작됐다. 민주당은 지난 20일 ‘수지 김’사건의 살해범인 윤태식씨의 정치권 로비에 대한 의혹이 제기되자 장전형 부대변인이 논평을 발표해 "국민사기극의 주인공이 특정세력의 비호 아래 성공한 사업가로 행세하고 떵떵거리며 살았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며 "이제 구여권이 어떻게 윤씨를 비호했는지 추악한 공생의 베일을 벗겨야 할 때"라며 검찰의 철저한 수사를 거듭 촉구했다.
이에 대해 한나라당 권철현 대변인은 20일 "민주당과 여권이 (윤씨가 대주주로 있는 벤처기업) ‘패스 21’과 관련해 야당의원 연루의혹을 제기하고 있는 것은 다른 정치적 저의가 있음이 분명하다"면서 "이는 각종 비리사건으로 막다른 골목에 이른 현 정권이 벌이는 ‘물타기성 음해행위’"라고 주장했다.
결국 윤태식 게이트와 동방주택사건을 계기로 민주당은 “비리 의혹을 밝히라”며 공세를 퍼붓고, 한나라당은 이에 대해 ‘물타기성 음해행위’, ‘야당에 뒤집어 씌우기’, ‘정치권을 동반자살시키려는 음모적 행태’라며 반격하는 상황이 연출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모습은 불과 며칠전만 해도 반대였다.
한나라당은 이용호 게이트, 정현준 게이트, 진승현 게이트 등 ‘3대 게이트’ 사건에 대해 지난 9월부터 ‘권력형 비리 진상조사특위’(위원장 정형근 의원)를 꾸려 여당을 밀어붙였다. 이어 한나라당은 진승현 게이트와 관련 김홍일 의원 등 대통령 가족까지 거론되자 “배후 몸통을 성역없이 조사해야 한다”며 적극적인 대여공세를 펼쳤다.
그러다가 윤태식 사건, 동방주택 사건이 터지면서 상황이 역전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는 것이다.
***여야, 전면전이냐 타협이냐 기로에 서**
한나라당이 두 사건을 여권의 정치적 음모로 규정하는 데에는 그럴만한 이유가 있어 보인다. 두 사건 모두 이미 오래 지난 일이 새삼 문제가 되고 있기 때문이다.
윤태식 사건은 지난 87년 있었던 수지 김 살해사건을 재수사하면서 불거졌고, 동방주택 사건 역시 96년의 특혜의혹이 문제다.
검찰 측은 수지 김사건은 한 언론사 기자의 추적 보도, 그리고 동방주택 사건은 최근 이영복 전 동방주택 사장의 자수가 재수사의 계기가 되었다고 하지만 야당으로서는 이미 지난 일이 다시 문제가 되는 상황 자체가 석연치 않다는 것이다.
어쨌든 이제 정치권을 둘러싼 비리 의혹은 야권이 여권을 밀어붙이는 3대 게이트, 반대로 여권이 야권을 공격하는 윤태식, 동방주택 사건 등으로 한층 복잡한 국면을 맞게 되었다.
이러한 상황변화가 여권의 의도적 역공에 의한 것인지 여부는 아직 분명치 않다. 다만 이렇게 여야가 서로 상대방의 약점을 쥐고 흔드는 국면이 앞으로 점점 확대 발전되어 갈 것인지, 아니면 적당한 타협을 통한 수습의 길을 걷게 될 것인지 귀추가 주목된다.
항간의 여론은 여든 야든 비리 의혹 대상이 되는 것은 무엇이든 투명히 밝혀 발본색원해야 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정치권의 분석가들은 최근 청와대와 한나라당 총재실 사이에 “가족문제는 더 이상 거론치 말자”는 전화를 누가 먼저 했는지에 대한 공방이 오고 간 사실을 상기시키면서 타협과 수습국면에 접어든 것 아니냐는 해석에 무게를 두는 분위기다.
하지만 정반대의 해석도 있다. 정권 말기를 맞아 레임덕현상이 이미 심각하고, 여권 내부, 권력기관 사이에서도 암투와 음해설이 난무한 현 상황을 감안할 때 지금까지 터진 비리 의혹 외에 또 다른 의혹들도 줄줄이 터지면서 자칫 통제불능의 사태로 비화할 가능성도 다분하다는 것이다.
게이트 정국이 여야 전면전으로 확대될지, 아니면 타협과 수습국면으로 접어들지 연말정국의 최대 관심사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