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 대통령의 최측근 안희정씨가 지난 2002년 민주당 대통령 후보 경선 당시 대우건설로부터 5천만원을 수수한 사실이 드러나, 민주당 한화갑 전대표 구속 집행을 둘러싸고 불붙고 있는 '경선자금 형평성' 논란이 한층 가열될 전망이다.
안씨는 이같은 후보 경선자금외에 대우건설로부터 대선기간때 1억2천5백만원을 별도로 받았고, 노무현정부 출범 직후에도 부산지역 기업체 두 곳으로부터 4억원을 받아 이를 노대통령 후원자 강금원 창신섬유회장 조카 명의의 차명계좌에서 돈세탁한 사실이 추가로 확인됐다.
***검찰 "안희정, 불법 경선자금 5천만원 수수 진술"**
대검 중수부(안대희 검사장)는 1일 안희정씨가 대우건설로부터 받은 1억5천만원 가운데 "5천만원은 경선자금으로 받았다는 진술을 확보했다"고 밝혔다. 나머지 1억원은 대선자금 명목으로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에 따르면, 안씨는 대우건설로부터 지난 2000년 3월 5천만원, 10월 1억원, 12월 2천5백만원 등 도합 1억7천5백만원을 받았다. 이 가운데 현재 검찰에 의해 불법 대선자금으로 기소된 것은 12월 2천5백만원뿐으로, 나머지 1억5천만원에 대해 대해 검찰은 곧 추가기소할 예정이다.
안대희 검사장은 이와 관련, "3월에 받은 5천만원은 경선자금, 10월의 1억원은 대선자금 명목으로 받았다"며 "향후 추가 기소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검찰, 노무현-정동영 경선자금 수사 착수 불가피**
안씨의 불법 경선자금 수수 혐의가 드러난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노대통령은 취임후 "경선자금 관련 자료는 모두 폐기했다"고 밝힌 바 있다.
특히 이번 경선자금 수수 혐의는 한화갑 의원에 대한 구속영장 청구 논란으로 민주당이 노무현 대통령과 정동영 열린우리당 의장에 대해서도 불법 경선자금 수사를 촉구하며 고발한 시점에 드러난 것이어서, 정치권의 논란이 한층 가중될 전망이다.
대검은 당초 '불법 대선자금'에 대한 수사를 마무리 지은 뒤 단서가 잡힌 대선후보 경선자금 등 기타 불법 정치자금 수수에 대해 수사를 펼 방침이었으나, 서울지검의 대우건설 수사에서 정대철-한화갑 의원 등에 이어 노무현 캠프의 대표 및 대선후보 경선자금 수수 혐의까지 드러남에 따라 부담스러운 입장이 됐다.
그동안 "의혹만 갖고 수사에 착수하지 않는다"라고 주장해온 검찰은 그러나 안씨의 불법 경선자금 수수 혐의가 드러난 데다가 민주당이 노 대통령과 정 의장을 고발함에 따라 서울지검에 수사토록 지시할 것으로 전해져 불법 경선자금 수사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아울러 대선후보 경선 당시 권노갑(구속)씨로부터 2천만원을 받고 검찰 출두를 거부해온 정동영 열린우리당 당의장에 대해서도, 권씨로부터 같은 명목의 2천만원 수수 혐의로 검찰 수사 및 법원 판결을 받은 김근태 열린우리당 원내대표와의 형평성 차원에서 수사가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검찰, "안희정, 2003년 4억원-최도술 4천7백만원 수수 혐의"**
검찰에 따르면, 이밖에 안씨는 또 지난해 3월에도 부산지역 모 기업체로부터 2억원을 받았고 나라종금 사건으로 불구속 기소된 이후에도 부산지역 기업체에서 2억원을 받는 등 총 4억원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안씨의 이같은 불법 정치자금 수수 혐의는 검찰이 노대통령 후원자인 강금원(구속) 창신섬유 회장 조카 명의의 차명계좌에 입금된 5억6천만원의 출처를 조사하는 과정에 확인된 것이어서, 이 차명계좌가 불법 정치자금 돈세탁 경로로 이용된 게 아니냐는 의혹을 낳고 있다.
안씨는 이에 대해 "2억원 중 1억원은 1주일 뒤 돌려줬다고 진술하고 있다"라고 주장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나, 돈을 받은 시점이 대선 이후이고 자금 제공업체가 건설업체라는 점에서 '대가성 뇌물' 및 '당선축하금' 논란을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검찰은 안씨의 추가 혐의에 대해 2일 추가기소할 방침인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은 또 최도술 전 청와대 총무비서관이 재직중이던 지난해 3월 이후 삼성물산 수주담당 이모 상무로부터 3차례에 걸쳐 2천1백만원을 받는 등 대선 후 기업체 등에서 총 4천7백만원을 수수한 사실을 밝혀내 '대통령 측근비리'를 수사중인 김진흥 특검팀에 추가 혐의 사실을 이첩할 계획이다. 검찰은 최씨가 이 상무로부터 받은 돈은 이 상무가 건설업체의 수주담당 임원인 점에 주목 수주관련 대가성 자금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 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