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로 다른 노선을 가진 진보세력간의 통합은 남북통일만큼 어렵다’고 한다.
지방선거와 대통령선거가 있는 올해, 그토록 어렵던 진보세력의 단결이 10여년 만에 추진되고 있다.
민주노동당은 지난 6일 “민주노동당, 민주노총 등 6개 진보단체가 올해 지방선거 전에 통합 진보정당을 창당해 지방선거와 대선에 참여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민주노동당, 민주노총, 전국연합, 전국빈민연합, 한총련 등 5개 진보단체 지도부는 지난 3일부터 사흘간 강릉에서 대표단 수련회를 갖고 통합정당 창당을 합의했으며 전국농민총연맹도 이에 동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은 6월 지방선거를 준비하고 있는 자치연대, 여성민우회, 한국노총, 환경운동연합 등 10개 시민사회단체와도 공동으로 후보와 정책을 내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다른 진보정당인 사회당과의 통합 논의도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민주노동당과 사회당은 이번 주에 대표회담을 갖고 양당통합을 구체적으로 협의할 예정이다. 사회당 이은영 부대변인은 "사회당은 민주노동당과의 통합에 대해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진보진영이 올해 선거를 앞두고 단일 세력 형성에 성공할 경우 그 세력 규모가 관심을 끈다.
***‘노동자, 서민의 정당’ 창당 합의**
진보진영이 통합을 합의하게된 것은 현 정부의 개혁실패로 정치권이 더욱 보수화되고 있다는 위기감 때문. 지난해 10월 재보궐 선거에서 민주노동당과 사회당이 각각 후보를 낸 데 대한 비난 여론에다 5%라는 저조한 득표율도 통합 논의를 가속화시켰다.
민주노동당 이상현 대변인은 “이번 지방선거와 대선이 보수 양당간의 대결로 가게 되면 극심한 지역주의의 충돌이 예상된다”며 “진보세력은 단결하지 않으면 익사할 수 있다”고 통합정당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이 대변인은 “당명, 당 지도체제 등 구체적인 형태에 대해서는 밝힐 수 없지만 통합 진보정당은 노동자와 서민의 정당이 될 것이며 4월 창당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말했다.
진보진영의 연대는 ▲ 민주노동당 등 6개 진보단체로 구성된 ‘실무협의회’를 통한 통합정당 창당 ▲ 사회당과의 통합 ▲ 10개 시민사회단체와 ‘지방선거 연석회의’를 통한 지방선거 공동 대응 등을 주축으로 이뤄질 예정이다.
특히 이 대변인은 “진보진영의 단일 대선후보를 선출하기 위해 완전개방형 예비경선제를 도입할 것”이라고 밝혔다. 국민 참여 비율을 50%로 제한한 민주당의 예비경선제와는 달리 선거인단 참가비만 내면 누구나 참여할 수 있게 한다는 방안이다. 대선 후보만이 아니라 광역자치단체장 후보도 예비경선제를 통해 결정하겠다는 것.
***지방선거 10% 의석 확보 목표**
진보세력의 통합정당은 어느 정도 세력을 가지게 될까?
이상현 대변인은 “지방선거 연석회의에 참여하는 10여개 단체에서 현재 확보하고 있는 지방의원 숫자만 3백50여명”이라며 “6월 지방선거에 1천명 정도 후보를 내 5백명 당선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말했다. 전체 4천8백여명 지방의원 중 10%를 확보하겠다는 것이다.
한편 통합 진보정당과는 별도로 장기표씨가 이끄는 푸른정치연합과 환경운동단체가 주축이 된 녹색당도 창당을 서두르고 있다. 이들은 최근 각 언론사 여론조사에서 지지정당이 없다는 유권자가 전체의 45-60%에 이를 만큼 기성정치권에 대한 불신이 극에 달한 상황에서 개혁적인 지식인들과 중산층의 표를 붙잡겠다는 생각이다.
녹색당 창당준비모임의 임삼진 전 녹색연합 사무처장은 “자치연대, 제 3의 힘 등 지방선거를 준비하고 있는 단체와 공조를 타진 중”이라며 “오는 20일께 창당을 선언하고 1월말에 창당 발기인 대회를 가질 것”이라고 말했다. 푸른정치연합도 오는 10일 창당 발기인 대회를 개최한 뒤 3월 이전에 창당작업을 완료키로 했다.
우리나라 정치사에서 진보정당들은 독재정권의 탄압, 지역주의 및 반공의식에 기반한 유권자들의 투표 행태, 진보진영 내의 분열 등으로 번번이 실패해 왔다. 이제는 민주화와 노동 및 시민운동의 성장, 남북화해, 협력 기류, 환경을 비롯한 새로운 가치의 확산 등으로 외부 조건이 무르익었다는 게 지배적 분석이다.
5.16 쿠테타 이후 30여년간 맥이 끊겼던 진보정당은 90년 민중당 창당 이래로 꾸준히 지속됐지만 아직 기존 보수정당의 대안정당이라고 하기엔 미약하다. 각 진영간의 정치적 입장 차이를 딛고 10여년만에 등장하는 통합 진보정당이 이번 지방선거를 통해 영향력 있는 정치세력이 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