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전국언론노동조합, 한국기자협회, 민주언론시민연합(민언련), 한국언론정보학회가 주최한 '국정원 사태 이후 언론 보도 행태 점검 긴급 토론회'에서 발제자로 나선 이희완 민언련 사무처장은 "언론이 국정원 사태 공범으로 전락했다"며 '언론 대상 국정조사'의 필요성을 주장했다.
이 사무처장에 따르면, 국정원의 선거 개입에 대한 검찰 수사가 진행된 지난 4월 26일부터 6월 14일까지 50일간 MBC는 11건, KBS는 15.5건(단신은 0.5건으로 처리), SBS는 19건 관련 내용을 보도해, 사건의 중요도에 비해 매우 적은 보도량을 보였다.
특히 MBC는 국가 정보 기관이 선거에 개입해 검찰의 수사를 받는 초유의 사태를 주로 '단신' 형태로 전했고, 보도의 절반가량은 뉴스 말미에 배치해 지방 MBC 지역 시청자들은 관련 보도를 접하기 어려웠다.
민주당 진선미 의원이 일명 '박원순 제압 문건'과 '좌파의 등록금 주장 허구성 전파' 문건을 공개한 5월 15일과 19일, MBC는 관련 내용을 아예 보도하지 않았다. KBS는 해당 문건 내용 중 일부를 발췌해, 일부 국회의원이 겉으로는 등록금 인하를 주장하면서도 자녀는 고액 등록금을 들여 유학 보낸 사실을 적시하며 '핵심'을 피해가는 보도를 내보냈다.
ⓒ프레시안 |
NLL 논란은 전면에 배치…"공영방송이 새누리당의 물타기 지원"
이처럼 '사태 축소'에 급급했던 방송 3사는 '서해 북방한계선(NLL) 포기 논란과 남북정상회담 대화록 공개'라는 2막이 열리자, 관련 보도를 대량 생산해 전면에 배치하는 등 180도 다른 보도 행태를 보였다. 공영방송이 앞장서 새누리당의 정치 공세를 확대 재생산한다는 비판이 나온다.
실제 지난달 19일부터 25일까지 7일간 KBS는 관련 내용을 총 15.5건 보도했고, MBC는 13건, SBS는 11.5건 보도했다. 국정원 선거 개입 보도와 비교해 매우 많은 횟수다.
'NLL 포기 발언'을 기정사실화해 보도한 점도 문제점으로 지적됐다. 지난달 24일 언론에 공개된 발췌문 어디에서도 노무현 전 대통령의 NLL 포기 발언은 찾을 수 없었다. 하지만 KBS는 '발췌본 전격 공개…"NLL 바꿔야"' 제하의 뉴스에 "노무현 전 대통령이 지난 2007년 남북정상회담 당시 서해 북방한계선을 바꿔야 한다고 말한 것으로 드러났다"는 앵커의 단정적 해설을 삽입해 보도했다.
보도 횟수는 많았지만 정작 지적했어야 하는 문제점은 '모른 척'으로 일관했다는 비판도 제기됐다. △원칙을 무시한 국정원의 대화록 무단 열람과 공개 △남북정상회담 대화록 공개의 국내외적 영향 △국정원의 대화록 내용 왜곡 및 조작 의혹 등을 분석한 보도는 찾아보기 어려웠다는 비판이다.
시국 선언과 촛불 집회 '폄훼' 보도
전국으로 확산하고 있는 시국 선언과 촛불 집회를 일절 보도하지 않거나, 심지어 '폄훼'하는 보도 행태도 도마에 올랐다.
<중앙일보>와 <동아일보>는 6월 22일부터 7월 1일 사이 시국 회의와 촛불 집회에 관한 기사를 단 한 건도 내지 않았다. <조선일보>는 국정원 댓글 사건을 "대선에 미친 영향이 거의 없는 사건"이라고 자평하며, 촛불 집회를 "정권의 정통성 흠집 내기"라고 호도하거나 "일부 단체가 국정원 선거 개입을 '반미 자주 투쟁의 계기'로 삼고 있다"는 주장을 펼쳤다.
같은 기간 KBS는 단신 1건, MBC 역시 단신 1건, SBS는 일반 1건, 단신 1건으로 관련 내용을 보도했다. 이는 2008년 미국산 쇠고기 관련 촛불 집회 때와 비교하면 매우 적은 횟수다. 당시 방송 3사는 기자가 직접 현장 상황을 전달하기도 했으며, 그해 5월 2일부터 11일까지 열흘 동안 3사 모두 각 7건의 보도를 내보냈다.
이에 대해 이 사무처장은 "2008년 광우병 촛불 집회 때는 이명박 정권이 방송 장악 시나리오를 본격 가동하기 전"이라며 "2008년과 현재 방송 3사의 보도 행태가 다른 것은 전 정권이 방송 장악에 완전히 성공했단 사실을 적나라하게 보여준다"고 지적했다.
▲ KBS는 국정원 발췌본이 전격 공개된 지난달 24일 "노무현 전 대통령이 지난 2007년 남북정상회담 당시 서해 북방한계선을 바꿔야 한다고 말한 것으로 드러났다"는 앵커의 단정적 해설을 삽입해 보도했다. ⓒKBS |
"이명박 정부의 언론 장악 과즙, 박근혜 정부가 달게 마시고 있다"
이 외에도 토론 참가자들은 △MBC <시사매거진 2580>의 '국정원에서 무슨 일이?' 편이 일방적으로 불방된 사건 △YTN의 '국정원 SNS 박원순 비하글 등 2만 건 포착' 단독 보도가 돌연 중단된 일 △국정원 보도 행태의 문제를 지적한 KBS <TV비평 시청자데스크> 제작 간부가 해임된 일 등을 되짚으며 "이들 언론은 정권 비위를 맞추려 '국민의 알 권리'를 포기했다"고 비판했다. (☞관련 기사 보기 : 국정원 정치 공작 의혹 보도, MBC는 삭제 YTN은 중단)
최진봉 성공회대 신문방송학과 교수는 "저널리즘의 기본 원칙 자체가 전혀 지켜지지 않고 있다"며 "특히 공적 재원을 바탕에 둔 공영방송이 새누리당의 '물타기'를 지원하고 보수 언론 기사를 그대로 받아쓰는 행태는 문제가 심각하다"고 우려했다.
최 교수는 "이런 문제는 정권이 공영방송 사장을 사실상 '선임'하는 구조 때문"이라며 "이제 수신료 납부 거부 운동을 벌이는 등 시민이 직접 나서 이들 방송사에 공영성 사수를 주문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사무처장 역시 "수신료 납부 거부 운동에 매우 공감한다"며 "KBS는 공영방송의 책무를 다한 후 수신료 인상을 추진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또 "지난 이명박 정권 때 완성된 언론 장악의 과즙을 박근혜 정부가 달게 마시고 있다"며 "박근혜 대통령은 '언론 장악 의도는 없다'고 했던 자신의 말에 책임을 져야 한다"고 말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