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초년병들을 만나면서 알게 된 것은 그들 역시 마찬가지였다는 사실이었다. 똑같이 우연찮게 직업을 선택했고, 또 그 일을 계속할 것인가에 대해 끊임없이 고민했다. 고민하는 시기에도 공통점이 있었다. 당장은 대학을 졸업하고, 어떻게든 일자리를 얻은 직후부터 고민이 시작됐다. 취직 후 6개월 무렵부터다. 갓 입사해 부산한 분위기가 어느 정도 정리가 되고 나서다. 이 무렵이면 다른 선택을 한 대학 동기들 얘기가 들려온다. 동시에 내 선택이 과연 옳았던 것인가에 대한 깊은 회의에 빠지게 된다. 내 경우도 그랬다. 어쭙잖게 언론사에 입사하고 나서 옳은 선택이었나에 대해 끝없이 되뇌곤 했다.
'언론사에 입사할 수밖에 없었던가? 그랬더라도 공채였다면 더 나은 조건으로 입사할 수 있었을 텐데. 기왕이면 더 나은 언론사로 입사할 수 있었을 텐데.' 고민은 꼬리에 꼬리를 물고 이어졌다.
사회생활을 2년 정도 할 무렵에도 또 한 차례 진로에 대해 심각한 고민을 하게 된다. 이 시기는 대학을 졸업하고 사회가 아니라 대학원으로 진학한 친구들 소식이 전해질 무렵이다. 동시에 입사 동기들 간에도 회사 내에서의 입지를 두고 격차가 벌어질 무렵이다. 대학원에 간 친구들이나, 동기 몇몇이 잘 나가기라도 한다면 고민은 더욱 커진다. 내가 잘 싸울 수 없는 링으로 뛰어들었구나 하는 생각이 또렷해지기 때문이다. <중앙일보>에서의 싸움에서 패해 내동댕이쳐졌을 때의 느낌이 그랬다. 적어도 그 곳은 내 능력을 온전히 발휘할 곳은 못 됐다. 왜 진작 그 사실을 눈치 채지 못했을까? 불운을 탓하기보다 내 오판을 자책하게 됐다.
반면 선배들은 격동의 2~3년차 직장 생활을 끝내고도, 또 다른 고뇌의 시기가 온다는 사실을 알려줬다. 심지어 한 선배는 직장 생활 자체가 매일매일 고뇌의 연속이라는 주장도 했다. 그들이 공통적으로 지적한 시기는 대개 5년차 무렵이었다. 이때는 입사 동기들끼리도 사내의 입지와 관련해 간극이 꽤 벌어져 있을 때다. 좀 억울한 생각이 들 무렵이다. 무엇보다도 이때를 넘기면 직장인은 돌이킬 수 없게 된다. 다른 선택을 할 마지막 기회인 셈이다. 그 후에는 무슨 일이 있어도 그 직장에서 붙박이가 돼야 한다. 또 고민할 시기가 다가온다는 얘기는 내게 묘한 위안이 돼 주었다.
그렇게 붙박이 회사인으로 자리를 잡아가기 시작할 무렵 생기는 고민이 바로 '사내정치(office politics)'다. 실제 기업 조직에서 이 말은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 일은 못해도 관계만 좋으면 성공할 수 있다는 식으로 말이다. 물론 우리 기업 문화에서 회사인으로의 성공이 100% 실력과 노력만으로 이뤄지는 것은 아니다. 인사와 같은, 그곳에서 내려지는 결정들 또한 합리적으로 이뤄지지만은 않는다. 그보다는 사내정치라고 일컬어지는, 권력 다툼과 권력자들 사이의 절충의 결과일 때가 많다. 그 결정은 개인의 진퇴를 포함해, 직장 구성원 모두의 운명을 결정지을 만큼 파괴적이다.
가끔 드라마나 책을 통해 사내정치를 간접 체험할 기회가 오곤 한다. 그럴 때면 직장인 누구라도 그 세계를 힐끔거릴 수 있다. 그러나 회사 상층부의 내밀한 세계 전부가 들여다보이지는 않는다. 하급자 신분에서 그럴 기회를 얻게 된다고 하더라도, 그건 결코 좋은 일이 아니다. 차라리 그 세계를 모르는 게 나을지도 모른다. 왜냐하면 그 세계는 우리가 알거나 상상하는 것과는 크게 다르기 때문이다. 경영학이나 경제학 교과서와도 딴판이다. 차라리 퀴퀴한 냄새가 나는 시궁창에 가까운 편이다.
{#8934003871#}
▲ <김 과장&이 대리>(하영춘 외 7인 지음, 거름 펴냄) ⓒ거름 |
이 책을 읽을까 말까 고민하고 있는 분들께 하고 싶은 충고 역시 마찬가지다. 나와는 관련이 없다고, 난 언젠가 그만둘 거라고 사내정치를 완전히 외면해 버려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사내정치를 포함해 조직의 어두운 면을 잘 알아둘 필요가 있다. 그 점을 이용해 세속적인 의미의 성공이나 출세를 하든, 아니면 그것과 싸우든 간에, 불의 속성을 잘 알아야 불을 활용할 수도, 제대로 끌 수도 있다.
<김 과장&이 대리>는 샐러리맨들의 이야기다. 상사와 하급자의 관계, 사내 연애, 성희롱, 땡땡이치는 기술, 회식과 출장, 승진과 이직 등 직장생활에서 일어나는 일들이 가감 없이 담겨있다. 상황도 그대로 묘사돼 있고 표현도 현실의 언어 그대로다. 그래서 현장감과 공감대는 있으나 그 이상의 대안과 역동성이 없어 지루한 면도 있다. '그래도 별 수 있나, 참고 열심히 해야지'라는 결론밖에는 달리 방법이 없는 책이기도 하다.
그러나 다시 한 번 생각해보면, 회사는 닫혀 있는 우리다. 우리는 매일 그 우리 속으로 들어가, 물어뜯고 물어뜯기는 싸움을 벌여야 한다. 불행하게도 그 싸움은 끝나지 않는다. 회사 생활을 하는 한 영원히 계속된다. 그 숨 막히는 공간에서 우리는 우리의 편을 찾아 헤맨다. 지친 마음을 달래 줄 동기와 후배, 그리고 선배를 찾아 헤맨다. 그들 품에서 비로소 살벌한 회사 생활도 해 볼만 한 것이라고 느끼게 된다. 이 책은 바로 거기서 의미를 찾을 수 있다. 책 속에 등장하는 1만 명의 김 과장과 이 대리가 그 품이 돼 준다.
직장 생활은 누구나 겪어 왔던 일이다. 어떻게 경험하느냐의 차이가 있을 따름이다. 최악의 상황이라고 비탄에 잠길 일도, 최고로 기쁜 일이라고 소리 높여 외칠 일도 아니다. 그저 담담히 받아들이고, 또 즐길 일이다. 김 과장과 이 대리에게 드리고 싶은 개인적인 충고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