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화면으로
추봉도, 포로수용소의 기억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밴드 공유하기
  • 인쇄하기
  • 본문 글씨 크게
  • 본문 글씨 작게
정기후원

추봉도, 포로수용소의 기억

강제윤의 '섬을 걷다' <22> 추봉도

"사실이 너무 잔혹하지 않고 꿈이 너무 비현실적이 아닌 나라에서 살았으면"
(버나드 쇼, '존 불의 또 하나의 섬')


다찌 집

통영 항 여객선 터미널 부근 식당, 나그네는 밥상이 나오기를 기다린다.
주인은 점심 손님 맞을 준비로 분주하다.
메뉴는 '생선 정식' 하나뿐이지만 식당은 늘 만원이다.
밤이면 식당은 밥집의 간판을 접고 '다찌' 집으로 변신한다.
다찌 집이 돼도 선택의 여지가 없기는 마찬가지다. 메뉴는 따로 없다.
주인이 주는 대로 먹는 것이 유일한 메뉴.
술은 맥주나 소주 불문하고 무조건 한 병에 만원.
술값이 비싼 데는 이유가 있다. 안주가 공짜다.
술 세병 기본 상차림에 생선회부터 생선 구이, 소라, 멍게, 새우튀김, 전복죽까지 온갖 해산물이 딸려 나온다. 술 한 병을 더할 때마다 새로운 해산물 안주가 추가된다.
해산물의 종류는 철마다, 날마다 바뀐다.
주인이 새벽 어시장에 가서 싱싱한 것들을 골라온다.
다찌 집은 한 자리에서 싼 값에 다양한 해산물 안주를 맛보고자 하는 술꾼들의 기대에 충분히 부응한다.
그래서 '다찌'의 어원이 '다 있지'에서 유래했다는 주장은 설득력이 있다.
하지만 다찌 집은 사철 풍부하게 해산물이 공급되는 통영 같은 어항에서만 가능한 문화다.
▲ 추봉대교 아래, 어선 한척이 기관이 고장난 어선을 끌어 가고 있다.ⓒ강제윤

허름한 식당이지만 점심 예약전화가 끊이지 않는다.
주인 부부는 생선을 굽고 홀 한 편에는 다듬다만 마늘쫑이 그대로 놓여 있다.
주방 쪽에서 머리에 비녀를 꽂은 노인 한분이 느리게 걸어 나와 홀 청소를 한다.
물걸레로 바닥을 닦고 쓰레기를 치우고 빈 물통에 물을 채운다.
허드렛일을 하는 노인은 팔십이 넘어 보인다. 이마는 주름이 깊고 얼굴은 까맣게 탔다.
주인의 친정어머니일까. 노인의 얼굴에 수심이 가득하다.
나이든 노인이 노동할 수 있는 건강을 가졌다는 것은 축복이다. 그러나 노인은 행복해 보이지 않는다.
힘에 부치는 노동. 노인은 혹 주인의 가족이 아니라 품팔이를 온 것이 아닐까.
시리다.
식탁에 나온 참나물도, 콩나물도, 배추 겉절이도 모두 저 팔순 노인의 손을 거친 것이다.
손님이 들기 시작하자 노인은 소리 없이 뒷문으로 사라진다.
저녁까지 살 수만 있다면 노인은 술손님 맞이를 위해 다시 돌아올 것이다.

추봉도

한산도를 거처 추봉도로 왔다. 작년 여름 개통된 추봉대교로 어미 섬 한산도와 연도가 된 후 추봉도의 교통이 편리해졌다. 통영-추봉도간 직항은 하루 두 편 뿐이지만 한산도를 거치면 한 시간에 한 번 씩 배를 탈 수 있다. 하루에 배가 두 번 다니는 것과 한 시간에 한번 다니는 것은 횟수 증가 이상의 의미를 가진다. 섬은 육지와의 간격이 좁혀지는 만큼 고립감이 줄어든다.
▲ 산나물과 잡곡 등을 팔러 나온 봉암 마을 할머니ⓒ강제윤

추봉도 봉암 마을 바다는 해녀들의 물질이 한창이다. 갯돌 해변은 휴가철이면 피서객들로 붐빌 것이지만 지금은 한적하다. 해녀들은 가까운 해변에 딱 붙어서 군소를 잡는다. 해삼이나 소라 전복 따위는 아주 드물다. 군소는 아직 흔한 편이다. 해녀들이 의지하는 부표는 모두 주황색이다. 통영시에서 주황색으로 통일 시켰다.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서다. 바다에는 수도 없이 많은 부표들이 널려 있다. 그물, 통발, 양식장의 위치를 알려주는 부표들. 항해하는 선박들은 주황 색 부표가 눈에 띄면 근처에 해녀가 있는 것을 눈치 채고 조심해서 배를 몰아 갈 것이다.

포로수용소

추봉도의 예곡, 추원 마을은 한국 전쟁 때 유엔군의 포로수용소가 있던 곳이다. 1952년 5월부터 포로수용소가 설치돼 1만 명의 공산 포로가 수용됐다. 그 흔적이 지금껏 남아 있다. 추봉도의 곡룡포에서 거제도는 코앞이다. 거제도 포로수용소에 있던 포로들 중 일부가 추봉도와 용초도 등지로 옮겨지면서 수용소가 생겼다. 예곡 마을에는 포로수용소였던 사실을 알려주는 입간판이 서 있다.

"이곳에 수용된 포로들은 동란 포로 중 가장 악질적인 포로로서 막사 사이에는 2중 철망에다 원형 철조망 벽이 설치되었다."
▲ 봉암마을 몽돌 해수욕장ⓒ강제윤

기록이 반드시 역사적 진실과 일치하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이 여기서 다시 한 번 확인된다. 당시 포로수용소장은 제네바 협약을 어기고 공산 포로들에게 온갖 고문을 자행했다. 거제 포로수용소 폭동은 그에 항거해 발생한 것이다. 악질은 누가 더 악질이었던 것일까.

유엔군은 한국전쟁 당시인 1950년 11월 27일 거제도 360만 평의 땅에 포로수용소를 설치했다. 인민군 15만, 중공군 2만 명, 여성 포로와 의용군 3천 명 등 17만 3천 명의 포로가 수용됐다. 수용소 안에는 공산포로와 반공포로가 함께 수용됐다. 포로 수용소장 F.T.도드 준장은 포로들의 본국 귀환을 포기시키려고 협박과 고문을 일삼았다. 이에 포로들은 격렬히 저항했고 수많은 포로들이 살해됐다. 그 과정에서 수용소장이 감금됐다 풀려나기도 했다. 그 후 일부 포로들이 인근의 추봉도, 용초도 등으로 분산 수용됐고 포로 수용소장은 해임 당했다.

예곡, 추원마을에 포로수용소가 들어서면서 마을 사람들은 인근의 다른 마을로 소개되었다. 1953년 7월 27일, 휴전협정 이후 수용소가 폐쇄된 다음에야 주민들은 재 입주 했다. 느닷없이 집과 농토와 마을을 빼앗긴 주민들은 돌아온 뒤에도 아무런 보상을 받지 못했다. 당시 열 네 살이던 마을 노인은 그 일들을 생생히 기억한다.

"그 때 젤 첨에 해군 다이버들이 와서 순찰해 갔어. 그리고 얼마 있다가 크나큰 배가 와서 입을 떡 벌리더라고. 그리고 이상한 차가 와서 오두막을 다 때리 빠 뿌리고. 한두 번 밀어 삘면 희뜩 넘어가고. 우리야 가만 구경만 하고 있었지. 머시 머신지도 모르고 나가라니까 나가고 그랬지."
▲ 해안 가에서 군소잡이 중인 추봉도 해녀ⓒ강제윤

노인은 당시 주민들이 아무런 보상도 받지 못한 것은 '군(軍)이 추봉도에 포로수용소를 설치하면서 추봉도를 무인도라고 상부에 보고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여기는 사람이 안사는 곳이다. 무인도라고 속이고. 그때 사람이 얼마나 살았는데. 이 섬에 학생만 380명이나 됐는데"

수백만이 죽어간 전쟁 통에 천명이 사는 섬 하나쯤 무인도로 만드는 것이야 일도 아니었을 것이다. 당시 추봉도에 수용된 포로들 중에는 추봉도 사람도 있었다. 제 살던 고향마을에 포로가 되어 갇히게 된 마음이란 대체 어떤 마음이었을까. 동족상잔의 비극은 이 나라 어느 땅 한곳도 비켜가지 않았다. 노인은 예곡 마을 출신 포로는 어찌 됐는지 행방을 모른다. 추원마을 출신 포로는 석방 후 다시 고향에서 살다가 생을 마쳤다. 추봉도 포로수용소에서도 서로 간에 죽고 죽이는 참극이 멈추지 않았다.

"똥통에 빠뜨려 죽여 버리기도 하고. 죽은 걸 똥통에다 버리기도 하고 그랬대."

마을로 돌아온 사람들은 수용소 건물과 도로 등의 시멘트를 걷어내고 다시 밭으로 만들었다. 그 힘든 일을 온전히 손으로만 했다.

"그 당시에는 못 묵고 살아서 밭 만든다고 허물어 삘었어. 호빡 공구리 해 논 걸 손으로 깼어."
▲ 예곡 마을에 남은 포로수용소 정문 기둥 ⓒ강제윤

그래서 지금 예곡 마을에는 수용소 정문 기둥만 하나 달랑 남았다. 포로수용소의 흔적은 어디에도 없다. 노인은 그것이 조금 아쉽기도 하다. 거제도 수용소처럼 관광자원이 될 수 있었는데 그렇지 못해서다.

기생촌(女妓谷)이 예곡(禮谷)으로

노인은 마을 앞 바다에서 가두리 양식을 한다. 조피볼락(우럭)과 참돔, 각시볼락 등을 키운다.

"이깝 값도 안되요. 너무 헐해. 키는 사람, 먹는 사람들만 죽어나제. 중간에서 다 채버리고. 못 살아. 못 살아."

고생해서 키워봐야 사료 값도 안 나온다고 노인은 푸념이다. 어디서나 수산물의 이득은 중간 상인과 횟집 주인들 차지다. 어민들은 헐값에 팔고 소비자는 비싼 값에 먹는다. 그것이 바다에서만 그럴까.

"싸게 해야 먹을틴디. 서울 사는 아들내미 한테 전화가 왔어. '거기서는 야도(방어새끼) 한 마리 얼맙니까?' 해. 서울서는 야도 한 마리가 3만원씩이나 한다고. 좀 큰 거는 10만원이 훌쩍 넘고. '사묵냐?' 했지. '우짤낍니꺼.' 그래. 묵고 싶은데 묵어야지 우째. 여기서는 야도 한 마리 2천 5백원, 3천원도 못하는데."
▲ 예곡마을 바다 건너 거제도가 지척이다.ⓒ강제윤

산지에서 어부들을 떠난 물고기는 소비자에게 10배도 넘는 가격에 팔린다. '시장'의 주인은 언제나 따로 있다. '어 시장'에서도 어부와 손님은 '봉'이다. 노인은 바다 고기는 겨울에 먹어야 제 맛이라고 일러준다.

"못해도 음력 9월은 돼야 고기에 기름기가 있어서 먹을 만하지. 여름에는 썰어 놓으면 10분도 못돼 물이 나와. 그게 다 기름이 빠지고 없기 때문이지."

예곡 마을 입구에는 마을의 역사를 알려주는 비석이 서 있다. 임진왜란 전부터 경상 우수영에서 이 마을에 관기들을 거주시켜 기생촌을 만들었다. 그래서 여기곡(女妓谷) 혹은 여곡(女谷)이라 불렸었다. 1925년 참봉 이강도 등 마을 유지들이 예곡(禮谷)으로 개칭했다. 기생촌이 예곡이 된 것은 상전벽해다. 지명 유래 설명이 없었다면 유난히도 예절바른 마을로 기억됐을 것이다. 다니다보면 이름자의 뜻풀이만 가지고는 알 수 없는 것이 마을의 내력들이다. 이 땅의 많은 지명들이 그렇다. 그러나 예곡 마을 사람들은 마을의 유래를 제대로 알려 주는 이 비석이 못 마땅하다. 자기 마을의 역사를 부끄럽게 여기는 까닭이다. 노인도 탐탁치 않은 눈치다.

"뿌셔 삐라, 해 쌓고 말들이 많구만."

그 마음이 이해가 되기도 한다. 하지만 나그네는 사뭇 궁금하기도 하다. 다음에 다시 찾았을 때도 저 비석이 무사할까. 혹 '예로부터 예절 바른 마을이라 예곡이라 했다'는 새로운 지명 유래석이 서 있게 되지는 않을까.
▲ ⓒ프레시안

누리집: http://www.pogildo.pe.kr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매번 결제가 번거롭다면 CMS 정기후원하기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kb국민은행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프레시안에 제보하기제보하기
프레시안에 CMS 정기후원하기정기후원하기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