납북 일본인 요코다 메구미에 대한 김영남 씨의 29일 기자회견에 대해 일본 언론들은 김 씨가 납치 문제에 대한 한국과 일본의 공조를 깨뜨리기 위해 '거짓말'을 했다는 반응을 보였다.
일본 언론들은 기자회견이 있은 직후부터 다음날인 30일까지 김 씨의 기자회견 내용을 대대적으로 보도하면서 '김 씨가 북한의 대변인 역할을 했다'는 비난을 쏟아냈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30일 "김영남의 발언은 일본이 아니라 한국을 의식한 것으로 메구미가 실제로 사망했다는 이미지를 심어주려 했다"며 "그로써 (납치 문제에 대한) 한일간의 공동보조를 흔들고 납치문제를 끝내려는 의도가 있다"고 분석했다.
<아사히신문>도 "북한 당국이 한국 국민들을 향해 '민족공조 정신'을 슬그머니 호소하고 일본에 대한 반발을 이끌어내 한일간의 분열을 노린 기자회견"이라고 평가했다.
<마이니치>는 김 씨 회견의 가장 큰 목적은 한국 국민에게 메시지를 보내는 것이었다고 말했다. 한국에서 납치가 사회문제가 되면 북한에 대한 비판이 강해지고 이 문제에 대한 한국과 일본의 연대도 강화돼 국제적 고립이 심화되고 한국의 지원도 받기 어려워지는 상황을 피하려는 계산이 작용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일본 언론들의 이같은 분석은 그간 납치 문제에 대한 한일 양국의 해법에 상당한 차이가 있어 '공조'가 그다지 뚜렷하지 않았음을 간과한 것으로 보인다.
일본은 납북자들을 즉각 송환하지 않으면 제재를 가하겠다는 '급진적인' 정책을 취해 온 반면, 한국은 '생사확인→상봉→송환'이라는 단계적이고 점진적인 접근법을 취해 왔기 때문이다.
통일부 당국자도 30일 '메구미 문제로 일본과 협조할 사안이 있느냐'는 질문에 "정보공유는 하되 정책적으로 협조할 것은 없고 일본이 알아서 해야 한다"며 "차분하고 조용하고 진지하게 협의해야 납북자 문제를 실질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고 말해 일본과의 공조는 없다는 입장을 표명했다.
일관된 여론 속에 일본 정치세력이 취할 노선은?
일본의 주요 신문들은 또 김 씨의 기자회견 내용을 1면과 종합면, 사회면, 사설 등에 나눠 실으면서 "예상대로" 북한 당국의 시나리오에 따라 진행된 엉터리라고 평가했다.
도쿄에서 발행되는 주요 일간지 6개 중 5개가 김 씨의 기자회견을 사설로 다루면서 "북한 대변으로 일관", "회견도 공작의 일환인가", "조작된 회견의 서글픔" 등 부정적인 제목 일색이었다.
<아사히>는 사설에서 북한에서 당국의 감시 하에 이뤄진 회견에서 자유로운 발언을 기대하는 것은 무리라고 지적했다. 이 신문은 이어 그의 회견은 북한의 불성실한 자세를 부각시켜 일본 국내의 강한 불신감을 증폭시켰다면서 그를 일본에 보내 납치피해자 가족 등에게서 직접 질문을 받도록 하라고 제의했다.
<요미우리>도 "당국의 시나리오를 되풀이한 발언"이라는 제목의 사설에서 북한은 김씨 회견으로 납치문제를 끝내려는 전략이었지만 거꾸로 꼬리가 드러났다고 말했다. 이 신문은 특히 "납치된 것이 아니다"라는 김 씨의 발언은 "인간의 생사와 가족의 운명까지도 희롱하는 북한의 비정한 수법을 드러낸 것"이라고 비난했다.
<마이니치>신문도 취재단에 미리 질문서를 내도록 한 데서도 알 수 있듯 당국이 사전에 시나리오를 쓰는 등 면밀히 준비했다고 볼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산케이>신문은 "시나리오에 따른 연출", 도쿄신문은 "이것도 공작의 일환인가"라는 제목으로 각각 사설을 싣고 김 씨의 회견으로 오히려 북한 군사독재체제의 잔혹성이 부각됐다고 지적했다.
일본 정부와 언론, 납치 피해자들이 김 씨의 기자회견을 이처럼 강력히 비난하고 나섬에 따라 북한에 대한 일본 사회의 적대감과 증오감은 과거 보다 더욱 증폭될 것으로 보인다.
그에 따라 일본인들의 대북 증오심은 향후 진행될 북한과의 협상은 물론, 차기 총리 선출 과정 등 일본 국내 정치에 있어서도 커다란 변수로 작용할 공산이 커졌다.
대북 강경책만이 여론의 지지를 모을 수 있는 상황에서 일본의 정치세력들이 취할 수 있는 정책 노선의 폭은 협소해 질 수밖에 없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