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고 이제 올림픽이다. 유로2012가 단일종목, 단일대륙의 행사라면, 올림픽은 다수 종목, 전 대륙을 위한 스포츠 이벤트다. 2012 런던올림픽은 인터넷, 모바일 기기,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등이 널리 퍼진 후 열리는 전 세계적 규모의 첫 축제라는 점에서 '소셜림픽(Social+Olympic)'으로 불리고 있다.
국제올림픽위원회(IOC)는 2012 런던올림픽 홍보를 위해 출전 선수들의 SNS를 모은 허브 사이트(http://hub.olympic.org/)를 열었다. 이 사이트에 톱스타들이 트위터를 통해 팬들의 질문에 답하는 페이지를 만들어 선수와 관객이 서로 소통할 수 있도록 했다. 런던올림픽 조직위원회(LOCOG) 역시 '소셜림픽'을 표방하며 전 세계 SNS 이용자뿐 아니라 선수들에게도 SNS 참여를 독려하고 있다.
그러나 올림픽 현장 곳곳에서는 SNS를 둘러싼 잡음이 끊이지 않아 '소셜림픽'이라는 타이틀이 무색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올림픽 선수들, 트위터 때문에…
"트위터 탓에 금메달 못 땄다." 지난 7월 31일 여자 배영 100m 부문 경기에서 은메달을 딴 호주의 에밀리 시봄이 경기 직후 인터뷰에서 한 말이다.
▲ 배영 100m 경기에서 은메달을 획득한 호주의 에밀리 시봄 선수 ⓒ로이터=뉴시스 |
시봄은 인터뷰에서 "예선전 끝나고 트위터를 보니 나의 금메달은 떼어 놓은 당상인 양 얘기되고 있었다"며 "잘해야 본전인 상황에서 결국 부담으로 작용했다"고 말했다고 호주 언론 <시드니 모닝 헤럴드>가 지난 7월 31일 보도했다. 시봄은 "진작 트위터와 페이스북 계정을 탈퇴했어야 했다"며 후회하는 모습을 보였다.
SNS에서 인종차별 발언을 했다가 대회 '퇴출'의 불명예를 안은 선수들도 있다. (관련 기사 : <그리스 여성 선수, 올림픽 대표팀서 퇴출된 까닭은?> <'한국인 비하' 스위스 축구선수 올림픽 '퇴출'>) SNS가 이래저래 선수들에게는 곤혹스러운 존재가 된 것이다.
조직위 'SNS 자제' 요구, 어리둥절한 관객들
올림픽 조직위원회의 준비 부족도 '소셜림픽'의 성공을 어렵게 만드는 요인이다.
런던올림픽 조직위원회는 당초 경기장을 찾는 관객들에게 SNS 사용을 독려했다. 그러나 개막 사흘도 지나지 않아 조직위는 'SNS 사용 자제' 쪽으로 태도를 바꿨다. 무선 통신 인프라 부족 때문이었다.
<AP>통신은 지난 7월 30일 올림픽 조직위원회가 경기를 지켜보는 관중에게 SNS 사용을 자제해달라고 요구했다고 보도했다. 대회를 앞두고 통신 회선 용량을 크게 늘렸지만, 순간적으로 사용량이 급증하는 경우 대응하기 쉽지 않았던 탓이다.
문제는 29일 남자 사이클 경기에서 발생했다. 관객들의 SNS 사용으로 통신망에 과부하가 생기면서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에 오류가 발생해, 진행 당국이 1위와 다른 선수 간의 간격을 파악하지 못하는 사건이 일어난 것이다.
조직위의 'SNS 자제' 요구에 관객들은 불만을 토로했다. 통신은 지난 7월 30일 "이럴 거면 '소셜림픽'이라는 타이틀을 없애라"는 현지 관객들의 반응을 보도했다.
"스폰서 악법 고치자" 선수들, 트위터에서 항의 시위
물론 이번 대회에서 SNS가 늘 '말썽'인 것만은 아니다. 오히려 대회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는 의견도 있다.
미국 육상 선수들이 올림픽 스폰서에 대한 지나친 보호 정책을 비판하며 트위터에서 벌인 항의 시위가 그 예다.
2008년 베이징올림픽 육상 금메달리스트인 미국의 돈 하퍼는 트위터에 "우리는 올림픽 헌장 40조의 개정을 요구한다"는 항의성 글을 올려 화제가 됐다. 해당 조항은 참가 선수들이 대회 기간에 공식 스폰서가 아닌 다른 기업을 홍보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다.
▲ 2008년 베이징올림픽 100m 허들 경기에서 금메달을 딴 미국의 돈 하퍼 선수 ⓒ로이터=뉴시스 |
이 조항에 대한 판단은 저마다 다르다. 그러나 적어도 선수들이 SNS에 올림픽과 관련한 의견을 올리면서, 대회 규정 등에 관해 토론할 기회가 생긴 점은 긍정적으로 볼 수 있다.
순기능의 여지는 분명 있다. 그러나 이번 대회에서 SNS는 아직까지는 부정적인 측면이 더 드러난 것은 사실이다. '소셜림픽'이라는 별칭이 허울로만 남을 수 있는 상황. 앞으로 조직위가 이 난관을 어떻게 극복할지 두고 볼 일이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