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Ⅳ. 맺는말**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고구려사 연구는 중국에 비해서 한국이 월등하게 앞서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표 > 한·중 양국의 고구려사 학위 취득 현황
고구려사를 전공으로 하는 박사학위 취득자가 단 2명(1명은 한국에서 학위 취득)이고 석사학위 취득자도 12명에 불과하다. 한국의 박사 32명과 석사 198명에 비교하면 비교도 안 되는 숫자이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학위 취득자도 중국의 사회적 특성상 크게 활동하고 있지 못하고 있다. 특히 두 명의 박사는 모두 조선족이고, 석사 12명은 대부분 최근에 학위를 취득한 젊은 사람들이라 연구 성과도 많지 않고 중국 사학계에서 목소리를 낼 수 있는 위치에 있지 않다.
논문 6편 이상을 쓴 중국의 주요 고구려사 연구자들도 절반 정도는 이미 일선에서 물러난 학자들이고, 고구려 연구자들 가운데 동북공정에 직접 참여하는 학자들도 사실상 몇 명 안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에 고구려가 지난 10년동안 활동한 국제학술대회, 고구려 전문 학술지 ꡔ고구려연구ꡕ 같은 연구성과는 동북공정에서 주도하는 변강사지연구중심에서도 크게 평가하고 있다.
그런데 왜 우리나라에서는 중국에서는 수 백명의 학자들이 동북공정에 참가하는데 우리는 박사가 14명밖에 안 된다고 자조하고 두려움을 가져야 했는가? 사실 메스컴이나 국민들은 한중간의 고구려사 연구 성과를 알 수 없다. 그렇기 때문에 이러한 결과는 전적으로 고대사나 고구려사를 연구하는 학자들의 책임이다.
사실 동북공정이 사회문제가 되고 한중역사전쟁으로까지 비화될 때 가장 뼈아픈 반성을 해야 하는 사람들은 바로 고대사나 고구려사를 연구하는 학자들이다. 본론에서 보았지만 고구려사 왜곡문제는 이미 1993년 집안에서 열린 국제학술대회에서 크게 문제가 되었고 국내 신문에도 크게 보도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공 학자들은 "한국의 열악한 연구 환경 …"을 핑계 삼아 이에 대한 반론 개발에 게을리 하였다.
그러나 사회에서 크게 이슈화가 되자 그들의 행동은 매우 민첩했다. 성명서를 발표하고 학술대회를 열면서 중국에 비해 우리 학계가 얼마나 연구자가 없는지를 열심히 강조하였다. 그러나 거기에는 단 한 번도 두 나라간의 고구려 연구의 성과를 제대로 평가한 적이 없었다. 마치 지금까지의 사보타지에 대한 면죄부를 받기 위한 거처럼 '중국은 많고 한국은 적다'는 발표를 계속했다. 그리고 그런 발표는 그대로 메스컴을 타고 국민에게 전달되어 "결국 중국에는 안 된다"는 패배의식을 심어 주었다.
한 걸음 더 나아가 국가에서 100억을 내놓는다는 설이 나오자 그 연구비를 고대사가 아닌 다른 학자나 단체에게 빼앗기지 않기 위해 총력을 기울였다. 고대사나 고구려사를 전공하는 사람들이 그 혜택을 입기 위해서는 우선 '고구려 연구는 되어 있지 않다'고 그간의 연구를 완전히 무시해야 했고, 여러 발표에서 새로 발족될 단체는 고구려사와 고대사 연구에 국한해야 하고, 어느 단체에 속하지 않는 독립단체여야 하고, 명칭은 '고구려'가 들어가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그렇게 해서 발족한 것이 「고구려연구재단」이다. 물론 여기에는 국민들의 성화를 잠재울 수 있는 단체를 빨리 만들어야 한다는 교육인적자원부의 바람과 일치하였다. 즉, 학술연구는 물론 시민단체, 재야단체의 모든 요구를 다 잠재울 수 있는 이상한 학술단체를 만들어 낸 것이다. 도대체 어떻게 학술단체가 이런 모든 것을 해낼 수 있으며 이런 단체가 어떻게 순수 학술단체가 될 수 있는가?
그렇다면 당시 상태로 대안은 없었을까? 말을 바꾸어 다음과 같이 상황을 보면 어떨까?
"우리나라도 고구려 연구자가 많고 연구 결과도 탄탄합니다. 다만 중국은 고구려사가 중국 것이라는 것을 주장하기 위해 「귀속문제」에 중점을 둔 논문이 많은 반면, 한국에서 순수 학술적인 연구가 중국의 몇 배 이상 많습니다. 한국의 학자들은 고구려사가 당연히 한국사이기 때문에 고구려사가 우리 것이라는 연구를 하지 않았을 뿐입니다. 지금까지의 연구역량과 기초연구를 바탕으로 고구려의 정체성을 연구한다면 쉽게 중국의 논리를 누를 수 있습니다. 다만 중국은 사회과학원이라는 거대 국가 연구기관에서 동북공정을 추진하고 있기 때문에 우리나라에서도 그에 준하는 막강한 연구재단을 세워 이에 맞서야 할 것입니다."
이런 발상을 가지고 연구기관을 세웠다면 지금까지의 연구성과나 연구자들을 모두 포옹하고 힘을 합하여 1, 2년이면 고구려사 왜곡에 대한 부분은 충분히 극복할 수 있었다. 그러나 기존의 연구를 부정하며 출발한 단체에서는 그 기조를 계속 유지하기 위해 기존 연구 단체나 성과를 인정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사실은 현실로 드러나고 있다. 이것은 한국의 장래를 위해 대단히 불행한 일이다.
이와 같은 현실을 직시하며 앞으로 올바른 고구려사 발전을 위해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1. 앞으로 중구의 역사왜곡을 막기 위해서는 중국보다 학술적으로 더 앞선 기존 연구를 적극 활용하고 기존 연구단체나 연구인력을 적극 후원하여 연구를 도와야 한다.
2. 그러기 위해서는 국가출연기관이 아닌 순수 민간학술단체의 적극적 육성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고구려의 연구 인력이 많지 않는 현실에서는 고구려연구회를 중심으로 연구자들이 힘을 합해야 하고, 국가나 각종 사회단체에서도 재정적 후원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고구려 전공 박사학위**
1. 진홍섭, 「三國時代 고구려 미술이 백제, 신라에 끼친 영향에 관한 연구」, 이화여대 대학원, 1974, 149p
2. 박성봉, 「高句麗의 南進發展에 관한 연구 - 특히 好太왕期까지의 「廣開土境」의 성격을 중심으로 -」, 慶熙大, 1979, 157p
3. 김광수, 「高句麗-古代-集權國家의 成立에 관한 硏究」, 연세대 대학원, 1984, 225p
4. 김문경, 「唐 高句麗遺民 과 新羅僑民」, 연세대 대학원, 1984
5. 박종대, 「廣開土王陵碑의 硏究와 그 東向分析」, 慶熙大 大學院, 1988, 207p
6. 김정호, 「고구려 고분벽화 복식과 사회계층」, 淑明女大 大學院, 1989
7. 서영수, 「광개토대왕릉비 연구 - 정복기사를 중심으로 -, 동국대 대학원, 1991
8. 공석구, 「高句麗의 領域擴張에 대한 硏究 : 四世紀를 中心으로」, 忠南大 大學院 1991, 184p
9. 윤명철, 「高句麗 海洋交涉史 연구」, 成均館大 大學院, 1994, 305p
10. 금경숙, 「고구려 전기의 정치제도 연구」, 高麗大 大學院, 1995, 168p
11. 전혜숙, 「고구려 고분벽화의 조형적 특성과 복식의 표현 연구」, 世宗大 大學院, 1995, 106p
12. 임기환, 「고구려 집권체제 성립과정의 연구」, 慶熙大 大學院, 1995, 259p
13. 여호규, 「1-4세기 고구려 政治體制 연구」, 서울大 大學院, 1997, 245p
14. 김현숙, 「高句麗 地方統治體制 硏究」, 慶北大 大學院, 1997, 219p
15. 박경철, 「고구려의 국가형성 연구」, 高麗大 大學院, 1997, 275p
16. 전호태, 「고구려 고분벽화 연구 : 내세관 표현을 중심으로」, 서울大 大學院, 1997, 374p
17. 한상호, 「고구려 전통신앙 연구」, 연변대 대학원, 1998
18. 고재휘,「高句麗 前期 中央官制와 地方統治 制度」, 延邊大 대학원, 1998
19. 김일권, 「古代 中國과 韓國의 天文思想 硏究 : 漢唐代 祭天 儀禮와 高句麗 古墳壁畵의 天文圖를 중심으로」, 서울大 大學院, 1999, 384p
20. 최종택, 「고구려 토기 연구」, 서울大 大學院, 1999, 147p
21. 노태돈, 「高句麗 政治史 硏究」, 서울大 大學院, 1999, 367p
22. 이애주, 「고구려 춤의 상징체계」, 서울대 대학원, 1999, 122p
23. 강현숙, 「고구려 고분 연구」, 서울대 대학원, 2000, 247p
24. 서일범, 「북한지역 고구려산성 연구」, 단국대 대학원, 2000, 232p
25. 임찬경, 「高句麗 官制 硏究」, 延邊大 대학원, 2000
26. 이인영, 「삼국사기 지리지 고구려지명의 연구 :일본어와 비교를 위한 전제」, 단국대 대학원, 2001, 129p
27. 박아림, 「무용총: 동아시아 고분 미술에서 본 고구려 고분 벽화(Tomb of the Dancers: Koguryo Tombs in East Asian Funerary Art)」, Univ. of pennsylvania, 2002
28. 강선, 「고구려와 북방민족의 관계 연구:선비․거란․유연․돌궐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숙명여대 대학원, 2003, 153p
29. 박노석, 「고구려 초기의 영토 변천 연구」, 전북대 대학원, 2003, 134p
30. 이성제, 「5-6세기 고구려의 서방정책 연구 : 북조와의 대립과 공존의 관계를 중심으로」, 서강대 대학원, 2003, 189p
31. 정완진, 「고구려 고분벽화 복식의 지역적 특성과 변천」, 서울대 대학원, 2003
32. 신지현, 「고대 한국인의 얼굴 특징과 화장에 관한 연구 : 고구려 고분벽화를 중심으로」, 중앙대 대학원, 2003, 166p
***고구려 전공 석사학위**
1. 한동섭, 「고구려 자기의 역사적 고찰과 기형의 紋樣에 對해서」, 서울대, 1958
2. 방선주, 「高句麗上代 傳說의 硏究 : 特히 맥족원류와 關聯하여」, 고려대, 1962
3. 이윤용, 「高句麗의 五部族에 對한 硏究」, 부산대, 1963
4. 전준자, 「高句麗古墳壁畵의 硏究」, 홍익대, 1968
5. 고영실, 「高句麗 古墳壁畵中 人物畵에 대한 類型性의 硏究」, 서울대 대학원, 1976
6. 문상종, 「광개토왕릉비 무훈기사의 구성체계와 서술방식」, 동아대 대학원, 2000, 54p
7. 변진의, 「Egypt와 고구려의 분묘벽화에 나타난 시각形式의 比較 硏究 : 人物畵 를 中心으로」, 梨花女大 敎育大學院, 1979, 68p
8. 유송옥, 「고구려 복식에 관한 연구」, 홍익대 대학원, 1980, 121p
9. 권경애, 「廣開土王陵碑文解釋의 再整理 - 辛卯年 記事의 解釋을 中心으로 -」, 고려대 교육대학원, 1980, 64p
10. 서영대, 「高句麗 平壤遷都의 背景:王權强化 過程과 관련하여」, 서울大, 1980
11. 김태일, 「고구려의 도서발달에 대한 제 측면고찰 : 금석문교육종교적 측면을 중심으로」, 연세대 대학원, 1981
12. 장준식, 「高句麗 國原城治趾에 관한 硏究」, 단국대 대학원, 106p
13. 임명순, 「고구려 문화에 끼친 북방아세아의 영향 : 特히 鳥羽揷冠을 을 중심으로」, 동국대, 1982, 87p
14. 김연호, 「朱蒙이야기의 史的展開와 그 意味」, 고려대 대학원, 1983
15. 탁봉심, 「"東明王篇"에 나타난 李奎報의 歷史意識」, 이화여대 대학원, 1983, 61p
16. 공석구, 「高句麗의 遼東進出史 硏究 : 高句麗와 慕容氏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하여」, 충남대 대학원, 1983, 72p
17. 백선용, 「강원도 춘성군 고구려식 석실고분 에서 출토된 고인돌 에 대한 인류학적 연구」, 부산대, 1984
18. 김영희, 「古墳壁畵에 表現된 服飾形態의 比較硏究 : 高句麗 古墳과 高松塚(다까마쓰총)을 中心으로」, 이화여대 대학원, 1984, 83p
19. 염윤수, 「中原 高句麗碑 小考:비의 건립연대와 고구려의 남하정책을 중심으로」, 고려대 교육대학원, 1984, 59p
20. 김기홍, 「고구려의 성장과 대외교역」, 서울大 대학원, 1984, 80p
21. 신동진, 「고구려 초기의 혼인체계분석:那의 혈연조직을 중심으로」, 건국대 대학원, 1984, 50p
22. 권선희, 「高句麗 四神圖의 硏究」, 홍익대 대학원, 1985
23. 금경숙, 「高句麗의 ꡐ那ꡑ에 關한 硏究」, 高麗大 大學院, 1986, 48p
24. 왕광석, 「高句麗의 道敎思想에 대한 硏究」, 성균관대 대학원, 1986, 83p
25. 김진희, 「고구려고분벽화의 복식과 일본 埴輪의 복식 비교연구」, 이화여대 교육대학원, 1986
26. 연민수, 「廣開土王碑와 三國史記에 보이는 倭關係 記事의 檢討」, 東國大 大學院, 1987
27. 윤일령, 「關彌城位置考:廣開土王碑文,三國史記,大東地志를 바탕으로」, 國民大 大學院, 1987, 106p
28. 박경철, 「高句麗 軍事行動에 關한 一考察:5-7世紀 高句麗大陸政策과 關聯하여」, 고려대 대학원, 1986, 167p
29. 조익래, 「高句麗 淸州豪族勢力의 存在形態:高麗社會로의 轉化過程을 中心으로」, 國民大 大學院, 1987, 62p
30. 김동창, 「高句麗 古墳壁畵에 對한 硏究:繪畵의 發展過程中心으로」, 東國大 敎育大學院, 1987
31. 이종태, 「高句麗 太祖王系의 登場과 朱蒙國祖意識의 成立」, 國民大 大學院, 1987
32. 지병목, 「高句麗 成立過程에 관한 考察」, 成均館大 大學院, 1987, 131p
33. 조창열, 「高句麗 漢文學 硏究」, 忠南大 敎育大學院, 1987
34. 정운용, 「5~6世紀 高句麗․新羅의 勢力變遷過程에 대한 일고찰」, 高麗大 大學院, 1987, 91p
35. 박병태, 「廣開土大王 碑文 硏究」, 慶南大 敎育大學院, 1987, 59p
36. 노영숙, 「高句麗古墳壁畵에 나타난 人物風俗圖硏究」, 弘益大 大學院, 1987
37. 조중헌, 「廣開土境好太王碑文의 書體에 對한 硏究」, 慶熙大 敎育大學院, 1988, 131p
38. 김현숙, 「廣開土王碑를 통해 본 高句麗守墓人의 社會的 性格」, 慶北大 大學院, 1988, 75p
39. 공상섭, 「高句麗 國民精神에 관한 硏究」, 慶尙大 大學院, 1988, 126p
40. 전년화, 「高句麗 壁畵古墳에 보이는 墨書銘 硏究:安岳3號墳과 德興里壁畵古墳을 中心으로」, 仁荷大 敎育大學院, 1988, 41p
41. 전호태, 「5세기 高句麗 古墳壁畵에 나타난 佛敎的 來世觀」, 서울大 大學院, 1989, 83p
42. 김진희, 「高句麗國號表記의 變遷에 關한 考察」, 嶺南大 敎育大學院, 1989, 42p
43. 김영수, 「高句麗 初期 對外關係의 性格」, 韓國精神文化硏究院 附屬大學院, 1989, 84p
44. 강영규, 「金東仁 歷史小說에 나타난 英雄崇拜思想과 高句麗 正統史觀」, 仁荷大 敎育大學院, 1989, 52p
45. 최혜정, 「高句麗 古墳壁畵에 나타난 紋樣과 象徵性에 關한 考察」, 世宗大 大學院, 1989, 76p
46. 양병룡, 「羅唐戰爭 進行過程에 보이는 高句麗遺民의 對唐抗爭」, 高麗大 大學院, 1989, 49p
47. 임상도, 「高句麗 平壤遷都에 대한 考察」, 成均館大 敎育大學院, 1989, 68p
48. 김정수, 「高句麗 古墳壁畵와 에트루스크 古墳壁畵의 비교 연구」, 釜山大 敎育大學院, 1990, 76p
49. 장경혜, 「高句麗古墳壁畵에 나타난 服飾美의 一 考察」, 嶺南大 大學院, 1990, 38p
50. 안행국, 「高句麗 土地制度에 관한 연구」, 仁荷大 敎育大學院, 1990, 45p
51. 임병주, 「新羅花郞道의 敎育思想硏究」, 東國大 敎育大學院, 1990, 177p
52. 권광칠, 「韓國繪畵에 있어서의 彩色畵 연구 : 高句麗 古墳壁畵 및 高麗佛畵를 중심으로」, 弘益大 敎育大學院, 1990, 62p
53. 지영섭, 「民畵와 高句麗 古墳壁畵의 造形的 特性 比較 연구」, 中央大 大學院, 1990, 60p
54. 홍정우, 「高句麗 建國始祖 鄒牟王에 대한 一考」, 漢陽大 敎育大學院, 1990, 73p
55. 김형신, 「高句麗 建國 傳說의 再檢討 : 기원전 37년 건국설을 중심으로」, 韓國外國語大 敎育大學院, 1990, 62p
56. 서영일, 「5-6世紀의 高句麗 東南境 고찰」, 檀國大 大學院, 1991, 64p
57. 강선, 「高句麗 國都 移動에 관한 일고찰」, 淑明女大 大學院, 1991, 66p
58. 최희수, 「平壤 遷都 이후의 高句麗 地方統治制度」, 西江大 大學院, 1991, 42p
59. 여호규, 「高句麗 初期 ꡐ那部ꡑ統治體制의 成立과 運營」, 서울大 大學院, 1991, 65p
60. 장석조, 「高句麗의 對日本交涉에 관한 一考察 : 外交․軍事的인 面을 중심으로」, 高麗大 敎育大學院, 1991, 58p
61. 김창래, 「高句麗 四神圖의 象徵性과 造形性에 대한 연구」, 慶熙大 敎育大學院, 1992, 50p
62. 이정룡, 「高句麗 地名表記 연구 : 末音節 音讀字를 중심으로」, 昌原大 大學院, 1992, 115p
63. 김미경, 「淵蓋蘇文을 중심으로 살펴 본 高句麗末의 情勢變動」, 淑明女大 大學院, 1992, 54p
64. 박수전, 「高句麗 古墳壁畵와 朝鮮朝 民畵에 있어서의 四神圖 比較硏究」, 釜山大 大學院, 1992, 57p
65. 이기숙, 「高句麗 古墳壁畵에 나타난 人物風俗圖 연구」, 弘益大 大學院, 1992, 72p
66. 김선중, 「한국 고분벽화에 관한 고찰 : 고구려 시대를 중심으로」, 仁川大 敎育大學院, 1992, 71p
67. 김용숙, 「고구려 고분벽화와 민화의 양식적 연계성 연구」, 釜山大 大學院, 1992, 66p
68. 박연진, 「고구려와 수․당과의 대결」, 忠南大 敎育大學院, 1993, 26p
69. 오윤경, 「扶餘初期의 對高句麗 관계」, 國民大 大學院, 1994, 55p
70. 신을련, 「고구려 고분벽화에 나타난 율동적 표현 연구 :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 弘益大 大學院, 1994, 35p
71. 우선정, 「麻立干期 신라의 대고구려 관계와 그 변화」, 慶北大 敎育大學院, 1994, 51p
72. 남봉우, 「대수당전쟁을 통해 본 고구려의 말갈지배」, 東亞大 敎育大學院, 1994, 74p
73. 이영미, 「고분벽화에 나타난 고구려 복식」, 明知大 大學院, 1994, 49p
74. 이신화, 「고구려 고분벽화에서의 氣運生動과 드로잉(Drawing)에 대한 연구」, 梨花女大 敎育大學院, 1994, 86p
75. 간수진, 「고구려 고분벽화의 조형분석 및 복원 : 오회분사호묘의 신선도를 중심으로」, 檀國大 大學院, 1994, 93p
76. 정완진, 「고구려 관모고」, 서울大 大學院, 1994, 105p
77. 신현규, 「東明型 시조신화 연구」, 中央大 大學院, 1994, 117p
78. 최종택, 「한강유역 고구려 토기 연구」, 서울大 大學院, 1995, 107p
79. 김미경, 「고구려의 낙랑․대방지역 진출과 그 지배형태」, 延世大 大學院, 1995, 75p
80. 이주연, 「한(漢)과 고구려 무용의 비교 연구 : 유물 및 고분벽화에 나타나는 형태를 중심으로」, 梨花女大 大學院, 1995, 163p
81. 이수진, 「고구려 무용의 특징에 관한 연구」, 淑明女大 大學院, 1995, 59p
82. 이동희, 「남한에서 발견된 고구려계 積石塚에 대한 일고찰」, 成均館大 大學院, 1995, 106p
83. 윤성용, 「고구려 귀족회의의 성립과정과 그 성격」, 慶北大 大學院, 1995, 59p
84. 정종태, 「고구려형성과정에 대한 일연구 : 초기 왕권의 성격변화를 중심으로」, 明知大 大學院, 1995, 64p
85. 박성희, 「고구려 고분벽화의 인물풍속도 연구」, 江原大 大學院, 1995, 104p
86. 이보혜, 「고구려 末 淵氏政權의 성격」, 梨花女大 大學院, 1995, 64p
87. 고정림, 「高句麗古墳 天井壁畵에 대한 일연구」, 仁荷大 敎育大學院, 1995, 22p
88. 김영주, 「고구려 故國原王代의 對前嚥關係」, 國民大 大學院, 1995, 50p
89. 이부실, 「고구려 고분벽화에 대한 연구 : 시기별 주요고분을 중심으로」, 東國大 敎育大學院, 1995, 56p
90. 김창수, 「고구려 고분벽화 속에 나타난 회화적 특성 연구」, 關東大 敎育大學院, 1995, 85p
91. 김선아, 「고구려 고분 벽화에서 현대 채색화에 수용 가능한 조형성에 관한 연구」, 慶尙大 大學院, 1995, 74p
92. 김순식, 「고구려 고분벽화의 색채 연구」, 京畿大 敎育大學院, 1995, 57p
93. 김경영, 「廣開土王陵碑文에 보이는 ꡐ倭ꡑ의 實體에 대하여 : 소위 ꡐ任那日本府說ꡑ과 관련하여」, 韓國外國語大 敎育大學院, 1996, 66p
94. 이종환, 「高句麗 古墳壁畵에 대한 硏究 : 造形空間을 中心으로」, 仁荷大 敎育大學院, 1996, 87p
95. 박헌, 「高句麗의 軍事力量과 對 隋․唐戰爭」, 朝鮮大 敎育大學院, 1996, 46p
96. 정진희, 「高句麗 古墳壁畵의 天人象 연구」, 東國大 大學院, 1996, 75p
97. 최영주, 「高句麗 古墳壁畵 四神圖에 나타난 象徵性 硏究」, 檀國大 敎育大學院, 1996, 55p
98. 장윤진, 「고구려 고분벽화의 예술성 고찰」, 全北大 大學院, 1996, 54p
99. 최융기, 「高句麗의 古墳壁畵에 보이는 體育」, 漢陽大 大學院, 1996, 45p
100. 장은영, 「문양을 중심으로 한 高句麗四神圖 연구」, 淑明女大 敎育大學院, 1996, 124p
101. 주종수, 「고구려 고분벽화의 율동미 연구 :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 韓南大 大學院, 1996, 32p
102. 이성제, 「4-5세기 高句麗의 樂浪․帶方故地에 대한 統治와 平壤遷都」, 西江大 大學院, 1996, 55p
103. 한영화, 「高句麗의 地母神信仰에 관한 硏究 : 母處制와 관련하여」, 成均館大 大學院, 1997, 55p
104. 김정권, 「고구려 법제사 연구」, 光州大 經商大學院, 1997
105. 조재희, 「고구려 고분벽화 문양을 응용한 도제 장신구 연구 : 집안 지역을 중심으로」, 梨花女大 디자인大學院, 1997, 80p
106. 심정순, 「고분벽화에 나타난 고구려무용의 특징 고찰」, 中央大 敎育大學院, 1997, 116p
107. 노현숙, 「고구려 벽화고분의 天井部에 나타난 圖像 및 文樣 연구」, 嶺南大 敎育大學院, 1997, 106p
108. 박은경, 「고구려 덕흥리 고분벽화에 반영된 종교사상 : 전실 천정과 현실 벽화를 중심으로」, 仁荷大 大學院, 1997, 81p
109. 박현정, 「高句麗 古墳璧畵에 나타난 生活風俗圖의 性格 : 墓主 夫婦像을 중심으로」, 梨花女大 大學院, 1997, 72p
110. 이영옥, 「高句麗 古墳壁畵의 四神圖 연구」, 嶺南大 敎育大學院, 1997, 63p
111. 신경진, 「高句麗 古墳壁畵의 繪畵的 分析 : 安岳 三號墳을 中心으로」, 朝鮮大 大學院, 1997, 69p
112. 최용호, 「高句麗의 ꡒ部ꡓ에 관한 硏究」, 全北大 敎育大學院, 1997, 51p
113. 김령, 「高句麗 古墳壁畵 硏究」, 大邱大 大學院, 1997, 78p
114. 정수암, 「高句麗 廣開土境好太王碑文의 書法에 관하여」, 慶州大 大學院, 1998, 117p
115. 신은영, 「고구려 고분벽화의 현대적 수용 및 응용에 관한 연구」, 高麗大 敎育大學院, 1998, 106p
116. 박신희, 「高句麗 建國神話에 나타난 人生觀과 世界觀 硏究」, 漢陽大 敎育大學院, 1998, 80p
117. 박선미, 「고구려 고분벽화와 돈황벽화 수렵도에 나타난 수렵복식에 관한 연구」, 世宗大 大學院, 1998, 73p
118. 주영선, 「高句麗 古墳壁畵를 土臺로 한 表現 硏究 : 本人 作品을 中心으로」, 誠信女大 大學院, 1998, 30p
119. 김하진, 「高句麗 古墳壁畵에 그려진 연꽃무늬에 관한 一考察」, 大邱曉星가톨릭大 大學院, 1998, 82p
120. 최재웅, 「6-7世紀 高句麗의 地方統治制度 : 지방5부의 존재와 기능을 중심으로」, 高麗大 敎育大學院, 1998, 52p
121. 김희선, 「高句麗 方位部의 成立과 機能」, 서울市立大 大學院, 1998, 63p
122. 이종림, 「고구려 무덤벽화의 풍속도에 나타난 미의 형식 고찰」, 公州大 敎育大學院, 1998, 73p
123. 이재희, 「高句麗 古墳壁畵 硏究 : 5세기 古墳壁畵를 中心으로」, 誠信女大 敎育大學院, 1998, 47p
124. 송현주, 「고구려 와당(瓦當)문양을 응용한 넥타이 직물 디자인 연구」, 梨花女大 디자인大學院, 1998, 72p
125. 최종복, 「고구려후기의 막리지와 그 성격」, 慶北大 敎育大學院, 1999
126. 고영희, 「고구려 고분벽화의 신화학적 고찰」, 京畿大 大學院, 1999, 86p
127. 유현희, 「고구려 '중국대회'의 구성과 기능」, 梨花女大 大學院, 1999, 68p
128. 시노하라 히로카타, 「중원고구려비」를 통해 본 고구려의 국가위상」, 高麗大 大學院, 1999, 76p
129. 안창현, 「고구려 고분벽화에 나타난 장식문양 연구」, 서울여대 대학원, 1999, 114p
130. 김정아, 「고구려지명어 연구」, 暻園大 大學院, 1999, 81p
131. 박창열, 「고구려 정릉사지의 건축조영에 관한 복원적 고찰」, 延世大 産業大學院, 1999, 109p
132. 김봉숙, 「4世紀 高句麗의 中央集權力强化와 體制整備」, 啓明大 大學院, 1999, 67p
133. 이현아, 「高句麗 古墳壁畵에 나타난 飛天像에 대한 硏究」, 大邱曉星가톨릭大 大學院, 1999, 112p
134. 김락기, 「고구려의 말갈 지배방식에 대한 고찰 : 백산부를 중심으로」, 仁荷大 大學院, 1999
135. 홍재익, 「고구려시대의 불교사상과 무사활동이 체육에 미치는 영향」, 東國大 敎育大學院, 1999, 38p
136. 이규복, 「廣開土好太王碑 硏究 : 書體를 中心으로」, 圓光大 大學院, 1999, 80p
137. 채미영, 「무용총·각저총 색채에 관한 고찰」, 경주대학교 대학원, 1999, 137p
138. 김의신, 「한국 고분 벽화의 내용과 양식에 관한 연구 :고구려를 중심으로」, 인천대 교육대학원, 2000, 50p
139. 최은승, 「고구려 고분벽화의 연꽃문양을 응용한 직물디자인 연구」, 이화여대 디자인대학원, 2000, 73p
140. 박영신, 「고구려 고분벽화 이미지 텍스타일 디자인」, 숙명여대 디자인대학원, 2000, 57p
141. 성하춘, 「동명전승의 연구 :양상과 의미를 중심으로」, 연세대 대학원, 2000, 97p
142. 조윤경, 「한국 벽화의 형성과 제작기법에 대한 연구」, 경희대 교육대학원, 2000, 81p
143. 임삼규, 「고구려시대 고분벽화를 이용한 금속제 벽장식 연구 :센서를 이용하여」, 서울산업대 산업대학원, 2000, 68p
144. 김정선, 「고구려 고분벽화 인물상의 복식 연구」, 동아대 대학원, 2000
145. 오은아, 「벽화에 나타난 고구려 무용에 관한 연구」, 청주대 대학원, 2000, 69p
146. 남선주, 「고구려 고분벽화에 나타난 춤에 관한 연구 :신화 해석을 중심으로」, 경성대 교육대학원, 2000, 83p
147. 이선호, 「고구려 유민사 연구」, 상명대 교육대학원, 2000, 82p
148. 인영숙, 「TV 역사 다큐멘터리 <역사스페셜>의 역사쓰기 방식에 대하여 :밀레니엄 특집 "대-고구려 광개토대왕의 정복루트를 가다"를 중심으로」, 이화여대 대학원, 2001, 130p
149. 안영숙, 「고구려 사신계 고분벽화의 음양오행사상」, 숙명여대 대학원, 2001, 65p
150. 류혜진, 「기방무용의 변천과정 연구 :궁중정재 중심으로」, 세종대 교육대학원, 2001, 84p
151. 민철희, 「고구려 양원왕․평원왕대의 정국변화」, 단국대 대학원, 2001, 54p
152. 최장열, 「한강 북안 고구려 보루의 축조시기와 그 성격」, 서울대 대학원, 2001, 67p
153. 백종오, 「경기 북부지역 성곽출토 고구려 평기와 연구」, 단국대 대학원, 2001, 160p
154. 장효정, 「3세기 고구려왕의 평양이거와 왕권강화」, 동국대 대학원, 2001, 100p
155. 최성수, 「고교 국사교사의 수업준비사례 연구 :고구려사」, 단국대 교육대학원, 2001, 96p
156. 권혜영, 「북조시대 돈황 석굴벽화와 고구려 고분벽화에 나타난 일반복식의 비교 연구」, 성신여대 대학원, 2001, 110p
157. 조병기, 「고구려고분벽화의 내세관표현에 관한 연구」, 대구대 대학원, 2001, 36p
158. 이미영, 「고분벽화와 민화의 비교 분석」, 덕성여대 대학원, 2001, 47p
159. 류성우, 「발해문화의 고구려적 성격」, 부산대 교육대학원, 2001, 59p
160. 김동규, 「광개토왕비 건립당시 고구려의 정치적 상황과 건립목적」, 경주대 대학원, 2001
161. 류치혁, 「광개토호태왕비문 서체의 조형적 특징과 서예사적 위치」, 경주대 대학원, 2001, 171p
162. 손정국, 「고구려 벽화속에 내재된 사상적 배경과 현대 추상미술에 끼친 영향에 대한 고찰」, 원광대 대학원, 2001, 72p
163. 김버들, 「고구려 고분벽화에 나타난 건축요소에 관한 연구 :일본고대사찰과 비교하여」, 동국대 대학원, 20011, 95p
164. 권오흠, 「고구려의 대수․대당 항전」, 경성대 교육대학원, 2002, 44p
165. 김경국, 「고구려 고분벽화의 조형적 Image를 형상화한 장신구 표현 연구」, 광주대 산업대학원, 2002, 39p
166. 전윤선, 「'광개토왕비문'과 '고사기'에서의 천하사상」, 충남대 교육대학원, 2002, 59p
167. 황신나, 「고구려 고분벽화 채색 연구」, 한남대 교육대학원, 2002, 60p
168. 이경숙, 「고구려 중․후기 교육제도와 인재선발방식」, 한국외국어대 교육대학원, 2002, 65p
169. 장은정, 「5-6세기 고구려 철기제작기법에 대한 일고찰 :한강하류역 자료를 중심으로」, 서울대 대학원, 2002, 70p
170. 박은주, 「고구려 고분벽화의 주작을 소재로 한 칠예작품 연구」, 숙명여대 대학원, 2002, 64p
171. 조상현, 「고구려 '유인'의 성격 검토」, 전남대 대학원, 2002, 43p
172. 김혜은, 「고구려 벽화를 응용한 의상디자인 연구 :핸드 니들 펀칭 기법을 중심으로」, 이화여대 디자인대학원, 2002, 85p
173. 박미애, 「고구려 고분벽화에 나타난 생활과 신앙」, 한남대 교육대학원, 2002
174. 김송정, 「고구려 집안과 평양지역 고분에 표현된 여성들의 헤어스타일 연구」, 성균관대 생활과학대학원, 2002, 71p
175. 김남희, 「"동국이상국집" '동명왕편'에 나타난 고구려 건국신화 분석 연구」, 한국교원대 교육대학원, 2002, 101p
176. 김동욱, 「고구려의 해양활동과 군사전략 고찰 :고대 중국 수군의 해상침략에 따른 고구려 수군의 대응전술을 중심으로」, 경기대 교육대학원, 2002, 70p
177. 정수희, 「고구려 고분벽화의 천인상 연구 :비천상과 비선상을 중심으로」, 동아대 대학원, 2002, 111p
178. 김수민, 「고분벽화 수렵도로 본 고구려 사회상과 정신세계」, 동국대 대학원, 2002, 73p
179. 허정희, 「안악3호분의 주인공 복식에 관한 연구 :중국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동아대 대학원, 2002, 58p
180. 손종배, 「광개토호태왕비를 중심으로 한 고례 연구:본인작품을 중심으로」, 전주대 교육대학원, 2003, 59p
181. 류은규, 「고구려 고분벽화 삼족오 도상의 특징과 기원」, 서울대 대학원, 2003, 63p
182. 김대현, 「고구려 초기 사회에서 사냥의 유형과 기능」, 한국교원대 교육대학원, 2003, 59p
183. 정상수, 「고구려 고분벽화와 조선시대 수묵 인물화에 나타난 인물 표현 연구 :안악3호분과 윤두서의 수묵 인물화를 중심으로」, 충북대 대학원, 2003, 65p
184. 송미화, 「고분벽화에 나타난 고구려인의 삼족오 인식 - 한~당대의 삼족오 인식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 교육대학원, 2003, 43p
185. 김희정, 「고구려 악기 연구」, 중앙대 대학원, 2003, 98p
186. 양시은, 「한강유역 고구려토기의 제작기법에 대하여」, 서울대 대학원, 2003, 93p
187. 정희정, 「고구려 고분벽화에 나타난 여자 복식의 고증 제작 연구 - 평양지역을 중심으로」, 성균관대 생활과학대학원, 2003, 112p
188. 김현아, 「고구려 고분벽화의 조형성 연구 - 일월 문양을 응용한 작품제작을 중심으로」, 성균관대 디자인대학원, 2003, 74p
189. 조영광, 「5세기 말~6세기 초 고구려의 정치동향」, 경북대 대학원, 2003
190. 고순덕, 「중학교 미술감상수업 자료 개발에 관한 연구 - 고구려 고분벽화 동영상을 중심으로」, 경상대 교육대학원, 2003, 73p
191. 배혜영, 「고구려 고분벽화와 조선후기 풍속화에 나타난 복식의 미- 중학교 미술과 감상 수업 중심으로」, 국민대 교육대학원, 2003, 60p
192. 김민아, 「거문고 중주곡 '고구려의 여운'의 분석적 연구」, 이화여대 대학원, 2003, 97p
193. 김영완, 「고구려 건국에 대한 일연구」, 명지대 교육대학원, 2003, 46p
194. 김지영, 「7세기 고구려의 일본관계」, 숙명여대 대학원, 2003, 41p
195. 이정빈, 「고구려 초기 제가회의와 군신회의」, 경희대 대학원, 2004, 44p
196. 육용조, 「고구려 고분벽화를 이용한 텍스타일 디자인 연구 :작품제작 중심으로」, 성균관대 디자인대학원, 2004, 94p
197. 도현미, 「고구려 고분벽화 감상을 통한 수업 지도 방안 연구 :중학교 2학년을 중심으로」, 대구가톨릭대 교육대학원, 2004, 52p
198. 이미현, 「고구려 고분벽화에 나타난 남자복식의 양식 분석」, 이화여대 대학원, 2004, 111p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