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 아침이면 어김없이 집 앞으로 배달되는 신문. 신문은 그렇게 오랫동안 국민들과 함께 아침을 열어왔다. 하지만 신문이 독자들의 손에 전해지기까지 정작 중요한 신문지국의 실태는 지금까지 제대로 알려진 것이 없다. 때문에 일부에서는 각 신문사들도 자신들의 지국 현황을 정확히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는 말까지 나오고 있다.
이런 가운데 한국언론재단이 23일 한국언론학회에 의뢰에 '신문판매와 유통구조'(연구책임 정연구 한림대 교수)라는 제목의 상당히 의미 있는 보고서를 출간했다. 이 보고서는 국내 최초로 전국의 신문판매망을 일목요연하게 조사하고, 한편으로 신문지국 운영의 구체적인 문제점들을 심층적으로 고찰해 봤다는 점에서 벌써부터 언론계의 지대한 관심을 받고 있다.
***신문지국 전국 6천여개소, '조중동' 지국이 절반 차지**
이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3월 현재 문화관광부에 등록된 종합일간지의 영업지국은 모두 6천 172개소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기초조사에서는 모두 1만 3천 362개소가 등록돼 있는 것으로 조사됐으나 직접 전화 조사를 실시한 결과 폐업 또는 신문영업과 관계가 없는 허수를 뺀 나머지 영업지국 수는 이와 같았다"고 밝혔다.
구체적으로 신문지국의 수는 전국적으로 조선일보(1천 359개소) 동아일보(1천 15개소) 중앙일보(1천 7개소)가 가장 많았고, 한국일보(737개소) 한겨레신문(555개소) 국민일보(534개소) 경향신문(497개소) 세계일보(354개소) 서울신문(335개소) 등이 뒤를 이었다. 석간인 문화일보는 중앙에서 발행되는 일간지 가운데 가장 적은 172개소의 지국을 가지고 있었다. 지역 일간지 가운데서는 부산일보(335개소) 매일신문(185개소)이 지국을 가장 많이 갖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도시 규모별 중앙지와 지방지의 분포에서는 전체 지국수의 82.7%가 중앙지를 취급하고 있는 반면, 지방지를 취급하는 지국은 23.8%로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특히 서울은 모두 중앙지를 취급하고 있었으나 지방지를 취급하는 곳은 단 한 곳도 없었다. 광역시의 경우 지방지를 취급하는 지국은 40.5%로 다른 지역에 비해 지방지를 취급하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1개 지국이 1개 신문만을 운영하고 있는 곳은 모두 4천 938개소로, 단독지국과 겸직지국의 비율은 80대 20 정도의 비율을 보였다.
***조선 '광주', 중앙 '울산', 동아 '충북' 취약**
이번 조사에서 한가지 흥미로운 사실은 신문사별 단독 지국의 분포 현황을 통해 각 신문사의 영업력과 지역별 영향력을 어느 정도 가늠해 볼 수 있는 자료가 나왔다는 것이다.
조선일보의 경우 단독 지국은 1천 56개 지국 가운데 모두 77.7%였으며, 서울 대구 인천지역의 지국들이 거의 대부분 단독 지국으로 운영되고 있었다. 반면, 광주(35.7%) 울산(58.1%) 충북(53.8%) 지역은 단독 지국의 비율이 다른 지역 비해 상대적으로 낮았다.
중앙일보는 1천 7개 지국 가운데 단독 지국이 68.4%였으며, 서울과 제주 지역의 지국들이 대부분 중앙일보만을 취급하고 있었다. 중앙일보는 울산(42.9%) 충북(46.2%) 부산(47%) 대구(51%) 광주(50%) 강원(52.5%) 지역에서 단독 지국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동아일보는 1천 15개 지국 가운데 61.1%가 단독 지국이었고, 이 가운데 서울(81.6%) 지역에서 단독 지국의 비율이 높았다. 동아일보는 '조중동' 가운데 충북(20%) 지역에서 가장 낮은 단독 지국 운영 비율을 보였고, 또 부산(47.7%) 광주(43.8%) 강원(47.8%) 지역에서 단독 지국의 비율이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한편 한겨레·경향신문은 전북, 한국일보는 충남, 국민일보는 경북지역에서 단독 지국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적정 구독료 1만 6천원, 72.8% "할인행사 잘못"**
연구진은 이번 보고서에서 신문지국의 영업실태를 보다 정밀히 분석하기 위해 모두 2천 531개 지국을 대상으로 전화조사도 실시했다.
사업형태별로는 조사 지국 가운데 93.7%가 개인 사업으로 운영되고 있었고, 본사 직영은 6.2%에 불과했다.
신문지대 납부 비율은 단독 지국의 경우 전체 평균 본사 4.5대 지국 5.5의 비율인 것으로 조사됐고, 특히 서울은 본사 4.8대 지국 5.2로 본사에 대한 지대 납부 비율이 전국에서 가장 높았다.
겸직 지국에서는 '조중동'의 경우 전반적으로 본사 4.4대 지국 5.6의 비율로 지대 수입을 나누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 가운데 중앙일보는 본사 4.2대 지국 5.8의 비율로 지국의 수익을 가장 높게 보장해 주고 있었다.
전국적으로 신문 배달 부수가 줄어들고 있는 것도 다시 한번 확인됐다. 이번 조사에서 최근 5년 동안의 배달 부수 변화를 조사한 결과 '줄어들고 있다'는 응답이 56.9%를 차지했고, 지역별로는 전남(65.3%) 경북(64.9%)이, 지국 입점 위치별로는 상가 밀집지역(53.5%)이 가장 많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구독료와 관련해서는 조사 지국의 57.7%가 '적정하지 않다'는 의견을 보였고, 평균 적정 구독료는 1만 6천 624원이 제시됐다. 중앙일보 등이 실시했던 구독료 1만원 할인행사에 대해서는 72.8%의 지국이 '잘못한 일'이라고 평가했다.
***판촉비 70% 이상 지국 부담, 본사 판촉 압력 증대**
연구진은 이번 조사의 마지막 단계인 지국장 면접조사에서 지국당 발행부수와 유가부수 사이에 현저한 차이가 나고 있으며, 시간이 갈수록 본사의 판촉 압력이 강해지고 있다는 점도 밝혀냈다.
연구진은 보고서에서 전국의 일간지 신문지국에서 하루에 모든 신문사로부터 받는 부수는 전체 지국 평균 1천 799.6부로, 이 가운데 직접 배달이 되는 부수는 1천 618.2부, 실제 수금이 되는 유가부수는 1천 276.9부로 집계했다. 결국 발행부수와 유가부수 사이에 522.7부의 차이가 나고 있는 셈이다.
또, 최근 5년 동안 '조중동' 본사의 신문 지국에 대한 판촉 활동 요구 추이를 조사한 결과 52.9%는 '큰 변화가 없다'고 응답했으나 '늘어나고 있다'는 응답도 34%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3개 신문사 가운데 중앙일보를 취급하는 신문 지국의 38.3%는 최근 5년 동안 본사의 판촉활동 요구가 늘어났다고 응답했다.
그러나 '조중동' 본사와 신문 지국 사이의 판촉비 분담 비율에서는 본사가 27.1%, 신문 지국이 72.9%로 신문 지국의 부담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조선일보 지국은 70%, 중앙일보는 76.3%, 동아일보는 72.5%를 지국이 부담하고 있었다.
한편, 지국장들은 신문 공동배달제(신문공배)와 관련해 38.2%만이 '이용할 의사가 있다'고 응답했다. 신문공배를 이용하려는 이유에 대해서는 인력확보의 어려움(45.1%)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인건비 절약(23.3%) 등이 뒤를 이었다. 신문공배를 이용하지 않으려는 이유에 대해서는 '이익 창출이 적어서'(27.3%)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