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화면으로
철도 민영화의 참극…아르헨, 최악의 열차사고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밴드 공유하기
  • 인쇄하기
  • 본문 글씨 크게
  • 본문 글씨 작게
정기후원

철도 민영화의 참극…아르헨, 최악의 열차사고

노후 설비 해결하려 민영화했지만 문제 더 꼬여

22일(현지시간) 아르헨티나에서 약 650명의 사상자를 낸 출근길 열차 충돌사고가 '예고된 인재'라는 지적이 연이어 제기되고 있다. 노후한 철로 보수를 '민영화'라는 편한 방법으로 해결하려고 했던 아르헨티나 정부의 안이함과 이익만을 챙기는데 급급했던 민영 철도 업체가 합작해 빚은 참극이라는 것이다.

외신에 따르면 이날 오전 8시 35분 경 1000명의 승객을 태우고 부에노스아이레스 서부 온세역에 들어서던 열차가 선로를 이탈해 플랫폼을 들이받았다. 이 충돌로 아동 1명을 포함해 49명이 숨지고 600여 명이 다쳤다고 페르난도 소스트레 연방경찰 대변인이 밝혔다. 650명이라는 사상자는 아르헨티나에서 지난 40년 이래 최악의 철도 사고다.

다니엘 루소 부에노스아이레스 민방위 국장은 "부상자 600여 명 가운데 최소한 30명 정도는 중상이며, 사고 현장에서 수색이 계속되고 있어 피해자가 늘어날 수 있다"고 밝혔다. 크리스티나 페르난데스 대통령은 이날 예정된 행사를 취소하고 관계부처 각료들을 현장으로 보내 사고 수습에 전념하라고 지시했다.

▲ 22일(현지시간) 아르헨티나 수도 부에노스아이레스 서부의 온세역 플랫폼을 들이받은 열차 안에서 승객들이 구조되고 있다. ⓒAP=연합뉴스
문제는 남미에서 가장 철도가 붐비는 국가 중 하나인 아르헨티나에서 이러한 대형 열차사고가 한두 번이 아니었다는 점이다. 지난해 9월만 해도 이틀 간격으로 열차 충돌 사고가 발생해 각각 211명, 90여 명의 사상자를 냈고 12월에도 열차끼리 충돌해 17명이 다치는 사고가 발생했다. 과거로 거슬러 올라가면 1970년과 1978년 열차사고로 각각 200명, 55명이 사망한 바 있다.

<파이낸셜타임스>는 이날 아르헨티나의 참극은 예고된 것이나 다름없었다고 지적했다. 연간 4억 명의 승객을 실어 나르는 아르헨티나 철도는 대부분 19세기 영국이 깔아준 설비여서 노후 문제가 심각하다. 사고가 난 온세역도 1882년에 세워져 하루 50만 명이 이용한다.

여기에 부에노스아이레스 북부 지역의 열차는 좌석에 쿠션이 깔리고 냉방기도 설치되는 등 현대화된 반면, 남부와 서부의 빈곤지역으로 향하는 열차는 창문이 깨지고 범죄자가 열차 운행을 맡는 등 양극화 현상이 벌어지고 있다고 신문은 설명했다. 사고가 난 열차 역시 서부 지역에서 오던 열차였다. 한 야당 정치인은 승객들이 가축이 이동하는 것과 별 다를 바 없는 조건에서 열차를 이용한다고 묘사하기도 했다.

후안 파블로 치아비 교통장관은 이번 사고가 열차의 제동장치가 말을 듣지 않았고 경험이 적은 젊은 기관사가 지쳐있는 상태였다며 이러한 사고는 미국이나 독일에서도 일어난다고 의미를 축소했다. 하지만 이번 사고가 우발적인 게 아니라, 구조적인 원인이 있다는 지적이 더 우세하다.

<파이낸셜타임스>는 1990년대 아르헨티나 정부가 노후한 철도설비를 보수하는데 민간 자본을 끌어들이기 위해 철도 민영화 조치를 취했지만 철도 운영권을 손에 쥔 민영기업들은 정부로부터 받는 보조금에 비해 투자에 인색했다고 설명했다.

아르헨티나 철도노조 관계자 역시 <로이터>에 사고를 낸 열차를 운영하는 민영기업 '트레네스 데 부에노스 아이레스'가 철도와 열차의 유지 보수에 소홀한 기업으로 유명하다고 비난했다.

<월스트리트저널>도 이날 1990년대에 연간 10억 달러의 손실을 보던 철도 시스템을 개선하기 위해 아르헨티나 정부가 민영화 조치를 취했지만 서비스와 재정 문제는 이후에도 해결되지 않은 상태라고 지적했다. 신문은 또 2001~02년 아르헨티나 디폴트(채무불이행) 사건으로 페소화 가치가 곤두박질치자 정부가 요금을 동결하고 운영 보조금을 늘림으로써 철도 운영주체가 서비스 개선에 둔감해지는 결과를 낳았다고 덧붙였다.

야당 지도자 리카르도 알폰신은 "치아비 장관은 국회로 가야할 것"이라며 "그곳에서 국민들에게 사고 원인을 설명하고 정부가 민영 철도회사에게 준 특혜와 그들을 통제하는 방법에 대한 질문에 대답해야 한다"라고 주장했다.

서울대 라틴아메리카연구소의 이성형 HK교수는 "민영화를 하면 기업은 고용을 줄여 비용을 낮추려하는 게 당연하다"며 "과거 광범위한 민영화 조치를 취했던 아르헨티나 철도 역시 인력감축에 따라 정비 불량이나 사고가 따를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매번 결제가 번거롭다면 CMS 정기후원하기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kb국민은행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프레시안에 제보하기제보하기
프레시안에 CMS 정기후원하기정기후원하기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