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화면으로
"내년 미국-중국 함께 성장 둔화"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밴드 공유하기
  • 인쇄하기
  • 본문 글씨 크게
  • 본문 글씨 작게
정기후원

"내년 미국-중국 함께 성장 둔화"

[전망] "브릭스 국가 운명들도 엇갈릴 것"

차세대 경제대국으로 꼽혀 온 소위 '브릭스(브라질, 러시아, 인도, 중국)'의 운명이 내년에 엇갈릴 것 같다.
  
  세계적 투자은행 모건스탠리의 수석 이코노미스트 스티븐 로치는 26일 "세계 국내총생산(GDP)의 27%, 인구의 47%를 차지하는 브릭스 국가들의 명암이 1,2년 사이에 엇갈릴 것"이라고 예상했다.
  
  특히 로치는 미국과 함께 '세계 2대 경제엔진'으로 떠오른 중국이 성장 둔화로 어려움을 겪을 것이라고 경고해 주목된다.
  
  연평균 10% 가까운 경제성장률을 기록하며 승승장구 해 온 중국의 경제가 갑자기 냉각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은 것은 비단 로치만이 아니다.
  
  중국,러시아,브라질 모두 내년 수출 타격
  
  27일 <아시아타임스>는 커버스토리로 "미국의 성장 둔화가 중국의 경제과열에 냉각제로 작용할 것"이라는 취지의 심층분석 기사를 싣고, 역시 중국의 경제가 내년부터 큰 변화를 겪을 것이라는 전망을 제시했다.
  
  2007년 미국의 경제가 둔화되면서 중국의 수출이 타격을 받고 외국인 투자도 급감하는 등 가시적인 변화가 일어난다는 것이다.
  
  로치는 이처럼 미국과 중국의 경제성장이 동반 둔화되면서 브릭스 국가 중 특히 원자재 의존도가 높은 브라질과 러시아도 타격을 받을 것으로 전망했다.
  
  세계은행의 조사에 따르면 비농업 상품 부문이 러시아의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34%에 달한다. 그뿐만 아니라 지난해 GDP에서 차지하는 수출 의존도는 31.9%에 달해 중국(33.7%) 다음으로 높다.
  
  브라질의 경우 다른 브릭스 국가와 비교할 때 수출 의존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기는 하지만, 최근 GDP에서 차지하는 수출 비중이 1996년 6.2%에서 지난해 14.9%로 확대됐다.
  
  특히 브라질은 미국뿐 아니라 중국에 대한 수출 의존도가 높아 두 국가의 성장 둔화가 가뜩이나 부진한 브라질 경제성장에 부담을 줄 것이라는 분석이다.
  
  반면 인도는 브릭스 국가 가운데 가장 유리한 입장에 있다는 것이 로치의 지적이다. 인도는 지난해 GDP에서 가계 소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61%에 달할 정도로 내수 기반이 튼튼한 반면 제품 수출 비중은 12.9%에 그치고 있어 '전세계적 경제순환'에 따른 영향을 덜 받는다는 것이다.
  
  미국 주택가격 위축 따라 민간소비 지출 급감 우려
  
  <아시아타임스>는 이처럼 '전세계적 경제순환'에 큰 변수로 작용하는 미국과 중국의 경제변화를 집중조명했다.
  
  <아시아타임스>에 따르면 내년 미국 경제를 둔화시키는 가장 큰 변수는 최근 2년간 1%에서 5.2%로 급격히 높아진 미국의 금리보다는, 미국의 주택가격 위축에 따른 민간소비 지출 둔화다. 미국의 경제는 민간소비가 경제성장의 70% 이상을 차지한다.
  
  주택 가격의 위축은 이미 과잉 공급된 주택에 대한 신규수요가 줄어들면서 내년에 더욱 가속화되고, 민간소비 지출이 둔화되면서 중국의 경제성장률도 5% 정도로 둔화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흔히 민간소비 둔화의 요인으로 지목되고 있는 미국의 금리 인상은 여전히 역사적으로는 낮은 수준이며, 실질금리로는 마이너스라는 점에서 아직 큰 변수가 못된다는 지적이다.
  
  오히려 미국의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는 8월과 9월 잇따라 금리를 동결함으로써 인플레이션 압력보다 내수 위축에 대한 우려가 더 크다는 것을 드러냈다는 것이다.
  
  실제로 미국의 민간소비 지출 증가율은 올해 1.4분기 4.8%에서 2분기 2.8%로 급감했다. 2003년 4분기 2.7% 이후 최저치로 뚝 떨어진 것이다.
  
  이 기간 동안 주택가격 상승률은 미국이 통계를 내기 시작한 1975년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주택 재고 물량은 지난 7월 11년래 최고치에 도달했다.
  
  <아시아타임스>는 "지난 2001년 이후 주택가격이 급격히 상승하면서 미국의 민간소비 지출이 크게 늘었다"면서 "올해 상반기 주택담보대출 중 무려 87%가 현금 대출이었다"고 지적했다.
  
  <아시아타임스>는 "주택가격이 내년에 위축되면 가계소득도 위축될 것이며, 결국 민간소비 지출 증가율은 매우 둔화되거나 심지어 마이너스를 기록할 가능성이 있다"고 덧붙였다.
  
  "대미 수출 둔화에 중국 경제 큰 타격 받을 것"
  
  <아시아타임스>에 따르면 2002~2005년 연평균 10%에 이르는 중국의 경제성장률은 미국의 민간소비 지출이 크게 늘어났던 시기와 일치한다. 그러나 지난해 세계 4위의 경제대국으로 떠오른 중국이지만, 전체 경제규모에서 중국의 민간소비가 차지하는 비중은 90년대 중반 수준에서 정체된 끝에 지난해는 오히려 사상 최저치인 40%로 떨어졌다.
  
  저임금과 고실업률에 중국의 민간소비가 발목이 잡혀 있기 때문이다. 그나마 도시근로자들은 지난 2001~2005년 사이에 연평균 11%에 달하는 실질임금 상승률의 혜택을 보았으나, 정작 인구 60% 이상이 거주하는 농촌의 실질임금 성장률은 제자리를 걸어 도시와 농촌의 소득 격차는 15년래 최대치로 벌어졌다.
  
  중국의 공식실업률은 2001년 이래 4%대에 멈춰 있다. 그러나 여기에 또다른 함정이 숨어 있다. 도시 노동자 중 60% 이상이 농촌에서 올라온 비등록 노동자이며, 이들은 아무런 법적 보호를 받지 못하고 있으며, 직장을 잃어도 실업통계에 잡히지 않는다.
  
  실업 상태가 된 이들 이주노동자들도 실업통계에 포함시키면 실질실업률은 최고 10%에 달하고, 농촌지역의 실업률까지 포함하면 중국 전체 실업률은 최고 15%에 달한다는 것이다.
  
  이처럼 실업률이 높다보니 내수가 부진한데도 중국 경제가 활황을 보인 것은 절반이 수출 때문이다. 지난해 중국의 수출 증가율은 28%에 달했으며, 경제성장률 중 4%가 수출에 힙입은 것이다. 특히 수출의 50%는 미국시장으로 가는 것이다.
  
  <아시아타임스>는 "이 때문에 중국의 수출 증가는 미국의 수요 증가에 따라 좌우된다고 할 수 있다"면서 "중국의 수출품은 거의 대부분이 소비재이기 때문에 미국의 민간소비 수요가 중국의 수출 성장을 이끌고 있는 셈"이라고 지적했다.
  
  중국의 경제성장을 견인한 또다른 축은 외국으로부터 들어오는 투자다. 중국 내에서 이뤄지는 투자의 65% 정도가 외국 투자와 직.간접적으로 관련이 있다. 특히 2001~2005년 중국의 투자증가율은 무려 연평균 21%에 달했으며, 주로 미국으로부터의 투자에 힘입었다.
  
  <아시아타임스>는 "이 기간 동안 중국 경제 성장의 거의 절반이 미국의 민간소비 지출에 기반한 것"이라면서 "내년 미국의 경제성장이 둔화되면 중국의 경제에 강력한 타격을 줄 것은 틀림없다"고 경고했다.
  
  그러나 <아시아타임스>는 "다만 중국은 1조 달러에 달하는 외환보유고와 막대한 재정 지출 여력을 동원해 그 충격을 완화시킬 가능성이 있다"고 덧붙였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매번 결제가 번거롭다면 CMS 정기후원하기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kb국민은행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프레시안에 제보하기제보하기
프레시안에 CMS 정기후원하기정기후원하기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