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과 섬에 대해 이야기해볼까 한다. 이 사진은 금강의 모래톱 사진이다. 모래톱 안 점점이 있는 것들이 철새다.
▲ 금강의 모래톱 ⓒ이상엽 |
모래톱이 커지면 하중도라 불린다. 강 한가운데 섬이란 뜻이다. 모래등 또는 안섬으로도 불린다. 철저하게 준설한 한강에도 가끔 퇴적되어 이런 하중도가 생긴다. 암사동 앞이다.
▲ 서울 암사동 ⓒ이상엽 |
서울의 대표적인 하중도가 밤섬이다. 예전 밤섬은 무척 큰 한강의 하중도였지만 여의도개발 당시 폭파 돼 사라졌었다. 그런 것이 세월이 흘러 다시 섬이 됐다. 새들이 찾아든다.
▲ 한강 밤섬 ⓒ이상엽 |
양수리 근처에서 본 남한강의 그림 같은 하중도이다. 나무위로 새들이 잔뜩 앉아있다. 하중도는 뭍에 인간을 피해 쉬려는 생물들의 쉼터이기 하다.
▲ 서울 양수리 ⓒ이상엽 |
하지만 요즘 하중도가 사라진다. 강을 살린다는 정부의 준설작업 때문이다. 그들에게 하중도는 그저 유속을 느리게 하는 모래섬을 일 뿐이다.
▲ 금강 ⓒ이상엽 |
하중도건 둔치건 구불거리는 강을 쭉쭉 펴기 위해 파내고 긁어낸다. 요즘 금강의 모습이다.
▲ 금강 ⓒ대전충남녹색연합 제공 |
오랜 세월 섬으로 자란 이 이름 없는 금강의 하중도는 너무도 아름답다. 하지만 건설업자들에게 이 섬은 어떻게 보일까?
▲ 금강 ⓒ이상엽 |
하중도에 들어간 포크레인이 섬의 나무들이 마구 벌채한다. 섬에 살던 무수한 생물들도 죽거나 떠난다. 이것이 4대강 사업이라는 야만의 얼굴이다.
▲ 금강 ⓒ이상엽 |
하중도가 사라진 금강의 보 공사 구간이다. 이제 강변은 콘크리트로 덮이고 생물이 떠난 강위로 배가 다닐 것이다. 운하다.
▲ 금강 ⓒ대전충남녹색연합 제공 |
공주의 공산성 위에서 멀리 보이는 저 하중도는 새가 많다해 새섬이라 불렸다. 보존가치가 높아 일반인들은 출입할 수도 없었다. 그런데...
▲ 공주 공산성에서 바라본 금강 ⓒ이상엽 |
사진을 찍은 지 보름 만에 이렇게 만들었다. 이건 미친 거다. 도대체 무엇이 이런 광기를 부른 것일까?
▲ 금강 ⓒ대전충남녹색연합 제공 |
본포에서 본 낙동강의 거대한 하중도이다. 낙동강 천리 길에서도 드문 아름다운 섬이다. 하지만 이 사진을 보는 독자는 섬의 마지막 모습을 본 것이다.
▲ 낙동강의 하중도 ⓒ이상엽 |
하중도 옆으로 작은 모래톱이 생겨나고 있다. 자연이 이 거대한 폭력 앞에 무너진다. 우리에게 남은 시간을 정말 별로 없다. 남은 것이라도 살려야 한다.
▲ 낙동강 ⓒ이상엽 |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