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낙연 국무총리는 26일 내년 총선에서 자유한국당 황교안 대표와 '빅매치'를 치를 용의가 있는지에 대해 "당에서 제안하면 기꺼이 수용하겠다"고 밝혔다.
이 총리는 이날 오전 서울 삼청동 총리공관 집무실에서 연합뉴스와 가진 인터뷰에서 더불어민주당 복귀 후 총선 역할에 대한 질문을 받자 "편한 길로 가고 싶은 마음은 없다"며 이 같은 입장을 표명했다.
이 총리가 총선 역할론과 관련해 구체적으로 자신의 입장을 밝힌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그동안 소속 정당인 더불어민주당의 뜻에 따르겠다며 원론적 입장을 유지해온 것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험지 출마를 포함하는 적극적 역할을 마다하지 않겠다는 뜻을 표명했다는 점에서 크게 주목된다.
이 총리는 이어 '지역구에 출마할 의향도 있는 것이냐'는 질문에 "물론이다"라며 "피할 생각이 없다"고 말했다.
이 총리는 특히 '이낙연 대 황교안의 대진표가 짜여져도 괜찮은가'라는 질문에 "물론이다"라며 "당에서 그것을 저에게 제안하면 기꺼이 수용할 생각이다, 뭐든지"라고 강조했다.
'다른 험지 출마에 대해서도 마찬가지 입장인가'라는 질문에도 재차 "물론이다"라며 강한 의지를 내비쳤다.
정치권에는 서울 종로를 지역구로 둔 민주당 정세균 의원이 총리 후보자로 지명되면서 공석이 되는 종로에 이 총리가 출마할 가능성이 가장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다. 특히 자유한국당이 이 총리에 대한 맞대응 카드로 황 대표를 내세울 경우 종로에서 전·현 총리이자 여야 유력 대선주자인 두 사람 간의 빅매치가 이뤄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이 총리는 총선에 어떻게 출마할지, 민주당 공동선대위원장을 맡을지 등에 대해 "(당에서) 저하고 상의한 적은 아직 없다"며 "당도 여러 고민이 있을 텐데 아직 결론이 나지 않은 것 같다"고 답변했다.
이 총리는 내년 총선이 갖는 중요성에 대해 "헌정사상 최초의 대통령 탄핵 이후에 출범한 문재인 정부는 탄핵 과정에서 분출된 불만과 탄핵의 요인이 됐던 문제를 정리해야 할 태생적 숙제를 안고 있다"며 "그 숙제는 단기간에 이행되지 못하며 상당 기간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그런 역사적 의무를 제대로 이행할 수 있을 것이냐를 가르는 분수령이 내년 총선이라고 본다"고 밝혔다.
각종 대선주자 선호도 여론조사에서 1위를 달리는 이 총리는 2022년 대선 출마 의향을 묻자 "때 이른 질문"이라고 말을 아끼면서도 차기 대선의 시대정신과 지도자의 덕목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드러냈다.
이 총리는 "국내의 많은 문제를 최적의 방법으로 해결해가고, 국가의 진로를 제시해 유도하며, 국제관계를 제약된 범위 안에서 가장 원만하면서도 국익을 최대화하는 방향으로 해가는 본래적 의미의 '정치 역량'"이 차기 대선의 흐름을 좌우할 시대정신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한 '어떤 정치 지도자가 되고 싶은가'라는 질문에 대해선 "정책에 강한 지도자, 국민의 마음을 움직일 수 있는 지도자"라고 답변했다.
이 총리는 '호남 출신 대선주자라는 한계가 있을 수 있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지금은 대선 국면이 아니고 총선 직전이다. 총선 국면에선 아무 문제가 없겠죠"라며 즉답을 피하면서도 "그것(지역주의 프레임)도 영원불변하지 않을 거라 생각한다"고 언급했다.
이 총리는 패스트트랙(신속처리안건) 국면에서 극한대립을 이어가는 국회 상황에 대해서는 "정치 집단이 골수 지지층만을 너무 바라보면 정치가 가파른 대치를 피하지 못한다"며 "그런 행태는 국가에 해악을 끼칠 뿐만 아니라 자기 세력의 확산에도 보탬이 되지 못한다"고 안타까움을 표시했다.
한국당이 선거법 개정안에 반발해 위성정당(비례한국당) 설립을 추진하는 것에 대해선 "너무 의도가 뻔한 편법이 아닌가"라며 "큰 정당으로 어울리지 않는다"라고 비판했다.
이 총리는 지난 24일 중국 청두에서 이뤄진 한일정상회담에 대해 "만족스럽지 못하지만 예상했던 범위에 속하는 결과였다"며 "두 정상이 오랜만에 만나 양국 관계에 대한 생각을 나눈 것만으로도 의미는 없지 않다"고 평가했다.
수출규제, 한일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지소미아), 강제징용 등 양국관계 3대 현안과 관련해선 "일본 수출규제는 부분적으로 완화되고 있고 지소미아는 조건이 붙은 채로 연장되고 있다"며 "완전한 복원이라고 하긴 어렵지만 방향은 잡혔다고 본다"고 밝혔다.
문희상 국회의장이 '1+1+α'(한일 기업 기금과 국민 성금) 안을 토대로 발의한 강제징용 배상 해법과 관련해선 "일본 쪽에서 일말의 기대가 있을 것"이라며 "일본 측이 강제징용과 관련해 조금 유연해질까 하다가 (문희상 안이 나온 이후) 다시 경색되는 감이 있다. 일본 측이 내놨던 제안을 철회하고 외교당국 간 협의가 멎었다. 그 점에선 걱정스러운 면이 있다"고 아쉬움을 드러냈다.
이 총리는 부동산 문제와 관련해선 "지금의 정책 방향이 불가피하다"며 "부동산 문제는 사람들의 욕망과 정책이 끊임없이 씨름해야 하는 것으로, 한방으로 영구히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은 없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대출규제가 강화된 것은 우리 사회가 받아들일 수 있다고 생각한다"며 "짧은 기간에 몇억원씩 올라 절대다수 국민이 상실감을 느낀다면 당연히 정부로서는 규제나 압박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