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라크 포로 학대로 재선 가능성이 나날이 희박해지고 있는 조지 W. 부시 미대통령이 프랑스 등 이라크 침공에 반대했던 국가들에 대해 "과거를 잊고 도와달라"고 호소했다. 그러나 이들은 6월말 미군의 이라크 철군을 강력히 요구해 갈등을 빚었다.
이같은 갈등의 과정에 미국 등 연합국이 "이라크 임시정부가 요청할 경우"라는 단서를 내건 립서비스 성격이 짙으나 최초로 철군 가능성을 시사해 귀추가 주목된다.
***부시 "과거 잊고 도와달라"에 프랑스 등 "이라크 점령 즉각 멈춰라"**
14일 워싱턴에서는 G8(선진8개국) 외무장관 회담이 소집돼, 이라크 사태와 북핵 문제 등 국제현안에 대해 논의했다.
이날 회담에 즈음해 부시 대통령은 "자유롭고 평화로운 이라크 실현을 위해 과거의 (의견) 차이를 뛰어넘어 함께 나아가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미국의 이라크 침공에 반대했던 프랑스-독일-러시아에 대한 협조를 부탁했다. 부시는 또 이들에게 이라크 임시정부 승인과 재건 활동에의 각국의 참여를 촉구하기도 했다.
그러나 이같은 부시의 호소에도 불구하고, 프랑스 등의 반응은 냉랭했다.
프랑스와 러시아, 캐나다 3개국 외무장관들은 이날 G8 외무장관 회담에서 "전후 이라크 재건에는 참여하겠지만 앞으로도 결코 이라크에 군대를 보내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부시의 요구를 일축했다. 특히 프랑스는 "미국은 이라크 점령을 멈춰야 한다"며 오는 6월30일 임시정부가 구성되는대로 즉각 철군할 것을 요구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이라크 임시정부로의 권력이양 방식을 둘러싸고도 팽팽한 대립이 계속됐다.
미국은 입법권과 군사지휘권을 제한한 '한정적 주권이양'을 주장한 반면, 프랑스와 러시아는 "대폭적인 주권이양"을 촉구했다.
프랑스와 러시아는 그러나 임시정부 출범 이후 국제사회와 임시정부 사이의 관계를 정립하기 위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새 이라크 결의안 작성 작업에는 참여하겠다는 입장을 밝혀, 앞으로 이 문제를 놓고 신경전을 계속될 전망이다.
***미국 "이라크 임시정부가 요청하면 철군할 수도"**
이처럼 프랑스 등 반전국의 반발이 거세자, 이라크에 군대를 보낸 미국, 영국, 이탈리아, 일본 등 4개국 외무장관은 회담후 기자회견을 갖고 오는 7월1일 출범하는 이라크 임시정부가 요청할 경우 자국 군대를 이라크에서 철수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콜린 파월 미 국무장관은 "이라크 임시정부가 철군 요청을 하지 않을 것으로 기대한다"는 전제조건을 달면서도 "그러나 만일 그들이 스스로 치안을 담당할 수 있다고 말한다면 우리는 떠날 것"이라고 말했다.
파월 장관은 "우리는 이라크 국민을 지원하고 보호하기 위해, 임시정부를 보호하기 위해 그 곳(이라크)에 있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잭 스트로 영국 외무장관도 "돌연한 철군으로는 안정이 유지될 수 없다고 생각한다"면서도 "이라크 임시정부가 우리에게 떠나라고 요청한다면 우리는 떠날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프랑코 프라티니 이탈리아 외무장관 역시 "7월1일 임기를 시작하는 이라크 임시정부의 의사에 반해 남아있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으며, 일본의 가와구치 외상도 같은 입장을 밝혔다.
하지만 이같은 4개국 입장 표명은 실제로 철군을 하겠다는 것이 아니라, 이라크포로 학대후 높아진 국제비난여론을 희석시키기 위한 립 서비스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브리머도 말로는 '철군' 가능성 언급**
이들 4개국 외무장관의 입장 표명에 앞서 폴 브리머 연합군정 최고행정관도 이날 이라크 바그다드에서 이라크 디얄라주(州) 출신 이라크 관리들과 오찬을 함께 하는 자리에서 "우리는 환영받지 못하는 곳에 머물지 않을 것"이라고 철군 가능성을 최초로 언급했다.
브리머 행정관은 "과도정부가 우리에게 떠날 것을 요구한다면 떠날 것"이라며 "이러한 일이 일어날 것으로는 생각하지 않지만, 우리가 환영받지 못하는 곳에 머물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브리머는 그러나 "연합군 임시행정처(CPA)가 6월30일 해체되지만 이것이 이라크에서 미국의 철수를 의미하지는 않는다"고 덧붙여, 실제로는 철군 의사가 없음을 분명히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CPA가 실시한 4월달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이라크 국민의 82%는 미군 등 연합군의 이라크 주둔에 반대하는 것으로 나타나면서, 앞으로 미군이 이라크에 계속 잔류할 명분은 점점 희박해지고 있어 립 서비스로 말한 '철군론'이 실제화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