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찾아가는 서비스'는 주거문제로 고민이 있으나 LH에 방문해 상담을 받기 어려운 청년들을 대상으로 직접 찾아가 주거지원 상담을 제공하는 맞춤형 주거복지 서비스다.
전북본부는 2일 전북대를 방문해 학생들을 대상으로 청년 전세임대․청년 매입임대․행복주택 등 청년층 주거지원제도와 주택별 입주자격 및 신청절차 등을 설명하고, 1:1 맞춤형 상담을 진행했다.
대표적인 청년층 주거지원제도인 LH청년전세임대는 입주대상자로 선정된 만39세 이하 청년(대학생․취업준비생‧취업자)이 거주할 주택을 물색하면 LH에서 주택소유자와 전세계약을 체결하고, 청년에게 재임대하는 방식이다.
LH전북본부는 하반기에 약 120호의 전세임대주택을 지역 청년들에게 지원할 예정이다.
대상주택은 전용면적 60㎡이하 주택, 지원가능 금액은 8500만원이며, 지원대상자로 선정되면 청년은 전세보증금 100∼200만원과 월임대료로 지원액의 1~3% 이자만 부담하면 된다.
임대차 계약은 2년 단위로 체결하며, 입주자격을 충족하는 경우에는 2회 재계약이 가능해 최장 6년간 안정적으로 거주할 수 있다.
청년전세임대 1,2순위 대상자는 연중 상시 접수가 가능하며, 3,4순위자는 10월 14일까지 LH청약센터를 통해 신청하면 된다.
기타 자세한 사항은 전북본부 전세임대 상담센터를 통해 문의하면 된다.
임정수 LH 전북본부장은 "지역 청년들이 LH청년주거지원 제도를 잘 활용하면 주거안정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며 "앞으로 '찾아가는 서비스'를 확대해 지역 청년들의 주거문제 해결에 꾸준히 힘쓰겠다"고 밝혔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