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 학회에서 기즐란 대학원생은 ‘열화학적 암치료를 위한 생체적합성과 자극 민감도가 높은 다공성 초상자성체 배터라이트 입자의 제조 및 in vitro 항암 효과’라는 주제의 연구 성과를 발표했다.
이 연구는 직경이 800nm 이하의 많은 구멍을 가지는 구형 초자성체 배터라이트 입자(PMVP)의 합성을 제안하여 PMVP내부에 산화인듐 나노입자(IONPs)와 DOX분자를 캡슐화 되도록 합성한 것.
이렇게 캡슐 된 신소재는 기존보다 더 많은 양의 항암제를 담을 수 있다. 여기에 교류 자기장을 인가하여 암을 표적화 할 수 있고, 암의 특정 pH에서 캡슐이 녹으면서 항암제를 방출, 효과적으로 암을 치료할 수 있다는 것이 이 연구의 핵심이다.
그간 다공성 무기 나노입자인 바테아타이트 형태는 탄산칼슘(CaCO3) 중 저가이면서 생분해성과 높은 약물 탑재 능력 그리고 우수한 생체적합성 및 pH에 민감한 분해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스마트 약물전달에 널리 사용돼 왔다.
그러나 입자의 크기와 형태를 조절하는데 어려움이 있어 적정량의 약물을 탑재 시키는데 한계가 있었다.
이번 연구 성과를 적용한다면 약물 전달에 있어서 기존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