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한명숙 대표는 27일 총선공약점검회의에서 "어제 19대 첫 번째 회기 내에 반값 등록금을 실현하자고 박 위원장에게 제안했지만 아직까지 답이 없다"며 "반값등록금 문제를 박 위원장이 더 이상 외면하지 않길 바란다"고 거듭 요구했다.
김유정 대변인은 "박 위원장은 영남대 이사장이 됐으나 8년 만에 입시부정 사태로 불명예 퇴진하는 등 반교육적 행보를 보여왔고, 반값 등록금에 대해 지속적으로 반대 입장을 견지해왔다"며 "박 위원장이 고등교육 개혁과 반값 등록금을 실현해낼 진정성이 있는지 의문"이라고 공세를 폈다.
김 대변인은 "박 위원장이 이러한 국민적 의구심을 해소할 유일한 길은 반값 등록금 실천 의지를 천명하는 것"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 새누리당 박근혜 비상대책위원장이 지난 2010년 7월 22일 대구시 달성군 소재 한국토지주택공사 홍보관에서 열린 대구도시철도 1호선 서편연장(대곡-설화) 건설공사 기공식장에 도착하자 여성 해고노동자가 '영남대병원 정상화'를 외치며 뛰어들고 있다. 박 위원장 측은 "영남대에 전혀 관여하지 않고 있다"고 설명한다. ⓒ연합 |
박근혜, 사학 관련 문제 제기될 때마다 '미지근'
김유정 대변인은 박 위원장이 사학 개혁에 미온적인 이유로 영남대 이사장 출신이기 때문이라는 점을 지적했다. 영남대에서는 무슨 일이 있었던 것일까. 20여 년 전 영남대 부정입학 사태와 관련해 영남대 사태를 오래 지켜봤던 한 인사는 "박근혜 위원장이 처음 공식적 사회 생활을 시작한 인데, 공직에서 처음으로 처절하게 실패한 사례"라고 평가했다.
신군부가 들어선 후인 80년, 박근혜 위원장은 29세에 영남학원 이사장으로 취임했다. 취임 1년 후에 '영남대 교주(校主)는 박정희'라는 내용의 정관을 포함시켰다. 그러나 1987년 6월 항쟁 이후 29명의 영남대 부정입학 사건, 인사 전횡 등 각종 비리 의혹이 제기됐고, 주범으로 지목된 인사가 구속됐다. 박근혜 당시 이사장은 37세에 "학교 일에서 완전히 손을 떼겠다"며 불명예 퇴진을 해야 했다.
또 박 위원장은 재단 설립에 단 한푼도 보탠 적이 없는 것으로도 드러났다. <오마이뉴스>가 보도한 1988년 10월 18일 국회 문화공보위원회 국정감사 회의록을 보면 박 위원장의 재단 출연금은 '0원'이었다고 한다. 당시 회의록은 다음과 같다.
통일민주당 김동영 의원 : 고 박정희 대통령이 재단에 출연한 자금은 얼마입니까?
조일문 재단 이사장 : 문서상 나타나 있는 것이 하나도 없습니다.
통일민주당 김동영 의원 : 다음에 현재 재단이사로 박근혜 씨가 되어 있는데, 재단 출연한 액수는 얼마입니까?
조일문 재단 이사장 : 그것도 나타나 있는 것이 없습니다.
(1988년 10월 18일. 문화공보위원회 국정감사)
이후 20년간 관선 이사 체제로 운영되던 영남대는 이명박 정부 출범 후인 2009년 정이사 체제로 전환됐고, 설립자 유족 자격의 박근혜 위원장은 4명의 이사를 추천했다. 학교 안팎에서는 "박근혜 위원장이 사실상 영남대를 장악했다"는 말들이 나오지만 박 위원장 측은 "학교에 전혀 관여하지 않고 있다"고 설명했다.
부일장학회를 강제 헌납 받아 만든 정수장학회 논란과 닮은 꼴이다. 앞서 67년 대구대와 청구대가 합병돼 영남대가 탄생한 과정도 '정수장학회 강탈 논란'과 비슷하다. 이같은 전사(前史) 때문에 박 위원장은 사학 개혁 문제가 불거질 때마다 공격을 받았다. 박 위원장은 2004년 사학법 개정 과정에서 가장 격렬히 반발했던 인사다.
반값 등록금 문제, 사학 개혁 문제에 박 위원장이 계속 미온적인 태도로 일관할 경우, '영남대 논란'이 대선 과정에서 변수로 작용할 가능성도 있다.
"박정희-박근혜, 단 한푼도 출연 안해…영남대 사회환원해야"
대구 수성갑 지역에 출마한 진보신당 이연재 후보는 출마 선언 후 "영남대는 박정희 전 대통령이 청구대와 대구대를 강제 합병헤 만들었고, 이후 박근혜 비상대책위원장 부녀는 단 한 푼의 재단 전입금도 출연하지 않았다"며 "불법으로 취득한 영남대학교의 모든 재산을 환원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후보는 "청구대학과 대구대학의 설립자 취지대로 영남대학은 지역사회에 환원해 도립대학이나 사립대학으로 다시 태어나야 한다"며 "이는 높은 등록금으로 고통받고 있는 대다수 지역 대학생들의 현실을 우선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반값등록금의 현실적 정책 대안"이라고 주장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