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의 70% 이상이 청년층이 불행하다고 인식했다. 앞으로 태어날 아이들이 불행하리라 생각하는 한국인도 70% 가까이 되었다.
70% 가까운 한국인은 집값이 내려가야 한다고 인식했다. 한국의 미래를 위해 집값이 올라야 한다고 생각하는 이의 비율은 8%가 되지 않았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보사연)이 5일 주최한 2018년 제1차 인구포럼에서 발표자로 나선 이상림 보사연 연구위원과 유재언 부연구위원은 '저출산 고령사회 동상이몽과 공감'이라는 발표자료에서 이 같은 여론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보사연이 지난 달 여론조사기관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전국의 만 19세 이상 남녀 2000명을 대상으로 한 전화면접으로 시행됐다. 표본오차 95% 신뢰 수준에 오차범위는 ±2.2%포인트다.
한국인 70% 이상 "청년층 불행"
조사 결과, 응답자의 73.4%가 '한국의 청년이 불행하다'고 답했다. 조금 불행하다는 이는 48.2%였고, 매우 불행하다고 응답한 이의 비율은 25.2%였다. 청년층이 행복하다는 응답자 비율은 26.6%(조금 행복 23.5, 매우 행복 3.1)에 불과했다.
노인이 불행하다고 응답한 이의 비율은 59.2%(조금 불행 43.9, 매우 불행 15.3)였다. 행복하다고 응답한 이는 40.8%였다.
우리 사회에서 가장 빈곤한 연령층으로 꼽히는 청년층과 노인층 모두 불행하다는 인식이 팽배했음을 보여주는 결과다.
응답률을 연령별로 보면, 청년층의 비관적 인식이 노인층에 비해 강했다. '한국의 청년·노인이 불행하다'고 응답한 이의 비율은 20대의 경우 각각 76.9%(청년), 67.6%(노인)에 달했다.
반면 같은 질문에 대해 60대 이상은 45.1%(청년이 불행), 45.6%(노인이 불행)만이 불행하다고 응답해 연령대에 따른 인식 차이가 확연했다.
이 같은 인식 차이는 '앞으로 한국 인구가 증가해야 한다'는 인식에 대한 답변율에서도 나타났다. 20대의 51.9%만이 '증가해야 한다'고 답한 반면, 같은 질문에 60세 이상은 75.7%가 인구 증가 필요성에 공감했다.
미래 세대의 삶도 불행하다는 인식 역시 팽배했다. 보사연이 무자녀 20~30대를 대상으로 '한국 아이들이 행복하냐'고 질문한 결과, 응답자의 65.9%가 불행하다고 답했다. 아이들이 행복하다고 답한 이들은 34.1%에 불과했다.
다만 응답자들은 정부가 저출산·고령화 문제를 해결하리라고 신뢰했다. 응답자의 75.8%가 '정부의 정책 노력으로 저출산·고령화 현상이 완전 해결될 것'이라고 답했다. 정부가 저출산·고령화 현상을 일부 해결하리라는 이는 15.2%였고, '전혀 해결하지 못할 것'이라는 이는 9.0%였다.
"집값 떨어져야"
집값이 비싸다는 인식 역시 보편적이었다.
'나와 한국의 미래를 위해 주택가격이 앞으로 어떻게 변해야 한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응답자의 33.1%가 '대폭 하락해야 한다'고 답했다. '소폭 하락해야 한다'고 답한 이도 36.7%였다.
집값 하락을 바라는 이의 비율이 69.8%에 달했다.
집값이 소폭 상승해야 한다고 답한 이의 비율은 6.1%였고, 대폭 올라야 한다는 이는 1.6%였다. 집값 유지를 바라는 이의 비율은 22.5%였다.
상대적으로 소수 답변인 '집값의 유지 혹은 상승'을 바란 이들은 20~30대(26.4%)보다 60대 이상(38.2%)에서 많았다. 임차인(18.4%)보다 자가주택 거주자(35.2%)층에서, 중하층 이하(26.0%)보다 중상층 이상(36.1%)에서 집값의 유지 혹은 상승을 바라는 이의 비중이 컸다.
"일-가족 양립에 남편 책임 커"
여성의 노동에 대한 인식 조사도 시행되었다. 한국인 대부분은 성역할 구분에 동의하지 않았다.
'남편이 할 일은 돈을 버는 것이고 아내가 할 일은 가정과 가족을 돌보는 것'이라는 의견에 여성의 70.3%가 동의하지 않았고, 남성의 67.2%도 동의하지 않았다.
남편과 아내의 역할을 구분해야 한다는 응답자 비율은 여성과 남성 각각 29.7%, 32.8%였다.
'직장을 가진 여성도 일보다 가정에 더 중점을 둬야 한다'는 의견에는 여성의 51.4%, 남성의 53.4%가 동의하지 않았다. 동의한다고 응답한 이의 비율은 여성과 남성 각각 48.6%, 46.6%였다.
'일·가족 양립 문제 해결을 위해 누구 역할이 가장 크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는 응답자의 45.8%가 정부를 꼽았다. 이어 남편 17.5%, 기업 15.7%, 지역사회 13.6% 순이었다. 아내의 역할이 크다는 응답자 비율은 7.4%였다.
현재 가족에서 남편이 충분한 역할을 하지 못한다는 데 상당수 국민이 공감한 것으로 풀이된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