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에서 열린 ‘탄소중립과 수소환원제철’ 국회포럼에서 한국 철강 산업의 미래 경쟁력을 위해 포스코의 수소환원제철소 건립은 국가적 과제라는 의견이 집중적으로 제기됐다.
이번 포럼은 지난 25일 포항환경연대와 더불어민주당 권향엽 의원이 공동 주최했다.
포럼에서는 기후위기 대응이 더 이상 선택이 아니라 산업의 지속 가능성을 좌우하는 핵심 요소가 되었다는 점이 강조됐다.
권 의원은 “광양과 포항을 아우르는 한국 철강 산업은 탄소중립의 핵심 분야이며, 기존 고로 체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그는 전기로 전환 및 새로운 공정 구축에는 대규모 예산과 전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하며 정부 차원의 전략적 대응 필요성을 제기했다.
포럼의 핵심 논의는 포스코가 개발 중인 ‘HyREX’ 한국형 수소환원제철 기술이었다.
발표자로 나선 조명종 미래철강연구소장은 HyREX 기술은 수소를 환원제로, 전력을 열원으로 사용하는 차세대 제철 공정으로 탄소 배출을 획기적으로 감축할 수 있는 유일한 대안이라고 강조했다.
HyREX는 ▲저품위 분광석 직접 사용 가능 ▲유동로·전기용융로 기반의 친환경·고효율 ▲공정
슬래그 재활용 등 경제성·환경성 동시 충족 등 장점을 갖추어 국내 철강 산업 구조를 근본적으로 전환할 기술로 평가됐다.
유성찬 포항환경연대 공동대표는 “수소환원제철은 단순한 기술이 아니라 산업 전환의 플랫폼이며, 탄소중립 시대 국가 경쟁력의 핵심”이라고 말했다.
그는 한국 철강산업이 글로벌 경쟁에서 뒤처지지 않기 위해서는 ▲정부의 대규모 재정 지원 ▲정책·산업을 통합 관리할 전담 조직(국무총리 산하 수소환원제철 전환청) ▲국민적 공감대 형성이 필수라고 강조했다.
한정석 탄소제로전국넷 공동대표 역시 “독일·영국·일본·스웨덴은 이미 조 단위 투자에 나섰다”며 한국 정부의 정책·재정적 뒷받침을 요구했다.
포스코가 포항제철소에서 추진 중인 수소환원제철 실증사업 투자 규모는 8천100억 원에 달하지만, 전문가들은 국가 차원의 지원 없이는 실질적인 성공이 쉽지 않다고 지적했다.
탄소중립 글로벌 경제 체제와 탄소국경세 강화는 결국 수소환원제철을 선진국 중심의 전략 산업으로 만들 것이라는 전망도 나왔다.
포럼 참석자들은 ▲수소환원제철은 탄소중립 시대 한국 철강 산업의 생존 전략 ▲강대국 중심의 기술 경쟁에서 뒤쳐지지 않기 위해 국가적 투자 필요 ▲국민적 지지와 정책적 일관성이 필수라는 의견을 모았다.
권 의원은 “탄소중립 시대에 수소환원제철을 통해 새로운 철강 혁명을 이룩해야 한다”며 강조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