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국혁신당 당 대표에 출마한 조국 후보가 17일 전북을 찾아 “전북은 조국혁신당의 정치적 고향”이라며 지역정치 혁신의 핵심 열쇠로 ‘경쟁 회복’을 제시했다.
그는 무투표 당선과 독점 구조로 굳어진 전북 정치의 현실을 지적하며 “경쟁이 살아야 지역이 산다. 전북에서부터 정치개혁의 물꼬를 다시 트겠다”고 강조했다.
조 후보는 이날 전북특별자치도의회에서 열린 기자간회견에서 “전북 도민이 혁신당을 낳아주고 키웠다. 그 뜻을 한순간도 잊은 적 없다”며 “민주당 중심의 안방정치를 도민 중심의 민생정치로 되돌려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전북 정치의 구조적 문제로 ‘경쟁 실종’을 가장 먼저 지목했다. “무투표 당선이 일상이 된 구조는 견제도, 책임도 사라진 정치”라며 “지방정부와 지방의회 곳곳에 굳어진 일당 독점을 해체해 경쟁이 작동하는 정치로 바꾸겠다”고 밝혔다.
전북 주요 사업 현안도 언급했다. 조 후보는 “새만금이 더는 전북의 한숨이 아니라 미래가 돼야 한다”며 새만금 메가시티, 상용차 산업벨트, 수소 산업 생태계 조성 등 핵심 프로젝트가 흔들림 없이 추진되도록 지원하겠다고 했다. 이어 “특별자치도에 걸맞은 재정 특례를 확보해 전북의 재정 자립도를 실질적으로 높이겠다”고 말했다.
성비위 사건 처리와 관련한 질문이 나오자 그는 “전 지도부 차원의 사과와 제도 정비는 이미 마쳤다”며 “피해자 한 명과는 합의가 이뤄졌고, 나머지 사건도 대리인을 통해 협의가 진행 중”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현재 원내 정당 중 가장 강화된 예방·재발 방지 장치를 갖추고 있다”고 강조했다.
지방선거 전략을 묻는 질문에는 “아직 후보 신분이라 구체적 공천 방안을 말하긴 어렵다”고 선을 그으면서도 “당선 즉시 지방선거 기획단을 꾸려 전국 조직 상황을 점검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조직 기반이 약한 만큼 이번 지방선거의 현실적 목표는 기초의원 배출 확대”라며 “광역단체장·광역의원 후보 공천은 전당대회 이후 조직 현황을 보고 판단하겠다”고 덧붙였다.
조 후보는 끝으로 “전북에서 경쟁이 살아나야 대한민국 정치도 다시 살아난다”며 “전북이 정치개혁의 첫 무대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