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특별자치도가 2026년 개항을 앞둔 새만금 신항만을 중심으로 국내 크루즈 관광의 새로운 거점 구축에 나섰다.
단순한 물류항이 아닌 관광 중심 복합항만으로 육성해 전북형 해양관광 산업의 새 축을 세운다는 구상이다.
전북도는 5일 도청 중회의실에서 ‘새만금 신항만 크루즈 활성화 및 국제크루즈터미널 조성 연구용역’ 중간보고회를 열고 크루즈 유치 전략과 관광 수용태세 구축 방향을 논의했다.
이날 회의에는 새만금개발청, 한국관광공사 전북지사, 전북문화관광재단, 14개 시군 관계자 등 40여 명이 참석했다.
이번 연구용역은 △크루즈 선사 및 여행사 유치 전략 △CIQ(세관·출입국·검역) 운영 방안 △관광자원 연계형 프로그램 개발 △인센티브 제도 마련 등을 핵심 과제로 추진 중이다.
전북도는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새만금개발청과 군산해수청 등 유관기관과 협력해 실질적인 크루즈 산업 기반을 구축할 계획이다.
그동안 전북도는 단계적으로 관련 기반을 다져왔다. 지난해 11월에는 새만금개발청, 군산해양수산청 등 8개 기관과 ‘새만금 신항만 크루즈산업 활성화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크루즈 선사 대상 세미나를 열었다.
또한 김종훈 경제부지사를 위원장으로 한 ‘전북 크루즈산업 발전위원회’를 올해 2월 출범시키며 민·관 협력체계를 본격화했다.
최근 해양수산부가 기존 부산·제주·인천 중심의 항로에서 벗어나 신규 기항지 발굴에 나서면서, 전북도는 지난 10월 ‘새만금 신항만’과 ‘격포항’을 신규 기항지로 신청했다. 도는 전국 8대 크루즈 기항지로 도약하기 위해 관광 인프라 확충과 지역 자원 연계에 행정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전북도는 새만금 크루즈 관광 수용태세를 강화하기 위해 14개 시군, 한국관광공사, 새만금개발청, 선사·여행사 등 20여 개 기관이 참여하는 전담 TF를 추가로 구성할 예정이다.
김미정 전북도 새만금해양수산국장은 “전북은 14개 시군이 각각 매력적인 관광자원을 보유하고 있고, 새만금~전주 고속도로 개통으로 접근성이 크게 개선될 것”이라며 “전북이 대한민국 8대 크루즈 기항지를 넘어 글로벌 크루즈 허브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철저히 준비하겠다”고 밝혔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