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연 경기도지사와 마이클 샌델 하버드대 교수, 최재천 이화여대 석좌교수 등이 'DMZ'의 생태와 평화 지속 방안을 논의했다.
경기도는 3일 소노캄 고양 그랜드볼룸에서 ‘2025 DMZ OPEN 에코피스포럼’ 개회식을 열고, DMZ의 생태·평화 가치를 기반으로 지속가능한 미래 방향을 모색했다. 이번 포럼의 주제는 ‘더 큰 평화 – DMZ에서 시작하는 미래 길 찾기’다.
김 지사는 개회사에서 “DMZ가 회복한 평화의 가치를 인간의 세계로 이어가기 위해 모였다”며 “양적 성장보다 지속가능한 질적 성장을 이루는 것이 미래 세대에 남길 최대의 유산”이라고 말했다. 그는 “DMZ 평화콘서트, 걷기대회, 에코피스포럼 등으로 DMZ를 평화의 기원지로 만들겠다”며 “경기도가 더 큰 평화를 만드는 플레이메이커가 되겠다”고 강조했다.
개회식에는 김 지사를 비롯해 마이클 샌델 하버드대 교수, 최재천 이화여대 석좌교수, 도의원, 공공기관장, 청년 등 200여 명이 참석했다.
기조 세션은 마이클 샌델 교수의 강연으로 시작됐다. 샌델 교수는 ‘세대 간 정의와 공동선의 관점에서 본 평화’를 주제로, 기후·생태 위기 시대에 세대 간 책임 윤리와 공동선 회복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정의로운 사회는 세대가 서로에게 책임을 지는 사회이며, 평화는 그 연장선에 있다”고 말했다.
이어진 기조 대담에서는 김 지사, 샌델 교수, 최 교수가 ‘평화·정의·생태·세대의 관점에서 본 DMZ의 미래’를 주제로 자유토론을 펼쳤다. 김 지사는 “평화와 생태는 지속 가능한 성장을 만드는 원천”이라고 밝혔고, 최 교수는 “젊은 세대는 가장 정의감에 불타는 세대”라고 평가했다.
샌델 교수는 “청년들이 새로운 생태 윤리를 구축하는 희망의 씨앗이 될 수 있다”며 “계속 자극하고 독려하는 환경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에 김 지사는 “지난해 불법계엄 사태 당시 젊은 세대가 즐겁게 나서며 변화를 이끌었다”며 “청년들이 정의·환경·DMZ 문제를 기쁘게 실천하도록 여건을 만드는 것이 정치인의 역할”이라고 덧붙였다.
도는 이번 포럼을 통해 지난 3년간 이어온 ‘더 큰 평화’ 담론을 마무리하고, DMZ를 평화·생태·세대 정의가 만나는 미래 공간으로 재정의했다. 도는 앞으로 ‘열린 DMZ(OPEN DMZ)’ 비전을 지속적으로 확장할 계획이다. 에코피스포럼은 오는 5일까지 이어진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