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특별자치도가 대한민국 종자산업의 중심으로 도약할 기반을 마련했다.
전북도는 1일 ‘종자산업 혁신클러스터 조성사업’이 기획재정부 재정사업평가위원회 심의를 통과해 예비타당성조사(예타) 대상사업으로 최종 선정됐다고 밝혔다.
이 사업은 농림축산식품부와 전북도, 김제시가 공동으로 추진하는 국가 핵심 프로젝트로, 옛 김제공항 부지와 새만금 종자생명단지 일원 총 273ha에 첨단 종자산업 인프라를 집적화하는 것이 핵심이다.
2028년부터 2032년까지 5년간 총사업비 1738억 원(국비 1683억 원, 지방비 55억 원)이 투입될 예정이며, 첨단정밀육종 연구센터, 비즈니스 지원시설, 기후환경조절 스마트온실, 종자 유통·물류시설 등이 조성된다.
전북도는 이번 사업을 통해 김제 민간육종연구단지와 스마트농생명밸리 등 기존 농생명 인프라와 연계해, 연구개발·생산·가공·물류가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국가 종자산업 혁신거점으로 육성한다는 구상이다.
최근 기후위기와 식량안보 불안이 심화되면서 종자산업은 세계 각국이 경쟁적으로 투자하는 전략 산업으로 떠오르고 있다. 그러나 국내 종자기업의 90% 이상은 연 매출 5억 원 미만의 중소기업으로, 대규모 연구시설과 디지털 육종 기술 기반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전북도의 클러스터 조성 사업은 이러한 구조적 한계를 보완할 국가 주도형 ‘전주기(육종–가공–유통)’ 종자산업 생태계 구축의 첫걸음으로 평가된다.
김관영 도지사는 “이번 예비타당성조사 대상사업 선정은 전북이 대한민국 종자산업의 중심으로 도약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첨단 종자기업과 연구기관이 전북에 모여드는 국가 혁신클러스터를 조성해 지역균형발전과 농생명산업의 고도화를 이끌겠다”고 말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