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에서 산지가 하락 등으로 위기를 맞고 있는 전복 어가 구제책이 본격 추진된다.
김영록 전남지사는 27일 오후 도청 브리핑룸에서 '전복산업 위기 극복 5대 시책' 발표 브리핑을 열고 추진 시책을 발표했다.
5대 시책은 ▲전복 가두리 시설 감축 지원 ▲소규모·영세 어가 금융안전망 구축 ▲대출구조 개선 ▲전복 제품 국산화 및 브랜드화 지원 ▲원스톱 통합거점센터 조성 등이다.
전남의 전복 생산량은 2014년 8887톤에서 2024년 2만 3355톤으로 10년간 163% 증가했다. 종자 생산과 양식기술 발달, 가두리 시설량 증가하면서다.
그러나 최근 경기 침체 등으로 인한 소비 둔화, 과잉생산 등으로 지난 2014년 1kg당(10미) 4만 6304원에서 올 9월 기준 2만3000원으로 절반가로 뚝 떨어졌다.
또한 주요 전복 생산지역 양식어가 평균 대출 규모는 전국 어가 평균 부채 7.83만원의 약 1.6배 수준인 1억 2000만원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도는 전복 양식 어가의 경영 위기 해소를 위해 생산량 조정부터 금융지원, 유통구조 개선 등 분야별 지원 대책 마련에 나섰다.
과잉 생산 구조 개선을 위해 내년부터 5년간 총 320억여 원을 투입해 전복 가두리 시설 10막칸을 단계적 감축해 나간다.
또한 금융지원 대책으로 연매출 5억원 미만, 300칸 이하 영세, 소규모 어가를 대상으로 신용보증 지원 규모를 150억원으로 확대 지원한다.
대출상환 부담 감소를 위해 2030년까지 25억원을 투입하고 이자 지원기간을 3년에서 5년으로, 수산정책사업 상환 기간을 7년에서 20년으로 일괄 확대한다.
소비 촉진을 위해 대표 식품 대기업과 MOU체결을 통해 국내산 전복으로 만든 프리미엄죽(가칭 OK남도 전복죽을 출시하고, 위판, 가공, 선별, 저장, 물류 등 기능을 갖춘 원스톱 통합 거점센터도 구축한다.
김영록 지사는 "20여 년간 전남 어업의 역사를 새로 쓰고 전국 전복 생산량의 99%를 담당하며 대한민국 수산업을 고부가 수출산업으로 탈바꿈 시킨 주역이 심각한 위기에 직면해 있다"며 "어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정책을 속도감 있게 추진해 다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