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조원 규모 '국가AI컴퓨팅센터' 입지 선정을 앞두고 지자체간 유치 경쟁이 치열한 가운데, 강기정 광주시장과 지역 시민사회가 "대통령 공약이자 대한민국 AI 3강 도약을 위한 최선의 길"이라며 광주 유치를 한목소리로 강력하게 촉구하고 나섰다.
강기정 시장은 21일 개인 SNS 게시글을 통해 호소문을 내고 "대한민국 AI 3강으로 가는 가장 빠른 길은 광주에 국가AI컴퓨팅센터를 설립하는 것"이라며 "이는 단순한 지역 안배가 아니라 뒤처진 대한민국 AI 산업을 일으키기 위한 이재명 대통령의 핵심 전략"이라고 강조했다.
같은 날 27개 단체로 구성된 광주시민단체협의회 역시 성명을 통해 "광주는 이미 국가AI데이터센터를 운영하며 축적한 인프라와 경험, 인재 양성 시스템 등 다른 지역이 따라올 수 없는 압도적인 경쟁력을 갖춘 최적지"라며 정부의 공약 이행을 촉구했다.
◇광주시 "속도와 집적, 두 마리 토끼 잡을 유일한 도시"
강 시장과 시민단체는 '속도'와 '집적'을 키워드로 광주 유치의 당위성을 역설했다.
강 시장은 "광주는 2017년 AI를 가장 먼저 선택했고, 이미 운영 중인 국가AI데이터센터를 포함해 풍성한 AI 생태계를 구축한 유일한 도시"라며 "국가AI컴퓨팅센터 설립을 통해 AI 생태계를 즉시 완성할 만반의 준비를 끝냈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광주시는 ▲대용량 GPU 우선 구매 약속 ▲파격적인 수준의 부지 가격(평당 200만 원) 제안 ▲전력 요금 부담 경감을 위한 특별법 제정 약속 ▲최대 1000억 원의 투자유치금 지원 등 기업을 위한 전폭적인 지원책도 마련해뒀다고 강조했다.
◇ "전남 민간 투자는 환영, 공공 인프라는 광주에"
최근 SK하이닉스 등 민간 기업들이 전남에 AI 관련 투자를 발표한 것에 대해서는 '환영'의 뜻을 밝히면서도 공공 인프라인 '국가AI컴퓨팅센터'와는 역할이 다르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시민단체협의회는 "광주에 공공형 AI 기반시설이, 전남에 민간 AI 기반시설이 들어서 쌍끌이로 대한민국 AI 산업을 이끄는 거점이 되기를 희망한다"면서도 "갑자기 전남에 국가AI컴퓨팅센터를 만들자는 주장은 민간 투자는 줄이고 공공 재원을 활용하려는 꼼수는 아닌지 의심스럽다"고 지적했다.
강 시장 역시 "국가AI컴퓨팅센터 설립은 민간 데이터센터 유치와 달리, 국가의 책임 하에 공공 인프라를 구축하고 미래산업의 디딤돌을 놓는 일"이라며 "기업의 이해관계로만 결정되어서는 안 된다"고 선을 그었다.
강 시장과 시민단체는 "광주를 위해서도, 대한민국 AI 3강 도약을 위해서도 국가AI컴퓨팅센터는 반드시 대통령 공약대로 광주에 설립되어야 한다"며 정부와 기업의 현명한 결단을 거듭 촉구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