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화면으로
사천 서천호 "남북산림협력사업 글쎄요"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밴드 공유하기
  • 인쇄하기
  • 본문 글씨 크게
  • 본문 글씨 작게
정기후원

사천 서천호 "남북산림협력사업 글쎄요"

"총 414억원 쏟아 부었지만 남북관계 경색 별다른 성과없이 예산만 낭비"

북한의 산림 황폐지 복구 지원을 위해 문재인 정부시절부터 시작된 남북산림협력사업에 지금까지 총 414억 원의 국비를 쏟아 부었지만 남북관계 경색으로 별다른 성과없이 예산만 낭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천호 국회의원(경남 사천·남해·하동)이 산림청으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2018년 9·19 평양선언의 일환으로 본격화된 남북산림협력 6개 사업 중 3개사업은 종료되고 나머지 양묘장 운영 사업은 국내 묘목 생산을 위한 용도로 전환된 것으로 확인됐다.

고성·파주·철원에 125억 원을 들여 대북지원용 양묘장과 남북산림협력센터를 건설하고 북한 산림기후에 적합한 고산 침엽 수종인 구상나무·전나무·물오리나무 등 다 자란 묘목을 2022년부터 올해까지 250만 그루(연간 60만 그루)의 묘목을 북한에 이식하지 못하고 161만 그루(64.4%)만 국내 국유림등에 이식했다.

▲서천호 국회의원(경남 사천·남해·하동). ⓒ의원사무실

문제는 이곳 양묘장에서 키워온 대북지원용 묘목은 북한에 잘 자라는 해발 1000m 이상의 고산지대에 주로 분포하는 수종으로 국내 조림용으론 적합하지 않으나 성장한 묘목을 방치할 수 없어 울며겨자먹기식으로 국내 산림 조림용으로 사용하고 있다.

대북지원용으로 건설된 3개 양묘장을 제외한 국내 14개 양묘장에서는 남한 산림기후환경에 적합한 수종으로 연간 200억 원의 예산을 들여 744만 그루 2086ha 규모의 묘목을 수요대비 부족함 없이 공급돼 조림되고 있다.

종료된 사업으로는 ▶대북지원 양묘장 운영에 필요한 종자확보를 위한 종차채취 예산은 13억 원 ▶남북산림협력 명분으로 치러진 행사와 교재·출판물에 21억 원 ▶철원 토양오염정화사업에 17억 원 이 사용됐다.

서천호 의원은 "국민혈세 수백억 원을 들여 북한 산림 기후에 맞는 수종과 묘목을 기르다 문재인 정부의 일방적 짝사랑 대북정책이 실패하자 어쩔 수 없이 국내 묘목생산용으로 전환 됐다" 며 "미사일과 핵으로 답했던 북한에 이러한 무리한 사업과 예산투입보다는 줄어드는 국내 경제림 조성예산 확대부터 신경 써야 할 것이다"고 꼬집없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매번 결제가 번거롭다면 CMS 정기후원하기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kb국민은행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김동수

경남취재본부 김동수 기자입니다.

프레시안에 제보하기제보하기
프레시안에 CMS 정기후원하기정기후원하기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