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지역 상용근로자의 1인당 임금 총액은 353만원(올 4월 기준)으로 제주(327만9000원)와 함께 전국 17개 시·도 중에서 꼴찌권을 형성했다.
전북의 또 다른 '낙후 현주소'를 반영한 지표라는 분석이어서 신성장동력 창출을 통한 경제구조 재편과 '제2중앙경찰학교 설립' 등 공공기관의 인위적 우선배치 등이 절실하다는 지적이다.
전북 상용근로자의 고달픈 현실은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2025년 4월 시·도별 임금·근로시간 조사 결과'에서 13일 밝혀졌다.

이에 따르면 올 4월 기준으로 국내 1인 이상 사업체의 상용근로자 1인당 임금 총액은 서울(476만5000원)과 울산(475만원)이 가장 높았다.
전북과 '제2중앙경찰학교 유치'를 놓고 경쟁을 벌이고 있는 충남 상용근로자의 1인당 임금 총액은 438만5000원으로 전국 3위에 랭크된 반면 전북은 17개 시·도 중에서 16위를 간신히 마크하는 등 최하위로 전락했다.
충남과 전북 간 1인당 임금총액의 격차는 85만5000원으로 양 지역 간 불균형이 심한 것으로 분석됐다.
전국 평균(421만5000원)과 비교한 시·도별 상대임금 수준은 서울 113.1으로 가장 높았고 울산(112.7)이 뒤를 이었다. 전북의 1인당 임금 총액은 전국 평균의 83.8%에 불과했다.
서울과 울산, 충남 등지의 고임금은 정보통신업과 금융 및 보험업, 전문, 과학 및 기술서비스업, 자동차·조선·화학 등 고부가 서비스업과 대규모 제조업이 밀집해 있는 것과 무관치 않다는 분석이다.
전북은 음식업과 숙박 등 상대적으로 임금 수준이 낮은 서비스업 비중이 높아 제주와 함께 1인당 임금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북은 전년 동월 대비 임금 상승률에서도 2.1%로 집계되는 등 타 지역보다 낮은 것으로 파악됐다.
임금상승률은 인천(+5.8%)과 전남(+5.7%), 울산(+4.5%) 등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전북은 광주(+1.5%) 제주(+1.6%) 등과 함께 '하위 3인방'에 속했다.
전북은 소비자물가지수를 반영한 '실질임금' 상승률에서는 1년 전과 전혀 오르지 않아 전국 최하위로 추락했다.
실질임금 상승률은 인천(+3.6%)과 전남(+3.4%) 등이 실질임금 상승률에서 가장 앞서갔고 충남도 0.7%가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광주(-0.4%)는 후퇴했고 전북(0.0%)은 전년 수준에서 미동도 없어 전북도민들의 살림살이가 그만큼 팍팍해진 것으로 조사됐다.
한편 올 4월 중 각 시·도별 상용근로자 1인당 근로시간은 충남(178.8시간)과 경남(178.6시간) 순으로 길었고 전북(174.2시간)으로 집계됐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