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선을 노리는 현 교육감의 아성에 '노무현' 이름 석 자를 등에 업은 도전자가 치고 올라가면서 8개월도 채 남지 않은 내년 광주 교육감 선거판이 벌써부터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13일 <프레시안> 취재 결과 내년 6·3 지방선거에는 이정선 현 교육감, 김용태 전 노무현재단 시민학교장, 정성홍 전 전교조 광주지부장, 오경미 전 시교육청 교육국장이 출사표를 던지고 일찌감치 표심 다지기에 나서고 있다.
특히 추석 연휴간 광주 시내 곳곳에 현 교육감과 출마예정자들의 현수막이 게첨돼 조기 과열된 분위기를 내다 볼 수 있었다.
◇'실력 향상' 이정선, 고교 동창 채용비리 의혹에 현역 프리미엄 '흔들'
이정선 현 광주시교육감(66)은 재선 도전을 기정사실화 하고 있다. 광주교대 총장 출신인 그는 '다양한 실력'을 기치로 학교 스터디카페 조성, '글로벌리더 세계한바퀴' 프로그램 도입, 학생 스마트 기기 보급 등 지난해 12월 말 기준 공약 추진율 88.9%를 달성하며 지난 3년간 뚜렷한 성과를 냈다는 평가를 받는다. 특히 광주 고교생의 의·치·한·약학 계열 진학률이 2배 이상 늘었다며 '학력 증진' 성과를 내세우고 있다.
하지만 취임 초부터 이어진 '사법 리스크'는 지금까지도 말끔히 해소되지 않았다. 그의 고교 동창의 감사관 채용 비리에 연루된 전 인사팀장이 최근 실형을 선고받으면서 검찰의 칼끝이 이 교육감을 직접 겨누고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여기에 '노무현'을 앞세운 김용태 전 교장의 등장으로 '현역 프리미엄'을 제대로 누리지 못한 채 추격당하는 모양새다.
◇ '노무현 마케팅' 김용태, 태풍의 핵으로 부상
김용태 전 노무현재단 광주지역위원회 시민학교장(61)은 이번 선거의 '태풍의 핵'이다. 노동운동을 거쳐 늦깎이 교사가 된 그는 '노무현' 직함을 통해 선거 초년병에서 단숨에 유력 후보로 뛰어올랐다. 지난 6월 이후 8차례 여론조사에서 현직 교육감을 한 차례 앞지르는 등 '핵폭탄급' 파괴력을 과시했다. '노무현 직함'을 떼면 지지율이 4위까지 추락하는 등 '널뛰기' 논란도 있지만 최근에는 직함에 상관없이 2위를 유지하며 인지도를 굳히고 있다. 다만 노무현 직함을 쓰지 못한 가장 최근 여론조사에서는 12%대 지지율을 보이며 다소 주춤한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거리의 투사' 정성홍 vs '친화력의 관료' 오경미
두 명의 '교육 베테랑'도 호시탐탐 기회를 엿보고 있다.
36년 평교사 경력을 강조하는 정성홍 전 전교조 광주지부장(63)은 2022년 낙선을 딛고 '모두가 빛나는 무등교육'을 기치로 재수에 나섰다. 박근혜 정부 시절 해직교사라는 아픔을 겪은 그는 최근 12·3 비상계엄 규탄 촛불집회에 적극 참여하는 등 '거리의 투사' 이미지를 굳혔다. '노무현 직함'에 맞서 '2022년 광주광역시 교육감선 민주진보단일후보', '내란극복 시민 영웅' 등의 직함을 내세우며 반전을 노리고 있다.
장휘국 광주교육감 시절 교육국장을 지낸 오경미 전 국장(62)은 지난 8월 정년 퇴직 후 본격적으로 선거전에 뛰어들었다. 오 전 교육국장은 '웃음꽃이 피는 교실, 행복한 학교! 재미 있는 배움 공간'을 강조하며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진보 교육감 체제 관료 출신임에도 특유의 친화력으로 다양한 계층의 지지를 얻는 등 외연 확장에 강점을 보인다. 36년간의 풍부한 교육행정 경험을 바탕으로 여러 현장 실무자들의 의견을 수렴하며 정책 공약을 다듬고 있다.
◇'단일화' 변수…'노무현 직함'이 최대 걸림돌
현재 김용태, 정성홍, 오경미 세 후보는 이정선 교육감에 맞서기 위한 '후보 단일화'를 예고한 상태다. 하지만 단일화 논의의 최대 걸림돌은 아이러니하게도 김용태 후보의 최대 강점인 '노무현 직함'이다. 다른 후보들이 "교육계 선거에 정치인 직함은 부적절하다"며 직함 사용 중단을 요구하며 여론조사 보이콧을 선언한 바 있지만, 김 후보가 이를 받아들일 가능성은 희박해 단일화 성사는 밝지 않다.
지역 교육계 관계자는 "깜깜이 선거라 불리는 교육감 선거가 조기 과열 양상으로 흘러가는 것은 드문 현상"이라며 "정당 공천이 없어 '이인제 방지법' 적용을 받지 않아 경선 이후에도 독자 출마가 가능한 만큼, 단일화가 무산될 경우 '1여 다야' 구도로 선거가 치러져 현역에게 유리한 구도가 형성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예측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