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전국에서 가장 비싼 산후조리원 이용요금이 특실 2주 기준 4020만 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21년 최고가가 2600만 원이던 것이 4년새 1.55배나 상승했다. 광역시도별 평균 요금이 가장 비싼 곳은 서울로 2주에 491만 원이었고, 가장 싼 곳은 전남(179만 원)이었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남인순 의원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아 10일 공개한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2025년 6월 기준 2주간 산후조리원을 이용하는 비용은 전국 최고가 4020만 원 , 최저가 120만 원으로 이용요금이 33.5 배 차이가 났다.
4020만 원은 서울 강남 D산후조리원의 특실 기준 이용요금이다. 일반실 이용요금은 서울 강남의 H 산후조리원이 1700 만 원으로 가장 높았고 , 전북 군산의 M 산후조리원이 120만 원으로 가장 낮았다.
일반실 요금을 기준으로 했을 때 요금 상위 10곳 중 7곳이 서울 강남구에 집중돼 있었고, 서울 용산구, 강서구, 경기 성남시에 각각 1곳씩이 있었다. 상위 10개소의 평균 이용요금은 1260만 원으로, 하위 10개소 평균 요금 150.1만 원 대비 약 8.4배(약 1110만 원 차)에 달했다 .
비용 최저가 10개소 중 6곳은 공공산후조리원이었다. 남 의원은 "올해 6월 기준 공공산후조리원의 일반실 평균 이용금액은 약 174만 원으로 민간 대비 절반 수준이지만, 전국에 설치된 공공산후조리원은 21개소에 불과해 이용 접근성이 매우 낮다"며 공공산후조리원 확대를 주장했다.
남 의원은 "일반실 평균 이용요금은 2021년 232만 원에서 2024년 355만 원으로 100만 원 넘게 상승했다"며 "시설 수는 줄고 비용은 오르면서 산모들이 경제적 여건에 따라 적절한 산후조리 시설을 선택할 수 있는 권리가 점점 제한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