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지역 경제계와 학계, 시민사회가 한목소리로 정부에 광주 군공항 이전을 '국가재정사업'으로 전환해 책임지고 추진할 것을 촉구했다.
광주상의는 한상원 회장이 최근 대통령실을 방문해 국토교통비서관 등 주요 관계자들을 만나 광주 군공항 이전 사업의 신속한 추진을 건의했다고 22일 밝혔다.
이 자리에서 한 회장은 지역 대학과 5·18 단체, 시민단체 등 총 11개 기관이 공동으로 마련한 건의문을 전달하며 지역 사회의 절실한 요구를 전했다.
건의문의 핵심 요구사항은 △현행 '기부 대 양여' 방식이 아닌 '국가재정사업' 전환 △소음 피해 근본 해결을 위한 '군 비행 훈련센터 해외 이전' △종전부지의 '광주시 무상 양여' 등 세 가지다.
광주상의 등은 건의문을 통해 "대구경북 통합신공항 사례에서 보듯, '기부 대 양여' 방식으로는 재원 마련이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13조 7000억 원이 투입되는 부산 가덕도 신공항은 전액 국비로 추진된다"면서 "국가안보적 중요성과 누적된 지역 피해를 고려해 광주 군공항 이전 역시 정부 주도 재정사업으로 추진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광주 군공항은 전투비행보다 조종사 양성을 위한 훈련기지 성격이 강하다"며 "소음 문제의 근본적 해결을 위해 '조종사 훈련센터의 해외 이전'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단체는 "지난해 광주 군공항 이착륙 횟수의 약 97%가 조종사 훈련이었던 것으로 파악됐다"며 "이명박 정부 시절에도 군 비행훈련센터의 해외 이전이 국정과제로 검토된 바 있다"고 강조했다.
군공항 부지 관련해서는 "반세기가 넘도록 도심 안전을 위협하고 개발을 제한해 온 군공항 종전부지를 광주시에 무상으로 양여하는 것이 국가가 지역의 특별한 희생에 보답하는 길이자 국가균형발전의 시작점"이라고 역설했다.
한상원 회장은 "군공항 이전은 단순한 지역 민원이 아니라 국가 안보시설 재배치, 국민 삶의 질 회복이라는 중대한 국가 현안"이라며 "정부재정사업으로 신속히 추진되어야 광주와 전남이 상생하고 미래 세대가 희망을 품는 도시가 될 수 있다"고 밝혔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