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교육청이 10월 1일부터 지역 모든 학교에서 학부모와 외부인을 대상으로 '학교 방문 사전예약제'를 도입한다. 무단출입으로 인한 수업 방해와 안전 위협을 막겠다는 취지지만 현장에서는 찬반 의견이 갈리고 있다.
19일 울산교육청은 교직원 상담이나 개별 방문 시 사전 연락과 승인을 거치도록 하고 방문자는 반드시 배움터지킴이실에서 예약 여부를 확인받은 뒤 출입해야 한다고 밝혔다.
다만 학교 공식 행사나 학교 측이 요청한 방문은 예외로 한다. 학부모들은 "학교가 훨씬 안전해질 것"이라며 긍정적 반응을 보였지만 교원단체와 일선 교사들은 긴급상황에서 신속한 대응이 어렵고 예약 관리 등 추가 업무가 발생할 것이라는 우려를 내놓고 있다.

비슷한 제도는 부산에서도 부분적으로 시도되고 있다. 부산교육청은 지난해 일부 초·중학교에서 '예약제 면담 시스템'을 도입해 학부모 상담 시 사전 신청을 의무화했으며 학교 울타리 내 출입 시 신원 확인을 강화했다.
그러나 울산처럼 전면 시행은 아니어서 "울산의 방식은 지나치게 경직될 수 있다"는 지적과 동시에 "부산도 전면 도입을 검토해야 한다"는 주장으로 나뉘고 있다.
울산교육청은 제도가 정착되면 학생 교육환경이 보다 안정될 것이라강조하지만 전문가들은 "학교의 개방성과 지역사회와의 소통을 보장하는 장치가 병행돼야 한다"며 "부산·울산 모두 학교 안전을 지키되 학부모와 교원의 신뢰를 해치지 않는 균형점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