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연 경기도지사는 16일 안양 지역 민생현장 방문 중 “극저신용대출은 코로나19 이후 생계에 어려움을 겪던 도민들에게 단비 같은 금융지원이었다”며 “일부 언론의 연체율 74% 보도는 명백한 오보”라고 주장했다.
경기도에 따르면 김 지사는 이날 ‘달달투어’ 일정 수행 중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극저신용대출은 민선7기 당시 이재명 지사 시절 도입된 사업으로, 신용등급 최하위 10%에 해당하는 약 11만 명에게 연 1%의 금리로 최대 300만 원을 대출해 주는 정책”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최근 일부 언론은 해당 대출 사업의 연체율이 74%에 달하고, 39%는 연락 두절 상태라고 보도했다.
김 지사는 이에 대해 “당시 수혜자 대부분이 다중 채무를 가진 취약계층이었고, 대출금의 75%가 생계비로 사용됐다는 통계도 있다”며 “그만큼 절박했던 분들에게 꼭 필요한 지원이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민선8기에서는 대출 관리를 강화하기 위해 전담조직을 설치했고, 회수·분할 상환·만기 연장 등 다양한 조치를 시행해왔다”며 “대출자들에게 상담 서비스를 제공하며 복지·일자리 연계 지원도 병행했다”고 강조했다.
김 지사는 또 “대출금의 25%는 이미 회수 완료됐고, 상당수가 만기 연장이나 분할상환 단계에 있어 실제 연체율은 30% 후반대에 불과하다”고 반박했다. 또 “연락이 두절됐던 차주들의 거처를 파악하는 사례도 늘고 있어 연체율은 점차 감소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김 지사는 이날 ‘극저신용대출 2.0’ 계획 발표를 통해 “최근 12.3 불법계엄 사태 이후 민생경제가 다시 악화됐고 청년실업도 증가하고 있다”며 “경기도는 도민을 위한 금융안전망을 더욱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새로운 대출안인 ‘극저신용대출 2.0’은 상환 기간을 기존 5년에서 10년 이상으로 연장하고, 소상공인·자영업자·청년실업자 등 취약계층을 주요 대상으로 한다. 김 지사는 “대출과 함께 복지서비스, 일자리 연계 등을 통해 재기의 발판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끝으로 김 지사는 “국민주권정부의 소비쿠폰 정책 등으로 소비가 살아나고 있는 상황”이라며 “경기도는 소비 진작과 금융안전망을 두 축으로 삼아 민생 회복의 선도적 역할을 하겠다”고 말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