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채용 비리와 안전사고 허위 보고 등 의혹에 휘말린 강흥식 포항가속기연구소 소장을 해임했다.
15일 과학기술계에 따르면 과기정통부는 지난 12일 사업 운영위원회를 열어 강 소장 해임을 의결했다. 포항가속기연구소는 포항공대 부설기관으로, 정부출연금 100%로 운영된다. 방사광가속기(PLS-II)와 4세대 선형 방사광가속기를 관리·운영하며, 올해만 675억 원가량의 예산이 투입됐다.
강 소장은 지난해 국정감사에서 직원 부정 채용 지시, 안전사고 허위 보고, 계약 위반 대금 지급, 국가연구개발혁신법 위반 의혹 등에 휘말렸다. 당시 연구소 임직원 100여 명이 국민신문고를 통해 관련 청원을 제출하면서 논란이 확산됐다.
국감 지적 이후 과기정통부는 감사를 진행해 징계를 권고했고, 포항공대는 자진 사퇴를 권고했지만 강 소장은 이를 번복하고 재심을 신청했다. 그러나 이의가 받아들여지지 않으면서 지난 5월 감사 결과가 확정됐고, 한국연구재단도 특별평가를 통해 사업책임자인 소장 교체를 요구했다.
포항공대는 별도로 특별인사위원회를 구성해 소장을 제외한 감사 대상자에 대한 징계를 확정·통보했으며, 일부는 재심을 청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강 소장은 이번 해임과 관련해 입장을 내놓지 않았다.
과학기술계는 이번 사태를 두고 “예산은 정부가 지원하고 운영은 대학이 맡는 구조적 특성 탓에 관리 사각지대가 발생하고 내부 세력이 고착화됐다”고 지적한다. 연구소 관계자는 “거버넌스 개편이 필요한 상황이지만 현재는 소장 해임만 결정된 상태”라고 말했다.
소장을 둘러싼 혼란이 1년 넘게 이어지면서 연구소가 지원하는 오창 4세대 방사광가속기 등 다른 대형 연구 사업에도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최근 과기정통부 지원을 받는 외부 기관장들이 비위 논란으로 잇따라 물러나면서, 정부출연 연구기관 전반에 대한 관리·감독 강화 필요성도 커지고 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