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아시아·태평양 지역 목록(아·태기록유산)에 등재를 추진 중인 우리나라 전통 요리서적 ‘수운잡방’과 ‘음식디미방’이 세계기록유산 한국위원회 심사를 통과해 국내 후보로 이름을 올렸다.

15일 안동시에 따르면 ‘수운잡방’과 ‘음식디미방’은 한반도 전통 요리 문화를 보여주는 중요한 기록물로, ‘수운잡방’이 민간 식문화의 최초 요리서로 2021년 보물로 지정됐으며, ‘음식디미방’은 여성들이 저술한 온전한 한글 조리서로서 지식을 계승한다.
특히 ‘수운잡방’의 지식이 ‘음식디미방’을 통해 발전한 점은 공동체 전통의 연속성을 보여주고 있어 독창적 가치가 인정된다고 밝혔다.
이번 후보 선정으로, ‘수운잡방과 음식디미방’은 ‘단원고 4.16 아카이브’와 함께 유네스스 세계기록유산 아․태지역목록 등재 신청서가 제출됐으며, 등재 여부는 2026년 6월 인도네시아에서 열릴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아시아태평양 지역위원회 총회(MOWCAP)에서 최종 결정된다.
안동시는 앞서 2015년 ‘한국의 유교책판’, 2016년 ‘한국의 편액’, 2018년 ‘만인소’, 2022년 ‘내방가사’를 차례로 세계기록유산에 올리는 성과를 이룬 바 있다.
권기창 안동시장은 “이번 등재 추진은 안동이 보유한 역사·문화적 가치를 세계에 알리는 중요한 계기”라며, “체계적 보존·관리와 국내외 협력을 통해 안동의 문화유산을 널리 알리겠다”고 말했다.
한편, 아․태기록유산은 지역의 기록유산을 보호·계승하기 위해 마련된 국제적 목록으로, 이번 등재가 연구·문화교류 확대와 지역관광 활성화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