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 화성시 화성진안 공공주택지구 내 초등학교 인근에 열병합발전시설을 설치하려던 한국토지주택공사(LH)의 계획이 무산됐다.
11일 화성특례시와 경기도교육청 등에 따르면 국토교통부는 주택지구 내 기존 열병합발전시설 예정 부지 계획을 전면 철회하고, 대체 부지를 검토하기로 결정했다.
이는 그동안 주민의 생활권과 재산권 및 학생들의 학습권과 건강권 보호 등을 위해 주민들이 강하게 반발을 이어온데 따른 것이다.
화성진안 공공주택지구는 지난 2021년 8월 30일 국토교통부의 ‘공공주도 3080+, 대도시권 주택공급 확대 방안’에 따라 발표된 사업지구로, 진안·반정·반월·기산·병점동 일대 약 452만㎡(137만 평) 규모에 2만 9000호의 주택을 공급하기 위해 계획된 3기 신도시다.
LH는 대규모 공공주택지구의 안정적인 에너지 공급을 위해 지구 동·남측 지역 부지에 열병합발전시설 조성을 계획했다.

그러나 해당 지구에는 유치원 4곳을 비롯해 초등학교 5곳과 중학교 3곳 및 고등학교 2곳 등 총 14개의 교육시설이 포함돼 있는데다 열병합발전시설 예정부지가 화성반월초등학교와 불과 50여m 밖에 떨어져 있지 않아 소음 및 대기질 저하 등 학습환경과 건강 문제 등 안전사고 위험을 우려하는 지역주민들의 반발이 잇따랐다.
시는 앞으로 대체부지가 지역 여건과 주민 요구에 부합하도록 국토부·LH와 긴밀한 협의를 이어갈 계획이다.
정명근 시장은 "열병합발전시설 부지 계획 철회 결정은 시와 시민이 함께 끌어낸 소중한 성과"라며 "앞으로도 주민 의견을 충분히 반영해 무분별한 시설 배치가 반복되지 않도록 하고, 시민이 안심하고 살아갈 수 있는 공공주택지구를 만들어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 6월 LH의 열병합발전시설 설치 계획과 관련해 화성반월초를 찾아 학부모들과 의견을 나눈 임태희 경기도교육감도 이날 환영 입장을 밝혔다.
임 교육감은 자신의 SNS를 통해 "열병합발전시설 설치 계획이 철회 소식을 들었다.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해 준 국토부와 LH에 감사하다"며 "학생과 학부모 및 교직원들의 일치된 노력 덕분으로, 이제는 모든 것을 당국에 맡기고 평온한 일상으로 돌아가시길 바란다"고 전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