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제주교육 정책 중 생활 속 인성교육 프로그램 운영학교 지원(30.1%)이 도민들의 가장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제주도교육청은 지난달 6일부터 16일까지 19세 이상 제주도민 1001명을 대상으로 ‘2026 제주교육’ 수립을 위한 도민 여론조사를 실시했다.
2위는 학생 진로‧희망을 반영한 고교체제 개편 추진(21.6%), 학교폭력 예방활동 및 선도학교 지원(21.9%), 학생맞춤형 통합지원 선도학교 운영(18.0%) 순으로 조사됐다.
이번 조사에서 주제는 ‘제주교육 역점과제, 2025년 제주교육 만족 정책, 교육발전특구 시범사업, 학령인구 감소 대비, 적정규모학교 육성’ 등이다.
제주교육 역점과제 앞으로 더욱 관심을 두고 추진해야 할 과제로는 인성교육 내실화(19.0%), 학교폭력 예방 강화(15.3%), 365일 안전한 학교 환경 조성(8.8%) 순이었다.
교육발전특구 시범사업 중에서 앞으로 중점 추진해야 할 과제로는 인성 함양 교육 추진(20.8%)과 건강한 교육공동체 구현(25.4%)이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학령인구 감소 대비 학령인구 감소에 따른 바람직한 정책 방향으로는 학생복지 및 교육격차 해소 지원(22.2%)이 가장 높았으며, 안전한 교육환경 조성(17.3%), 맞춤형 방과후학교 지원(13.3%) 순으로 나타났다.
적정규모학교 육성 정책으로는‘학교별 교육 여건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적정규모로 전환해야 한다’는 의견이 35.7%로 가장 높았다. 제주교육 정책 접근 경로는 텔레비전방송(인터넷방송 포함, 28.5%)이 가장 많았으며 이어 인터넷·모바일, 신문 등이 뒤를 이었다.
도교육청 관계자는 “이번 조사 결과는 제주도민들이 제주교육에 대해 요구하는 사항을 파악하고 앞으로의 정책 방향을 설정하고 추진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조사는 전화 면접 및 온라인 혼용 방식으로 이뤄졌으며 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는 ±3.1%p, 응답률은 9.2%이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