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우 성향 단체 리박스쿨 관련 도서가 전남지역 초등학교 도서관에 비치되고 교사가 추천사까지 작성한 사실이 드러나 도교육감이 사과하는 등 논란이 일은 가운데 광주의 한 초등학교 도서관도 관련 도서를 보유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광주 지역 한 초등학교는 리박스쿨 관련 역사왜곡 도서를 선정 절차조차 없이 비치했고, 추천사에는 광주지역 현직 중학교 교사 2명이 실명으로 참여한 것으로 알려졌다.
여순사건을 반란으로 규정하는 등 역사 왜곡 논란이 일고 있는 책 '엄마가 들려주는 이승만 건국 대통령 이야기'는 리박스쿨의 늘봄강사 양성교육 교재로 활용돼 왔다.

8일 광주시교육청에 따르면 지역 초·중·고 학교 도서관에 전체에 대한 리박스쿨 관련 도서 보유 조사 결과 초등학교 도서관 1곳에서 해당 책 3권이 보유돼 있던 사실을 확인하고 지난 7일 폐기 조치했다.
그러나 도서를 구입한 교사나 추천사를 작성한 교사들에 대해서는 별다른 조사나 조치를 하지 않고 있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교사 개인의 사상과 관련된 사안일 수 있어 공식 조사에 어려움이 있다"며 "추후 대면 조사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문제가 된 책은 해당 학교 교사가 사업비로 구입한 것으로 도서 선정위원회 심의를 거치지 않았다. 학교 사업 예산으로 구입한 경우 심의 절차를 피할 수 있는 허점을 이용한 셈이다.
시민단체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시민모임'은 "도서 추천 당시 해당 교사들은 서로 다른 학교에 재직 중이었지만 현재는 같은 학교에서 부장교사와 학교운영위원을 맡고 있다"며 "시교육청은 사태의 심각성을 전혀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단체는 "리박스쿨 도서 구입 및 추천 경위를 철저히 조사하고 이정선 교육감이 직접 입장을 밝혀야 한다"고 요구했다.

앞서 전남도교육청은 지난 3일 전남 지역 18개 도서관에서 해당 도서 26권을 보유하고, 지역 교사 4명이 추천사에 참여한 사실이 드러나자 즉각 사과하고 재발방지책 마련을 약속했다. 도교육청은 추천사 작성 교사들의 대내외 활동을 전수 조사해 편향 교육 여부를 가리겠다고도 밝혔다.
하지만 광주시교육청의 대응은 전남도교육청과 달리 미온적이라는 비판이 커지고 있다.
광주교육계 관계자는 "역사 왜곡 도서가 교육현장에 들어왔는데도 교육청이 '조사하기 곤란하다'며 손 놓고 있는 것은 직무유기"라며 "재발 방지를 위해서라도 이번 사안은 철저히 조사돼야 한다"고 말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