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소멸 위기에 처한 지역 중 하나인 전남 영광군이 놀라운 인구 증가세를 보이며 주목을 받고 있다.
6일 군에 따르면 영광군의 인구는 1년 사이 1693명이 증가해 5만 3000명을 돌파했다.
이는 수도권을 제외한 대다수 지역에서 지속적인 인구 감소가 이어지고 있는 상황 속에서 이뤄 낸 쾌거로 평가되고 있다.
2025년 7월 말을 기점으로 영광군의 인구는 2024년 같은 기간 대비 5만 3033명으로 증가해, 5년 전과 비슷한 수치를 회복했다.
이는 지역에 활력이 다시 실리고 있음을 시사하는 긍정적인 신호로 받아들여 진다.
특히, 주목할 점은 청년 인구의 성장세다.
지방 청년 인구 유출이 가속화되는 상황에서도, 영광군은 청년층(18~45세)과 영유아(0~6세) 인구가 각각 757명과 80명 증가했다. 이는 청년층의 지역 정착이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이유로, 영광군에서는 청년층을 타켓으로 다양한 정책적 노력을 집중하고 있다.
지역 청년의 유입 및 정착을 촉진하기 위해 청년발전기금 100억 원 등 다양한 지원을 제공하고 있다.
또 영광군의 결혼 및 출산 정책도 인구 증가의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군은 결혼장려금, 난임 부부 지원, 신생아 양육비 등 다양한 형태의 지원을 제공하며, 이러한 적극적인 정책이 지속되면서 지역의 인구 증가에 기여하고 있다.
이처럼, 영광군은 강력한 정책적 지원을 통해 인구 증가를 이뤄내고 있으며, 이는 해당 지역의 활력과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중요한 움직임으로 평가받고 있다.
장세일 군수는 "단순한 인구 유입을 넘어, 청년과 가족이 지역에 뿌리내릴 수 있는 환경 조성이 중요하다"며 "결혼, 출산, 육아, 정주 여건 개선 등 삶의 전반을 아우르는 인구 정책을 통해 지방소멸 위기를 극복하고, 인구 10만 자립 도시를 실현해 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영광군은 인구 정책을 넘어 지속 가능한 자립 도시로의 전환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해상풍력과 태양광 등 풍부한 재생에너지 자원을 기반으로 에너지→산업→일자리→인구로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를 마련 중이다.
에너지 수익을 군민과 공유하는 재생에너지 기본소득 모델을 구체화해 정주 여건 개선과 인구 유입 확대 등 지속 가능한 경제 생태계 구축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