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기정 광주시장이 4일 열린 기자 간담회에서 잇따른 집중호우 피해 상황과 관련해 특별재난지역 지정의 시급성을 강조하고, 광주가 역점을 두고 추진 중인 AI2단계 사업의 예비타당성 조사 면제도 임박했다고 밝혔다.
강 시장은 "폭우냐, 폭염이냐. 우리에게는 선택권이 없는 날들이 반복되고 있다"며 "어제 또 다시 쏟아진 폭우로 송정지하차도가 침수되고, 호남고속도로 구간과 주택·시설들이 큰 피해를 입었다"고 밝혔다.
실제로 북구와 광산구를 중심으로 침수 피해가 집중됐고, 소방당국에는 총 1,516건의 신고가 접수됐다.
강 시장은 "중복 접수된 건도 포함됐지만 현재까지 173건이 조치 완료된 상황"이라며 "일선에서 고생하고 있는 소방, 경찰, 공직자들께 깊은 감사를 드린다"고 말했다.

특별재난지역 선포와 관련해선 "북구의 피해는 178억 원, 광산구 어룡동은 14억 6천만 원으로 기준 금액을 초과했다"며 "윤호중 행안부 장관도 어룡동 피해 상황을 구체적으로 파악하고 있었다. 최소한 북구와 어룡동은 반드시 특별재난지역으로 지정돼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AI2단계 사업(AX사업) 추진 상황에 대해서도 진전이 있었다. 강 시장은 "기재부, 산업부, 과기부 간의 이견으로 사업이 지연됐으나, 지난 금요일 대통령과의 시도지사 간담회에서 해당 사안을 직접 요청했고, 밤늦게까지 이견 조율이 끝났다는 보고를 받았다"며 "8월 국무회의에서 예타면제를 통과할 가능성이 크다"고 설명했다.
이어 "초거대 AI 컴퓨팅센터 구축도 대통령과의 후속 대화에서 상세히 설명했고, 정부 공모사업도 곧 진행될 것"이라며, "내일 구윤철 기재부 장관과 만나 추가 논의를 이어갈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최근 논란이 된 민생회복 소비쿠폰 색상 차별 문제와 관련해서도 강 시장은 대통령에게 공식 사과했다고 밝혔다. "이를 계기로 시와 산하기관의 5개 분야 42개 정책을 점검했고, 인권감수성 부족으로 분류됐다"며 관련 사례들을 열거했다.
여기에는 △대안학교를 인구교육 대상에서 제외한 사례 △수도 단수 시 문 앞 공문 부착으로 사생활 침해한 사례 △시립도서관 열람 제한 등 공공시설 접근권 침해 △'저소득층' 용어 사용으로 인한 낙인효과 △폭염 속 옥외노동자, 에너지 취약계층 등 새로운 인권 이슈 미포함 문제 등이 포함됐다.
강 시장은 "이재명 대통령께서 '벌써 그렇게 점검했느냐'며 중앙 정부 차원의 전수조사를 요청하셨고, 행안부에 자료를 제출할 예정"이라며 "시민 중심 행정, 인권 감수성을 갖춘 정책 설계를 위해 더욱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