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밀양시가 80억 원이 넘는 예산을 들여 조성한 '반려동물지원센터'가 개장 직후부터 예산 낭비와 부실 운영 논란에 휩싸였다.
막대한 적자 운영에도 위탁업체에 대한 제대로 된 관리감독이 이뤄지지 않고 특정 대학 소속 학생들의 교육장으로 활용된 사실까지 드러나면서 시민들의 불만이 커지고 있다.
밀양시에 따르면 반려동물지원센터는 션사인 밀양테마파크 내에 위치한 시설로 지난 2020년부터 약 83억 6700만 원의 예산을 투입해 부지 6726㎡, 연면적 1967㎡ 규모로 조성됐으며 2023년 12월 7일 준공됐다.

시는 이후 경북 대경대학교 산학협력단에 연간 8억 원의 위탁비를 지급하며 운영을 맡겼지만, 지난해에만 6억 3000만 원의 적자를 기록했다. 올해 1~6월 수입도 7800여만 원에 불과해 올해도 수억 원의 손실이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된다. 반려견 이용 수도 한 달 평균 182마리에 그쳤다.
이처럼 막대한 적자가 발생하고 있음에도 밀양시는 뚜렷한 대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밀양시 축산과장은 "(반려동물지원센터는) 적자가 날 수밖에 없다. 할 수 없다. 개선할 방법이 없다"면서 "업체를 소개해 달라"는 취지의 발언까지 해 사실상 방관 입장을 드러냈다.
운영 적자 문제 외에도 위탁업체가 밀양시 공유재산을 특정 학교의 교육장으로 활용한 사실도 드러났다.
위탁업체는 2023년 11월 6주간 소속 학생들의 자격증 취득을 위해 센터를 무료로 이용한 사실이 알려지며 '공공시설의 사유화'라는 비판이 쏟아지고 있다.
박진수 밀양시의원은 지난 6월 행정사무감사에서 "반려동물지원센터는 시민들을 위한 소중한 공유재산"이라며 "특정 대학 학생들의 교육장으로 사용돼선 안된다"고 질타했다.
위탁 운영 관련 회계 처리에서도 부적절한 의혹이 제기됐다. 지난해 센터 운영비 내역에 따르면 민간위탁 경상경비 중 '여비교통비' 항목은 630만 원으로 책정되어 있었지만 실제 지출은 690여만 원으로 당초 예산을 초과했다. 이 가운데 일부는 위탁업체 관계자 출장 경비로 사용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센터 측은 "올해부터 다양한 사업을 추진해 적자를 줄이고 있으며, 자격증 과정에는 일부 고등학생 등 일반인도 포함돼 있었다"고 해명했다.
또 부적절한 여비교통비 지출은 "밀양시의회의 지적 이후 7월부터 중단했다"고 덧붙였다.
밀양시 축산과 담당자는 "센터의 적자를 줄이기 위해 다양한 방법으로 최선을 다하고 있다"면서 "부적절한 여비교통비 지출 부분에 대해서도 회수를 검토하겠다"고 밝혔지만 구체적인 조치 없이 '검토'라는 원론적 입장만 내놓았다.
시민들의 반응도 싸늘하다. 밀양의 한 시민은 "정작 시민은 무료로 이용하지도 못하는 시설에 수십억 원을 퍼붓고 적자는 계속되고 있다"며 "누구를 위한 시설인지 모르겠다. 공공이 직접운영하거나 공공위탁으로 전환하는 등 근본적인 재검토가 필요하다"고 비판했다.
또 다른 시민은 "센터 관련 공무원들이 반려동물지원센터에 투입되는 세금을 자기 돈처럼 여기지 않기 때문 아니냐"며 목소리를 높였다.
국민의 세금으로 운영되는 공공시설이 더 이상 예산낭비 논란에 휘말리지 않도록 밀양시의 책임 있는 대응이 시급하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