벼 논에 태양광 구조물을 설치해 작물생산과 에너지 생산을 동시에 실현하는 ‘영농형 태양광 실증연구’가 속도를 내고 있다.
전북특별자치도는 농업과 재생에너지의 융합을 통해 농가소득 증대와 지역 경쟁력 강화를 위한 ‘영농형 태양광 실증연구’에 속도를 내고 있다.
해당 실증시험포는 2022년 농림축산식품부 예산 지원을 통해 총 882㎡ 규모의 논에 49kW급 태양광 설비를 설치한 시설로, 벼 재배와 전력 생산을 병행하는 구조다. 2023년부터 본격적인 실증에 들어가 하부에서는 벼를 재배하고 상부에서는 태양광을 통해 전력을 생산하는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다.
실증 초기 분석 결과, 태양광 구조물에 따른 일조량 감소로 벼 수확량은 소폭 감소하였으나, 전력 판매에 따른 부가 수익으로 전체 소득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작물 생산과 에너지 생산을 동시에 실현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는 의미 있는 결과다.
전북도는 군산 외에도 무주(사과), 남원(곤달비) 등 지역별 다양한 작물에 대한 영농형 태양광 실증연구를 병행 중이며, 축적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향후 확대 적용 가능성을 검토할 계획이다.
김종훈 전북특별자치도 경제부지사는 지난 1일 군산시농업기술센터의 영농형 태양광 벼 재배 실증시험포를 찾아 연구 추진 상황을 점검하고 관계자들을 격려했다.
이번 현장 방문은 이재명 대통령의 농정공약인 ‘햇빛연금’ 정책과 관련해, 고령화·소득 정체·기후위기 등 농업의 복합적 현안에 대응하기 위한 도 차원의 실천적 행보로 평가된다. 아울러 중앙정부의 재생에너지 확대 기조와도 궤를 같이 한다.
김종훈 경제부지사는 “영농형 태양광은 농업인의 안정적인 소득 기반 마련뿐 아니라, 식량 생산과 재생에너지 공급이라는 두 가지 과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전략 모델”이라며 “실증 결과를 토대로 보다 과학적이고 지속가능한 농업환경을 조성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전북도는 향후 실증 결과를 바탕으로 제도 개선 건의, 기술 매뉴얼 마련, 지역 여건 맞춤형 모델 개발 등을 통해 도내 농업 현장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도록 추진할 계획이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