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익산상공회의소가 회원사의 헐값 매각·고용 위기 논란에도 불구하고 소극적 대응으로 일관해 구설수에 올랐다.
국내 굴지의 공기업인 한국중부발전은 익산 제2산업단지에 있는 열병합발전소인 (주)상공에너지의 장기 적자를 이유로 경영 정상화가 필요하다며 최근 매각을 진행 중이다.
상공에너지는 지난 2012년에 건립된 이후 저렴한 에너지 공급을 통해 산업단지 입주기업 활성화에 기여해 왔으나 원자재 비용 상승 등으로 적자가 발생하자 모기업인 중부발전은 한 사모펀드를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하고 매각절차를 구체화하고 있어 110여명의 직원들이 심각한 고용불안을 호소하고 있다.

해당 사모펀드 측은 상공에너지 직원들의 고용 승계와 관련해 3년 제한을 제시했고 중부발전은 5년 확대를 강조하고 있다고 밝혀졌지만 직원들의 고용 불안감이 갈수록 깊어가고 있다.
여기다 상공에너지의 헐값 매각 논란마저 증폭되고 있어 지역경제에 적잖은 악영향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지역사회에서는 "중부발전이 상공에너지의 적자구조 개선 책임은 뒤로 한 채 힘없는 전북의 자회사를 헐값에 내다파는 등 이재명 정부의 지역균형발전 기조에 역행하고 있다"며 "지자체와 상공회의소 등이 적극 나서 지역의 목소리를 내야 할 것"이라고 주문하고 있다.
이재명 대통령이 21대 대선과정에서 "'전북의 3중 소외감'을 슬프게 생각한다"며 지역기업 육성과 균형발전을 거듭 강조해 왔음에도 낙후 전북의 자회사를 적자구조 이유로 매각하려는 것은 전북을 무시하는 처사인 만큼 매각을 철회해야 할 것이라는 반발 목소리도 확산하고 있다.
지역 상공업계의 목소리를 대변하고 권익보호에 나서야 할 익산상공회의소는 적극적인 대응은커녕 어정쩡한 자세로 시간을 보내고 있어 빈축을 사고 있다.

익산상의는 (주)상공에너지로부터 회비를 받는 회원사인데다 110여명의 직원들이 "하루하루가 지옥"이라며 심적 고통을 호소하고 있음에도 매각 철회 등 지역민의 여론을 대변하는 목소리조차 내지 못한 채 소극적 자세로 일관해 "회원사들로부터 회비는 꼬박꼬박 받으며 상의가 무슨 역할을 하는지 모르겠다"는 비판도 나온다.
익산상의는 이에 대해 "상공에너지가 회원사인 것은 맞지만 함부로 나서기에는 조심스러운 면이 있다"며 "직원들의 고용승계를 위해 무엇을 도와줄 수 있는지 고민하며 지켜보고 있다"고 말했다.
익산시는 상공에너지 매각 사태와 관련한 상황 파악에 적극 나섰고 지자체가 할 수 있는 방안을 검토할 것으로 알려져 주목된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