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교육자치에 관한 법률에 따르면 교육감은 교육·학예에 관한 소관 사무로 인한 소송이나 재산의 등기 등에 대하여 해당 시·도를 대표한다.
한 마디로 교육감은 해당 지역의 유.초.중등교육의 사무를 관장하는 지위에 있는 사람을 일컫는다.
이 때문에 교육감 선거를 앞두고는 으레 유.초.중등교육을 경험해 본 사람이 교육감이 돼야 한다는 여론이 일지만 전북의 경우 간선과 직선으로 교육감을 선출한 지난 1997년 제12대 문용주 전 교육감 이후 직전 서거석 전 교육감에 이르기까지 모두 4명의 교육감이 교수출신이었다.
서 전 교육감이 중도 탈락하면서 내년 지방선거에서 치르게 될 교육감 선거를 앞두고 전북에서는 이제는 교사출신도 교육감이 돼야 한다는 여론이 강하게 일고 있다.
현재 17개 시도 교육감 가운데 김광수 제주교육감 등 9명이 교사출신 교육감으로 분류된다.
그렇다면 이들 17개 시도 교육감의 직무 능력에 대해서 교육 현장에서는 어떻게 구분하고 있을까?
전북교총 오준영 회장은 "지난해까지 교사출신 시도 교육감의 직무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던 현상은 유.초.중고 보통교육의 현장 전문가가 고등교육기관의 교수출신보다는 교육정책의 이해 및 현장 소통능력에 더 적합하다는 결과가 아닐까 생각한다"고 짚었다.
지난해 12월, 여론조사기관 리얼미터가 실시한 '광역단체장 평가 및 전국 주민생활 만족도 조사 결과'를 보면 교육감 직무수행 평가에서 1위에서 3위까지는 모두 교사출신 교육감이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었다.
전북교사노조 정재석 위원장은 이에 대해 "교사출신 교육감은 학교 현장에서 교직원과 학생, 학부모들과 직접 소통해본 경험이 있기 때문에 교육현장에서 무엇이 부족하고 무엇이 필요한지를 잘 알고 있다는 점"이라고 분석했다.
정재석 위원장은 특히 교사출신 교육감이 교수출신 교육감보다 청렴하다고 강조한다.
정 위원장은 예를 들어 "교사의 경우 아주 적은 금액의 금품수수나 횡령을 했을 경우 승진은 커녕 신분상 불이익을 받는다"면서 "전남 광주에서는 50만 원을 횡령한 교사가 파면을 당하기도 했다"고 말했다.
그러나 교수의 경우 "논문지도로 선물을 받거나 식사를 접대받는 게 관행화돼 있기도 하며 석사과정의 학생들이나 박사 학생들의 통장을 이용해 연구비를 횡령한 사례가 종종 드러나기도 한다"면서 "교사는 청렴이 생활화돼 있기 때문에 청렴한 교육감이 될 확률이 매우 높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현장 교사들은 평소에 학생과 학부모로부터 음료수 한 병 받기도 꺼려 한다. 청렴 연수 교육은 일상화 돼 있다.
전북 전주시 한 초등학교 교사는 "역대 교수출신 교육감을 겪어 봤지만 학교현장에 대한 이해도가 떨어지는 게 사실"이라면서 "교수출신 교육감이 '늘봄'을 알것이며, '방과후 수업'을 비롯해 지역아동센터 등에서 벌어지는 애로사항에 대해 어떻게 이해하고 대처할 것이냐?"고 반문했다.
특히 "초등의 경우 올해부터 도입된 고교학점제에 대한 것도 잘 모르는데 도시와 시골 학교의 미세한 차이부터 학교현장의 모든 부분을 교수출신 교육감이 선거를 통해 선출된다해도 임기 안에 학교현장에 적합한 교육정책을 수립하고 펼치는 것은 부족할 수 밖에 없다"고 지적하고 있다.
정재석 위원장은 이와 관련해 "교사의 업무경감 정책도 교사출신 교육감이 이뤄낸 바 있으며 교사전문직 대우도 교사출신 교육감이 시작했다"고 강조했다.
'이재명 국민주권정부'의 초대 교육부장관에 이진숙 전 충남대 총장이 지명된 것과 관련해서 오준영 전북교총 회장은 이렇게 우려했다.
"교육은 아이들의 삶과 미래를 책임지는 일"로 "현장을 경험한 리도는 교사들의 어려움과 학생들의 필요를 직접 체감하며 실질적이고 효과적인 정책을 수립할 수 있다"고 말하면서 "교사출신 교육감이 필요한 이유도 여기에 있다"고 강조했다.
교육은 이론이나 통계만으로는 해결할 수 없는 복잡한 문제들이 얽혀 있기 떄문에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한 정책이 절실하다는 지적이다.
이진숙 교육부장관 지명자는 이재명 정부의 전국에 '서울대 10개 만들기'정책을 설계한 장본인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오준영 회장은 "유치원과 초등학교,중학교, 고등학교라는 보통교육의 긴 여정을 제대로 설계하고 지원하지 않는다면 서울대학교 10개를 만들기는 커녕 그 어떤 대학도 제 역할을 다 할 수 없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전북교사노조 정재석 위원장은 "역대로 볼 때 교사교육감이 교수교육감보다 훨씬 진보적인 선택을 해왔다"면서 교사가 교육주권을 쥐는 것이야 말로 전북교육이 진보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