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7월 1일부터 대구 ‘어르신 통합무임 교통카드’의 사용 지역이 기존 3곳에서 경북 6개 지자체까지 확대된다. 이를 통해 고령, 구미, 김천, 칠곡, 성주, 청도 지역 어르신도 무임으로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대구시는 오는 7월 1일부터 어르신 통합무임 교통카드의 사용지역을 대구, 경산, 영천에서 경북 6개 지자체로 확대한다고 밝혔다. 대상 지역은 고령, 구미, 김천, 칠곡, 성주, 청도다.
이번 조치로 2023년 7월 대구, 경산, 영천에서 무임 교통사업을 도입한 데 이어, 지난해 12월 광역환승제가 시행된 9개 지자체 전체로 확대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대구시와 경북 각 지자체는 지난 6월 25일 상호 정산 및 이용 협약을 체결했다.
대구에 거주하는 어르신들은 기존 교통카드를 그대로 이용할 수 있으며, 대구도시철도, 대경선, 시내버스 등 다양한 교통수단을 무임으로 이용 가능하다. 올해 기준 발급 대상은 만 73세 이상이며, 오는 2028년까지 순차적으로 만 70세 이상으로 확대될 예정이다.
이용자는 증가 추세다. 지난해부터 올해 5월까지 누적 이용건수는 약 330만 건으로 집계됐다. 대구에서 경산·영천으로 이동한 사례가 약 140만 건, 경산·영천에서 대구로 이동한 사례는 190만 건에 달했다.
대구시는 설문조사와 빅데이터 분석 결과, 이용자 99.5%가 만족을 표시했다고 전했다. 주된 통행 목적은 위락·사교(친목 모임), 병원 진료, 쇼핑, 생업 순이었다.
대구시는 대경선 개통과 도시철도 1호선 하양 연장, 광역환승제 확대 등과 연계해 대중교통 복지 정책을 지속 확장할 계획이다.
허준석 대구시 교통국장은 “지자체 간 협력을 바탕으로 실질적인 교통복지를 강화하겠다”고 강조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