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생형 일자리 1호 기업인 광주글로벌모터스(GGM)의 노조가 13일 서울로 상경해 더불어민주당과 현대자동차를 상대로 노동3권 보장과 2교대 시행을 위한 책임 있는 조치를 촉구했다.
전국금속노동조합 광주전남지부 GGM지회는 이날 오전 더불어민주당 중앙당사, 오후 현대차 양재 본사 앞에서 잇따라 기자회견을 열고 "광주형 일자리의 설립 취지였던 '지역 청년들의 안정된 삶 보장'은 이미 무너졌다"며 "헌법과 노동법이 보장한 노동자의 기본권조차 현장에서 제약받고 있다"고 주장했다.

GGM지회는 특히 더불어민주당에 설립 주체로서의 책임 이행을 요구했다. 노조는 "단체교섭 대신 '상생협의회'에서 임금과 노동조건을 결정하고 있는 현재 구조는 노동3권을 실질적으로 무력화시키고 있다"며 "민주당 정부가 만든 상생형 일자리 모델에서 이 같은 상황이 벌어지는 현실에 책임을 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GGM의 실태는 김문수 전 경제사회노동위원장이 2023년 현장을 방문한 후 SNS에 남긴 글에서도 확인된다"며 "'노조가 없어 감동받았고, 핸드폰 사용이 금지되며, 평균임금은 4000만원이 안된다'는 내용이 GGM의 현실을 그대로 보여준다"고 비판했다.
노조는 GGM의 실질 운영 주체로 현대자동차를 지목하며 책임론도 제기했다.
GGM지회 이날 오후 현대차 본사 앞에서도 기자회견을 열고 "현대차는 19% 지분을 가진 2대 주주임에도 생산, 판매, 연구개발 전반을 실질적으로 주도하면서도, 노동권 보장에는 무책임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고 비판했다.
GGM에서 논란이 됐던 2교대제에 대해서는 "노사 TF에서 논의했듯 노조는 2교대 시행에 협조할 것"이라며 "현대차가 2교대 시행을 위한 투자에 나서달라"고 촉구했다.
이날 기자회견에는 두 번째 상생형 일자리 모델인 구미LG-HYBCM지회 간부들도 참여해 목소리를 더했다.

GGM 노사는 지난 4월부터 임금 및 단체협약 실무교섭을 4차례 진행했으나 모두 결렬됐다. 노조는 오는 15일 예정된 26차 본교섭에서도 진전이 없을 경우, 파업 등 쟁의권 행사에 나설 방침이다.
GGM지회는 "민주당과 현대차는 더 이상 책임을 회피하지 말고, 현장의 목소리에 응답하라"며 "노동이 존중받고 청년이 미래를 꿈꿀 수 있는 진정한 광주형 일자리로 거듭나야 한다"고 덧붙였다.
앞서 광주시 노사민정조정중재특별위원회는 중재안을 내고 GGM 설립 당시 체결한 노사 상생발전 협정서 준수와 노사문화 개선 방안 마련 등을 권고한 바 있다. 광주시와 GGM 경영진은 중재안을 받아들였으나 노조는 '35만대 생산까지 파업 유보' 안이 헌법이 보장한 노동3권 침해라고 수용을 거부했다.
전체댓글 0